CINXE.COM

카자흐족

<!DOCTYPE html> <html lang="ko" data-agent="Mozilla/4.0 (compatible; MSIE 7.0; Windows NT 6.0; SLCC1; .NET CLR 2.0.50727; .NET CLR 3.0.04506; .NET CLR 3.5.21022; .NET CLR 1.0.3705; .NET CLR 1.1.4322)"> <head> <link rel="canonical" href="https://terms.naver.com/">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meta http-equiv="Content-Script-Type" content="text/javascript"> <meta http-equiv="Content-Style-Type" content="text/css">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requiresActiveX=true;IE=edge"> <meta property="og:type" content="article">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343&docId=2324280&categoryId=51343">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카자흐족">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dbscthumb-phinf.pstatic.net/3672_000_1/20141205113243038_KOR9IC3B8.jpg/ea31_2_20_i1.jpg?type=w450_fst_n">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 (1) 인구와 분포] 중국의 카자흐족 인구는 2000년 현재 1,250,458명이며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 크기가 16번째이다. (2000년 중국 인구조사통계) (단위: 명) [카자흐족의 인구변화 통계] || 분 류 || 1953년 || 1964년 || 1982년 || 1990년 || 2000년 || | 카자흐족 인구 | 509,375 | 491,637 | 907,546 | 1,110,758 | 1,250,458 | | 중국 전체 인구 (카자흐족 비율, %) | 577,856,141 (0.088%) | 691,220,104 (0.071%) | 1,003,913,927 (0.090%) | 1,130,510,638 (0.98%) | 1,242,612,226 (0.101%) | | 소수민족 전체 인구 (카자흐족 비율, %) | 34,013,782 (1.498%) | 39,883,909 (1.233%) | 66,434,341 (1.366%) | 90,567,24"> <meta property="og:article:author" content="네이버 지식백과" /> <meta property="og:article:author:url" content="https://m.terms.naver.com"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1110" /> <!-- https://terms.naver.com/ncrEntry.naver?ncrDocId=ea31_2_20&dicId=chi_minority_study --> <title>카자흐족</titl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어린이/학생백과, 동물/식물, 건강, 역사, 자연과학, 인문과학, 미술작품, 비주얼사전 등 전문가들이 정리한 지식을 제공하는 종합백과서비스" />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css/terms_tlist.css?250117044232">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css/terms_230427.css?250117044232">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css/subject_tmp_200508.css?250117044232"> <link rel="shortcut icon" href="/favicon.ico?250117044232" type="image/x-icon">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s://ssl.pstatic.net/static/maps/openapi_map/maps_openapi.css?250117044232"> <script src="https://static-audiop.pstatic.net/audiocloud-webplayercore/1.1.1.0/js/audiocloud_webplayer_core.js?250117044232"></script> </head> <body id="termBody" class="end"> <div id="wrap" class=""> <div id="u_skip"> <a href="#gnb" onclick="document.getElementById('gnb').tabIndex=-1;document.getElementById('gnb').focus();return false;"><span>메인 메뉴로 바로가기</span></a> <a href="#nav" onclick="document.getElementById('nav').tabIndex=-1;document.getElementById('nav').focus();return false;"><span>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span></a> <a href="#content" onclick="document.getElementById('content').tabIndex=-1;document.getElementById('content').focus();return false;"><span>본문으로 바로가기</span></a> </div> <div id="header" role="banner"> <div class="gnb_wrap"> <div class="gnb_area"> <div class="site_area"> <ul class="site_list"> <li><a href="http://openlectures.naver.com/" class="logo_openlectures"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rsv.openlt', '', '', 1);"><span class="blind">열린연단</span></a></li> <li><a href="/list.naver?cid=44623&categoryId=63167" class="logo_library" onclick="nclk(this, 'rsv.imagelibrary', '', '', 1);"><span class="blind">이미지 라이브러리</span></a></li> <li><a href="https://dict.naver.com/" class="logo_dic"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rsv.dic', '', '', 1);"><span class="blind">사전</span></a></li> </ul> <div id="gnb" class="login_area"> <script type="text/javascript" charset="utf-8" src="https://ssl.pstatic.net/static.gn/templates/gnb_utf8.nhn?2025021810"></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gnb_brightness=3;window.attachEvent?window.attachEvent("onload",getGNB):window.addEventListener("load",getGNB,false);</script> </div> </div> </div> <div id="nav" class="header_area"> <iframe frameborder="0" scrolling="no" src="about:blank" style="position:absolute;left:0;top:0;width:100%;height:54px;border:none;vertical-align:bottom;filter:alpha(opacity=0)" title="헤더"></iframe> <h1 class="service"> <a href="https://www.naver.com/" class="logo_naver" onclick="nclk(this, 'STA.naverlogo', '', '', 1);"><span class="blind">NAVER</span></a> <a href="/" class="logo_terms" onclick="nclk(this, 'STA.terms', '', '', 1);"><span class="blind">지식백과</span></a> </h1> <div class="search_wrap"> <form name="search" action="/search.naver" method="get" id="terms_search_form"> <fieldset> <legend>지식백과 검색</legend> <div class="search_area"> <div class="search_box" id="searchBox"> <input name="query" type="text" value="" maxlength="100" title="검색" accesskey="s" class="search_input" id="term_query" autocomplete=off> <a href="#" role="button" class="btn_updn _toggle"> <i class="icon"></i> <span class="blind _toggleIcon">자동완성 펼치기</span> </a> <!-- 자동완성 --> <div class="ly_auto" style=""> <iframe width="100%" src="about:blank" frameborder="0" title="버그픽스용" class="bug_fix" style="filter:alpha(opacity=0)"></iframe> <div class="wrap" id="atcmp"> <div class="words top _resultArea" style="display:none;"> <ul class="_resultBox1"> <!-- <li><a href="#" onclick="nclk(this, 'sch.autoclick', '', '@rank@', 1); return false;">@txt@</a><span style="display:none">@in_txt@</span></li> --> </ul> </div> <div class="words _noticeArea"> <p class="msg co_basis_txt"> 현재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고 계십니다. </p> </div> <p class="func"> <span> <a href="https://help.naver.com/support/service/main.nhn?serviceNo=606&categoryNo=1987" onclick="parent.nclk(this,'sch.help','','', 1);" target="_blank">도움말</a> | <a class="funoff _off" href="#" onclick="nclk(this, 'sch.autooff', '', '', 1);return false;">자동완성 끄기</a> </span> </p> <span class="atcmp_helper">기능을 다시 켤 때는 <span class="point">검색창</span>을 클릭하세요</span> </div></div> <!-- //자동완성 --> </div> <input type="submit" value="검색" class="btn_search _search" onclick="nclk(this, 'sch.search', '', '', 1);"> <input type="hidden" name="searchType" value=""> <input type="hidden" name="dicType" value=""> <input type="hidden" name="subject" value=""> <input type="button" value="통합검색" class="btn_search_all" onclick="nclk(this, 'sch.nx', '', '', 1); window.open('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sta_hty.terms&ie=utf8&query=' + encodeURIComponent(document.getElementById('term_query').value)); return false;"> </div> </fieldset> </form> </div> <div class="category_wrap" id="categoryWrap"> <a href="#" role="button" class="btn_category" id="evt-global-navigation-button" onclick="nclk(this, 'STA.category', '', '', 1);"><span class="blind">카테고리 보기</span></a> <div class="ly_category"> <div class="category_area"> <div class="section topic"> <strong class="title">주제백과</strong> <ul class="category_list">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0871&categoryId=50871"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50871', '', 1);">건강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60195&categoryId=60195"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60195', '', 1);">수학/과학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4630&categoryId=44630"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44630', '', 1);">음식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4623&categoryId=44623" class="new"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44623', '', 1);">미술백과<span class="blind">new</span></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6675&categoryId=46675"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46675', '', 1);">동물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6676&categoryId=46676"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46676', '', 1);">식물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60419&categoryId=60419"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60419', '', 1);">문학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61278&categoryId=61278"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61278', '', 1);">역사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60418&categoryId=60418"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60418', '', 1);">음악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60196&categoryId=60196"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60196', '', 1);">밀리터리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8677&categoryId=48677"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48677', '', 1);">비주얼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1613&categoryId=51613" onclick="nclk(this, 'mnu.themelist', '51613', '', 1);">동영상백과</a> </li> </ul> </div> <div class="section general"> <strong class="title">종합백과</strong> <ul class="category_list">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0942&categoryId=40942" onclick="nclk(this, 'mnu.synlist', '40942', '', 1);">두산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4621&categoryId=44621" onclick="nclk(this, 'mnu.synlist', '44621', '', 1);">한국민족문화대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8737&categoryId=58737" onclick="nclk(this, 'mnu.synlist', '58737', '', 1);">네이버캐스트</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1792&categoryId=51792" onclick="nclk(this, 'mnu.synlist', '51792', '', 1);">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9190&categoryId=49190" onclick="nclk(this, 'mnu.synlist', '49190', '', 1);">문화원형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7623&categoryId=57623" onclick="nclk(this, 'mnu.synlist', '57623', '', 1);">조선향토대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4625&categoryId=44625" onclick="nclk(this, 'mnu.synlist', '44625', '', 1);">어린이백과</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4626&categoryId=44626" onclick="nclk(this, 'mnu.synlist', '44626', '', 1);">학생백과</a> </li> </ul> </div> <div class="section subject"> <strong class="title">주제별 카테고리</strong> <ul class="category_list">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697&categoryId=41697"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697', '', 1);">인문과학</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698&categoryId=41698"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698', '', 1);">사회과학</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699&categoryId=41699"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699', '', 1);">기술/공학</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700&categoryId=41700"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700', '', 1);">자연과학</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701&categoryId=41701"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701', '', 1);">문화예술</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702&categoryId=41702"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702', '', 1);">생활/취미/스포츠</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703&categoryId=41703"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703', '', 1);">역사/문화</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704&categoryId=41704"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704', '', 1);">기관/단체</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3702&categoryId=43702" onclick="nclk(this, 'mnu.sbjlist', '43702', '', 1);">지역/국가</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41706&categoryId=41706" onclick="nclk(this, 'mnu.sbjlist', '41706', '', 1);">시사/상식/종합</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0280&categoryId=50280" onclick="nclk(this, 'mnu.sbjlist', '50280', '', 1);">용어해설</a> </li> <li class="category_item"> <a href="/list.naver?cid=50279&categoryId=50279" onclick="nclk(this, 'mnu.sbjlist', '50279', '', 1);">참여이미지</a> </li> </ul> </div> </div> <div class="tlist_area" id="tlist_util_box"> <p class="desc"> <strong class="title"> <a href="/tlist" onclick="nclk(this, 'mnu*k.main', '', '', 1);"> 지식리스트<i class="ico_beta"><span class="blind">Beta</span></i> </a> </strong>유용한 지식리스트를 만들어 지식백과 사용자들과 공유해보세요! </p> <ul class="tlist_list"> <li class="tlist_item"> <a href="/tlist/?type=my" onclick="nclk(this, 'mnu*k.curate', '', '', 1);"> 만든리스트<em class="count __MY_CNT">999</em><i class="ico_arrow"></i> </a> </li> <li class="tlist_item"> <a href="/tlist/?type=join" onclick="nclk(this, 'mnu*k.join', '', '', 1);"> 참여한 리스트<em class="count __JOIN_CNT">999</em><i class="ico_arrow"></i> </a> </li> <li class="tlist_item"> <a href="/tlist/?type=like" onclick="nclk(this, 'mnu*k.like', '', '', 1);"> 좋아요 리스트<em class="count __LIKE_CNT">999</em><i class="ico_arrow"></i> </a> </li> <li class="tlist_item"> <a href="/tlist/?type=history" onclick="nclk(this, 'mnu*k.read', '', '', 1);"> 최근에 본 리스트<em class="count __HISTORY_CNT">999</em><i class="ico_arrow"></i> </a> </li> </ul> </div> <a href="#" role="button" class="btn_close" onclick="nclk(this, 'mnu.close', '', '', 1);return false;"> <span class="blind">카테고리 레이어 닫기</span> </a> </div> </div> </div> </div><div class="headword_wrap"> <div class="headword_area"> <div class="headword_info"> <h2 class="title"> <a href="/list.naver?cid=51343&categoryId=51343" onclick="nclk(this, 'sca.sctitle', '', '', 1);"> <span>&#51473;&#44397;</span><span>&nbsp;</span><span>&#49548;&#49688;&#48124;&#51313;</span><span>&nbsp;</span><span>&#50672;&#44396;</span></a> </h2> </div> <div class="notice_area"> <strong class="notice_title"><span class="blind">신규사전</span></strong> <ul class="notice_list"> <li class="notice_item"><a href="/list.naver?categoryId=72509" onclick="nclk(this, 'rec.source', '', '', 1);">기니비사우 개황</a></li> </ul> </div> </div> </div> </div> <hr> <div id="container"> <div id="content"> <div class="cont_util_wrap"> <div class="cont_util_area"> <ul class="util_list"> <li><a href="javascript:;" role="button" class="btn_add __TLIST_PUT" data-servicecode="TERMS" data-contentsid="2324280" onclick="nclk(this, 'toa.klstadd', '', '', 1);">지식리스트</a></li> <li><a href="javascript:;" onclick="nclk(this, 'toa.topmod', '', '', 1);window.open('/claim.naver?docId=' + 2324280 + '&serviceName=terms', '', 'width=970, height=820, location=no, status=no, toolbar=0, menubar=no, resizable=no, scrollbars=yes'); return false;">수정문의</a></li> <li><a href="javascript:;" role="button" class="btn_share naver-splugin" data-style="unity-v2" data-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343&docId=2324280&categoryId=51343" data-title="카자흐족" data-me-display="off" data-blog-source-form="2" data-cafe-source-form="2" title="보내기" onclick="nclk(this, 'toa.share', '', '', 1);">공유</a></li> <li><a href="/print.naver?docId=2324280&categoryId=51343" class="btn_print" role="button"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toa.toppri', '', '', 1); window.open(this.href, '', 'width=788, height=600, toolbar=0, menubar=no, resizable=no, scrollbars=yes'); return false;">인쇄</a></li> </ul> <div class="font_area" id="btn_fs"> <a href="javascript:;" role="button" class="btn font" aria-expanded="false" aria-haspopup="listbox" id="font_set">글꼴</a> <div class="ly_font_list" id="fontset_area" role="listbox"> <a href="javascript:;" data-class="font1" role="option">나눔고딕</a> <a href="javascript:;" data-class="font2" role="option">맑은고딕</a> <a href="javascript:;" data-class="font3" role="option">돋움체</a> </div> <a href="javascript:;" role="button" class="btn sm __fontBtn">가<span class="blind">- 글꼴 작게</span></a> <a href="javascript:;" role="button" class="btn big __fontBtn">가<span class="blind">+ 글꼴 크게</span></a> </div> </div> </div> <div class="section_wrap "> <div class="headword_title"> <p class="cite"> <a href="list.naver?categoryId=62055&so=st4.asc" onclick="clickcr(this, 'toa.source', '', '', event);">중국 소수민족 연구</a> </p> <h2 class="headword">카자흐족</h2> <p class="desc">카자흐스탄과 중국의 과계민족</p> <p class="word"> [ <span class="word_txt">哈薩克族</span> , <span class="word_txt">Kazak</span> ] </p> </div> <div id="size_ct" class="size_ct_v2"> <div class="att_type"> <div class="inner_att_type"> <div class="wr_tmp_profile"> <div class="tmp_profile"> <table class="tmp_profile_tb"> <colgroup> <col class="tmp_col"> <col width="*"> </colgroup> <tbody> <tr> <th scope="row"><span class="title">이칭</span></th> <td> 합살극족 </td> </tr> </tbody> </table> </div> </div> </div> </div> <div class="tmp_agenda newline"><h3>목차</h3><ol><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1"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1)</i> 인구와 분포</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2"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2)</i> 카자흐족 주요 거주지의 자연환경</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3"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3)</i> 민족의 기원과 역사, 명칭</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4"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4)</i> 언어와 문자</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5"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5)</i> 교육 및 문맹률</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6"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6)</i> 문화 예술</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7"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7)</i> 풍속 습관</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8"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8)</i> 전통명절 및 절기</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9"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9)</i> 종교와 신앙</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10"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10)</i> 민족자치 상황</a></li> <li class=""><a href="#TABLE_OF_CONTENT11" onclick="clickcr(this, 'bdy.contents', '', '',event);"><i>(11)</i> 산업경제 현황</a></li> </ol></div>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1"> (1) 인구와 분포</h3> <p class="txt">중국의 카자흐족 인구는 2000년 현재 1,250,458명이며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 크기가 16번째이다.<a href="#footNote1"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1', 1)"><sup id="footNoteSrc1">1)</sup></a> (2000년 중국 인구조사통계)</p>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의 인구변화 통계</h4> <p class="tb_dsc2"><span>(단위: 명)</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의 인구변화 통계</caption> <tbody> <tr> <th><em>분 류</em></th> <th><em>1953년</em></th> <th><em>1964년</em></th> <th><em>1982년</em></th> <th><em>1990년</em></th> <th><em>2000년</em></th> </tr> <tr> <td class="ta_center"><p>카자흐족 인구</p></td> <td class="ta_center"><p>509,375</p></td> <td class="ta_center"><p>491,637</p></td> <td class="ta_center"><p>907,546</p></td> <td class="ta_center"><p>1,110,758</p></td> <td class="ta_center"><p>1,250,458</p></td> </tr> <tr> <td class="ta_center"><p>중국 전체 인구<br>(카자흐족 비율, %)</p></td> <td class="ta_center"><p>577,856,141<br>(0.088%)</p></td> <td class="ta_center"><p>691,220,104<br>(0.071%)</p></td> <td class="ta_center"><p>1,003,913,927<br>(0.090%)</p></td> <td class="ta_center"><p>1,130,510,638<br>(0.98%)</p></td> <td class="ta_center"><p>1,242,612,226<br>(0.101%)</p></td> </tr> <tr> <td class="ta_center"><p>소수민족 전체 인구<br>(카자흐족 비율, %)</p></td> <td class="ta_center"><p>34,013,782<br>(1.498%)</p></td> <td class="ta_center"><p>39,883,909<br>(1.233%)</p></td> <td class="ta_center"><p>66,434,341<br>(1.366%)</p></td> <td class="ta_center"><p>90,567,245<br>(1.226%)</p></td> <td class="ta_center"><p>104,490,735<br>(1.197%)</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國民族統計年鑑》 2004년 판, pp.487-488</p></div> <p class="txt">최대 분포지인 신강위구르자치구에는 중국 내 카자흐족 전체 인구의 약 99.6%인 1,245,023명이 거주한다(신강위구르자치구 전체 인구인 18,459,511명의 약 6.7%). 신강위구르자치구 이외 지역에는 감숙성에 2,963명이 거주하며 여타 각 성급 행정구역에는 각기 1천 명 미만의 카자흐족이 산재한다.<a href="#footNote2"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2', 1)"><sup id="footNoteSrc2">2)</sup></a> 카자흐족은 신강 지역에 거주하는 13개의 주요 민족 가운데 위구르족과 한족에 이어 세 번째로 크다.<br><br>지역적으로 카자흐족은 신강위구르자치구의 천산(天山)산맥 북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이리(伊犁) 카자흐족 자치주에 있는 이녕(伊寧)시, 탑성(塔城) 및 아륵태(阿勒泰)의 2개 지역, 목루(木壘)와 파리곤(巴里坤)의 2개 카자흐족 자치현에 많이 거주한다. 이외에 신강위구르자치구 내 박이탑랍(博爾塔拉) 몽골 자치주와 규둔(奎屯)시에 산재하고 있고 일부는 감숙성의 아극새(阿克塞) 카자흐족 자치현에 거주한다.<br><br>카자흐족은 향촌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비율이 84.75%에 달하여 중국 내 카자흐족의 대다수는 농촌 및 유목 지역 등에 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시 지역 거주비율은 6.44%에 불과하여 한족(24.64%), 중국 내 전체 인구 평균(23.55%)은 물론 중국 내 전체 소수민족 평균 도시거주 비율(11.87%)보다도 낮다. 또한 준도시화 지역인 진(鎭) 거주비율도 8.81%에 그치고 있다.</p> <div class="thmb c"> <a href="/imageDetail.naver?docId=2324280&imageUrl=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3672_000_1%2F20141205113243038_KOR9IC3B8.jpg%2Fea31_2_20_i1.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 target="_blank" onclick="clickcr(this, 'bdy.imgal', '', '', event);"><img src="https://dbscthumb-phinf.pstatic.net/3672_000_1/20141205113243038_KOR9IC3B8.jpg/ea31_2_20_i1.jpg?type=w530_fst_n&wm=Y" width="530" height="482" alt="카자흐족" origin_src="https://dbscthumb-phinf.pstatic.net/3672_000_1/20141205113243038_KOR9IC3B8.jpg/ea31_2_20_i1.jpg?type=m4500_4500_fst_n&wm=Y" origin_width="2280" origin_height="2075" source="중국 소수민족 연구" hasTitle="Y" data-font-image="false" desc="" data-title="" data-seq="1"></a> </div>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의 도시, 준도시화 지역(鎭) 및 향촌 지역 거주인구 통계</h4> <p class="tb_dsc2"><span>(단위: 명)</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의 도시, 준도시화 지역(鎭) 및 향촌 지역 거주인구 통계</caption> <colgroup> <col width="104" /> <col width="91" /> <col width="141" /> <col width="125" /> <col width="142" /> </colgroup> <tbody> <tr> <th><em>분 류</em></th> <th><em>전체 인구(100%)</em></th> <th><em>도시(城市, city) 거주(%)</em></th> <th><em>진(鎭, town) 거주(%)</em></th> <th><em>향촌(鄕村, rural) 거주(%)</em></th> </tr> <tr> <td class="ta_center"><p>카자흐족</p></td> <td class="ta_center"><p>1,250,458</p></td> <td class="ta_center"><p>80,538<br>(6.44)</p></td> <td class="ta_center"><p>110,191<br>(8.81)</p></td> <td class="ta_center"><p>1,059,729<br>(84.75)</p></td> </tr> <tr> <td class="ta_center"><p>중국 전체</p></td> <td class="ta_center"><p>1,242,612,226</p></td> <td class="ta_center"><p>292,632,692<br>(23.55)</p></td> <td class="ta_center"><p>166,138,291<br>(13.38)</p></td> <td class="ta_center"><p>783,841,243<br>(63.08)</p></td> </tr> <tr> <td class="ta_center"><p>한족(漢族)</p></td> <td class="ta_center"><p>1,137,386,112</p></td> <td class="ta_center"><p>280,208,523<br>(24.64)</p></td> <td class="ta_center"><p>153,986,813<br>(13.54)</p></td> <td class="ta_center"><p>703,190,776<br>(61.83)</p></td> </tr> <tr> <td class="ta_center"><p>소수민족 전체</p></td> <td class="ta_center"><p>104,490,735</p></td> <td class="ta_center"><p>12,404,005<br>(11.87)</p></td> <td class="ta_center"><p>12,087,809<br>(11.57)</p></td> <td class="ta_center"><p>79,998,921<br>(76.56)</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國民族工作年鑑》 2003년 판, pp.790-791 (‘2000년 전국 인구센서스 각 민족의 도시 · 진 · 향촌 거주인구’)</p></div>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2"> (2) 카자흐족 주요 거주지의 자연환경</h3> <p class="txt">카자흐족의 주요 분포 지역인 천산(天山)산맥의 북록, 알타이산, 탑이파합태산(塔爾巴哈台山), 살오이산(薩吾爾山), 파이노극산(巴爾魯克山)과 기련산(祈連山) 서부 지역 등은 물과 풀이 풍부하고 삼림이 무성하며 목축에 적합한 광활한 초원 지대와 토양이 비옥한 분지 오아시스 지역이기에 중국 서부 지역에서 가장 풍요롭고 아름다운 지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br><br>이리하(伊犁河), 액이제사하(額爾齊斯河), 오륜고하(烏倫古河), 액민하(額敏河)와 마납사하(瑪納斯河) 그리고 만년설산에서 녹아내린 크고 작은 하천들이 종횡으로 흐른다. 또한 오륜고호(烏倫古湖), 객납사호(喀納斯湖), 새리목호(賽里木湖), 파리곤호(巴里坤湖)와 천지(天池) 등의 큰 호수들 역시 풍광이 수려하다. 이처럼 카자흐족 거주 지역에는 고산, 삼림, 초원, 하천 및 호수 등 다양한 자연풍광이 어우러져 있다.<br><br>카자흐족 주요 거주 지역은 반건조의 온대 대륙성 기후지대에 속하며 위도(緯度)와 해발 고도(高度)가 같지 않기에 주요 거주 지역 간에 기후차이가 비교적 크다. 예를 들어, 이리(伊犁) 지역은 기후가 온화하고 강수량이 비교적 풍부한 반면, 아륵태(阿勒泰) 지역은 겨울이 길고 한랭하여 최저기온이 -51.5℃까지 내려가기도 한다.<br><br>아울러 이 지역은 석탄, 금, 은, 구리, 주석, 납, 텅스텐, 우라늄, 리튬, 니오브, 아연, 석유, 유황, 운모 및 수정 등 광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식량작물은 밀, 옥수수, 미자(糜子), 보리, 귀리 및 각종 콩류 등을 재배하며 경제작물로는 해바라기, 유채, 호마(胡麻), 면화, 홍화(紅花) 및 감채 등이 있다. 과일로는 수박, 참외, 사과, 포도, 복숭아, 살구 등을 재배한다. 이리(伊犁) 지역의 가는 털 양(細毛羊)과 아륵태(阿勒泰) 지역의 큰 꼬리 양(大尾羊), 유민(裕民) 지역의 파서배 양(巴西拜羊) 그리고 이리(伊犁) 지역의 말, 파리곤(巴里坤) 지역의 말 등은 국내외적으로 유명하다.<br><br>이리(伊犁) 카자흐 자치주에는 생태환경보호구역과 새로 개발된 관광구역이 있다.</p>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3"> (3) 민족의 기원과 역사, 명칭</h3> <p class="txt"><strong>(민족의 기원과 역사)</strong><br> <br>카자흐족의 기원과 관련, 고대 중국의 북방 및 서역에 존재하였던 수많은 부락과 부족 가운데 스키타이인(塞種), 오손(烏孫), 흉노(匈奴), 강거(康居), 아란(阿蘭), 엄채(奄蔡), 내만(乃蠻), 극렬(克烈), 흠차(欽察), 돌륙(咄陸), 돌기시(突騎施), 갈라록(葛邏祿), 찰랄역이(札剌亦爾), 홍길랄특(弘吉剌特), 아이근(阿爾根), 아리흠(阿里欽) 등 종족집단이 장기간 교류를 통해 융합되면서 오늘날의 카자흐족의 조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한(漢)대에 천산산맥 북방에 거주하던 오손(烏孫)에서 유래하였다는 견해도 있다.<br><br>서기 15세기에 이르러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우즈베크족 집단에서 카자흐족이 분리 독립하면서 오늘날 카자흐스탄 동남부에 있는 칠하(七河) 유역을 중심으로 카자흐 초원 전역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자신들의 국가인 카자흐 한국(汗國)을 건국하였다. 18세기 중엽 청 왕조가 몽골계 유목민족인 준가르를 정벌하고 천산산맥 북쪽 지역을 정복하자 당시 서쪽의 카자흐 초원에 있던 카자흐족 일부가 청 왕조 관할 지역으로 이주하여 귀부(歸附)하였다.<br><br>한편 러시아가 동방으로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1820년대에는 카자흐 초원 지역의 대부분이 러시아 통제 아래로 들어갔다. 이에 따라 카자흐족의 거주 지역은 청과 러시아 두 나라 영역에 걸치는 분포형태가 되었으며 양국 내 카자흐족은 필요시 국경을 넘어 이동을 해 왔다. 서기 19세기 중엽, 중국과 러시아 간 국경획정 조약에 따라 중국 내 거주하던 카자흐족은 중국 국민이 되었다.<br><br><strong>(사회경제 발전단계)</strong><br> <br>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에 카자흐족 사회는 역사적 사회발전단계상 유목경제를 위주로 하는 종법적인 봉건사회 단계에 있었지만 촌락 공동체적인 요소도 존재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br><br><strong>(민족 명칭)</strong><br><br>“카자흐”(哈薩, Kazak)라는 말의 뜻에 대해서는 ‘진정한 스키타이인’(塞克, 塞種), ‘백조’(白天鵝), ‘피난자’(避難者) 또는 ‘자유인’(自由人)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명대인 서기 15세기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여 후대에 이 종족집단의 공식명칭으로 정착되었다. 고대 카자흐족 선조와 관련된 종족 집단의 명칭 관련, 학계에서는 선진(先秦) 시대의 오손(烏孫), 한당(漢唐) 시대의 설연타(薛延陀), 엄채(奄蔡), 갈살(曷薩) 및 아살(可薩) 등 다양한 명칭은 동일 종족집단의 명칭을 음사하면서 달리 표기하였다고 본다.<br><br>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3년부터 1954년 중국 제1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 개최 전까지 진행된 제1단계 민족조사 및 식별사업을 거쳐 새롭게 인정된 38개 소수민족에 포함되어, 민족명칭이 ‘哈薩克族’(합살극족, “카자흐”족)이라고 정해졌다.</p>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哈薩克族)의 민족 계통 및 시대별 명칭 변화-1</h4> <p class="tb_dsc2"><span></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哈薩克族)의 민족 계통 및 시대별 명칭 변화-1</caption> <tbody> <tr> <th><em>민족 계통</em></th> <th><em>선진(先秦)</em></th> <th><em>진한위진남북조<br>(秦漢魏晋南北朝)</em></th> <th><em>수당오대송<br>(隋唐五代宋)</em></th> <th><em>원(元)</em></th> <th><em>명(明)</em></th> <th><em>청(淸)</em></th> <th><em>현대(現代)</em></th> </tr> <tr> <td class="ta_center"><p>丁零(정령) - 突厥族系(투르크족계)</p></td>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薛延陀(설연타)</p></td> <td class="ta_center"><p>阿薩(아살)</p></td>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합살극)</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합살극)</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族(합살극족: “카자흐”족)</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華民族知識通覽》, pp.523-527</p></div>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哈薩克族)의 시대별 명칭 변화-2</h4> <p class="tb_dsc2"><span></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哈薩克族)의 시대별 명칭 변화-2</caption> <tbody> <tr> <th><em>선진(先秦)</em></th> <th><em>진한(秦漢)</em></th> <th><em>위진남북조(魏晋南北朝)</em></th> <th><em>수당(隋唐)</em></th> <th><em>송(宋)</em></th> <th><em>원(元)</em></th> <th><em>명(明)</em></th> <th><em>청(淸)</em></th> <th><em>민국(民國)</em></th> <th><em>현대(現代)</em></th> </tr> <tr>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突厥一部(돌궐일부), 回鶻一部(회골일부), 烏孫(오손)의 일부를 융합</p></td> <td class="ta_center"><p>-</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합살극)</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합살극)</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합살극)</p></td> <td class="ta_center"><p>哈薩克(합살극: “카자흐”)</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華民族知識通覽》, pp.528-533 (翁獨健 편집,《中國民族關係史綱要》, 중국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0년 제1판에서 재인용)</p></div>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4"> (4) 언어와 문자</h3> <p class="txt"><strong>(민족 언어)</strong><br><br>카자흐족의 언어는 교착어로서, 알타이 어계의 투르크 어족(突厥語族)에 속한다. 중국 내 사용되는 카자흐어는 2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지는데 말과 어휘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현대 카자흐어에는 고대 언어의 요소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데 목축업 관련 어휘, 추상명사, 전문학술어, 격언 및 속담 등이 상당히 풍부하여 민족적 특색이 잘 나타난다.<br><br><strong>(민족 문자)</strong><br><br>카자흐족은 역사적으로 고대 돌궐의 여니(如尼) 문자, 회골(回鶻) 문자 및 아랍 문자를 사용하였다. 중국정부는 1965년 라틴문자에 기반을 둔 새로운 카자흐문자를 창제하여 사용을 추진하다가 실용성 등의 문제로 1982년 사용을 중지시키고 현재는 여전히 ‘옛 문자’(老文字)라는 별칭을 가진 아랍 문자를 변형시킨 카자흐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a href="#footNote3"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3', 1)"><sup id="footNoteSrc3">3)</sup></a></p>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5"> (5) 교육 및 문맹률</h3> <p class="txt">2000년 현재 카자흐족의 6세 이상(6세 포함) 전체 인구의 최종학력 비율을 살펴보면, 미취학자 비율 3.17%이며, ‘문맹 퇴치반’ 과정 0.75%, 초등교육 과정 48.45%, 중학교 과정 30.40%, 고등학교 교육 7.49%, 중등전문학교 과정 5.63%, 초급대학 과정 2.90%, 대학 과정 1.18%, 대학원 과정 0.02%이다. 중국 내 카자흐족은 교육수준은 중국 내 한족 및 전국인구의 평균과 비슷하다.<br><br>한편 15세 이상(15세 포함) 인구의 문맹률은 2.68%이다. 이는 55개 소수민족의 평균 문맹률인 14.54%와 중국 내 전체 인구의 평균 문맹률인 9.08%, 한족의 문맹률 8.60%에 비하여도 훨씬 낮은 수준으로서 조선족의 2.86%보다도 낮으며 중국 내 한족을 포함한 56개 민족 가운데 문맹률이 가장 낮다.</p>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6세 이상 인구의 교육상황<a href="#footNote4"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4', 1)"><sup id="footNoteSrc4">4)</sup></a> 및 15세 이상 인구의 문맹률<a href="#footNote5"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5', 1)"><sup id="footNoteSrc5">5)</sup></a></h4> <p class="tb_dsc2"><span>(단위: 명, %)</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6세 이상 인구의 교육상황앞 책《中國2000年人口普査資料》, pp.564-567 및 15세 이상 인구의 문맹률앞 책《中國民族統計年鑑》 2004년 판, pp.500</caption> <tbody> <tr> <th><em>분 류</em></th> <th><em>합계<br>(100%)</em></th> <th><em>미취학자(%)</em></th> <th><em>‘문맹 퇴치반’ 과정(%)</em></th> <th><em>초등학교과정(%)</em></th> <th><em>중학교과정(%)</em></th> <th><em>고등학교 과정(%)</em></th> <th><em>중등전문학교과정(%)</em></th> <th><em>초급대학 과정(%)</em></th> <th><em>대학과정(%)</em></th> <th><em>대학원과정(%)</em></th> <th><em>15세 이상 인구의 문맹률(%)</em></th> </tr> <tr> <td class="ta_center"><p>카자흐족</p></td> <td class="ta_center"><p>1,126,537</p></td> <td class="ta_center"><p>35,760<br>(3.17)</p></td> <td class="ta_center"><p>8,437<br>(0.75)</p></td> <td class="ta_center"><p>545,783<br>(48.45)</p></td> <td class="ta_center"><p>342,489<br>(30.40)</p></td> <td class="ta_center"><p>84,393<br>(7.49)</p></td> <td class="ta_center"><p>63,444<br>(5.63)</p></td> <td class="ta_center"><p>32,717<br>(2.90)</p></td> <td class="ta_center"><p>13,325<br>(1.18)</p></td> <td class="ta_center"><p>189<br>(0.02)</p></td> <td class="ta_center"><p>2.68%</p></td> </tr> <tr> <td class="ta_center"><p>중국전체</p></td> <td class="ta_center"><p>1,156,700,293</p></td> <td class="ta_center"><p>89,629,436<br>(7.75)</p></td> <td class="ta_center"><p>20,767,295<br>(1.80)</p></td> <td class="ta_center"><p>441,613,351<br>(38.18)</p></td> <td class="ta_center"><p>422,386,607<br>(36.52)</p></td> <td class="ta_center"><p>99,073,845<br>(8.57)</p></td> <td class="ta_center"><p>39,209,614<br>(3.39)</p></td> <td class="ta_center"><p>28,985,486<br>(2.51)</p></td> <td class="ta_center"><p>14,150,726<br>(1.22)</p></td> <td class="ta_center"><p>883,933<br>(0.08)</p></td> <td class="ta_center"><p>9.08%</p></td> </tr> <tr> <td class="ta_center"><p>한족<br>(漢族)</p></td> <td class="ta_center"><p>1,061,196,336</p></td> <td class="ta_center"><p>77,071,225<br>(7.26)</p></td> <td class="ta_center"><p>18,265,483<br>(1.72)</p></td> <td class="ta_center"><p>398,665,791<br>(37.57)</p></td> <td class="ta_center"><p>395,966,476<br>(37.31)</p></td> <td class="ta_center"><p>93,677,240<br>(8.83)</p></td> <td class="ta_center"><p>36,139,553<br>(3.41)</p></td> <td class="ta_center"><p>27,250,348<br>(2.57)</p></td> <td class="ta_center"><p>13,323,659<br>(1.26)</p></td> <td class="ta_center"><p>847,561<br>(0.08)</p></td> <td class="ta_center"><p>8.60%</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p></div>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6"> (6) 문화 예술</h3> <p class="txt"><strong>(민족 문학)</strong><br><br>카자흐족의 민간문학은 내용이 풍부하고 형식이 다양하여 카자흐 민족 문화예술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즉 신화, 전설, 민간고사, 역사시, 시가(詩歌), 대창(對唱), 탄창(彈唱), 속담, 수수께끼 및 격언 등 형식이 다양하다. 아울러 그 내용은 우주, 자연계, 인류, 민족기원, 인물, 동물, 애정, 역사, 풍속, 의례(儀禮), 관혼상제 및 종교 등 사회생활의 각 분야를 다루고 있다. 예를 들어, 장시(長詩) 한 분야만 해도 약 200여 편이 있는데, 대표적인 작품은 《아륵파미사(阿勒帕米斯)》, 《영웅 탑이근(英雄塔爾根)》, 《과자 소년과 파언 미녀(科孜少年與巴彦美女)》 및 《살리합과 살만(薩里哈與薩曼)》 등이 있다.<br><br><strong>(민족 음악 및 무용)</strong><br><br>카자흐족의 민족음악은 유럽과 아시아의 특징이 함께 나타나며 매우 독특하다. 주요 악기인 민속악기 “뚱부라”(冬布拉 또는 冬不拉)는 무도곡 연주에 없어서는 안 되며 이외에 체이특아(切爾特兒), 칠현금(七絃琴), 아덕이나(阿德爾那) 등 줄을 타는 악기와 원적(圓笛), 관적(管笛), 구금(口琴), 피리 등 관(管)악기 그리고 원고(圓鼓), 수고(手鼓), 순고(盾鼓), 장고(長鼓), 마제고(馬蹄鼓), 수령(手鈴) 등 타악기가 있다.<br><br>카자흐족의 춤은 “뚱부라”(冬不拉) 또는 삼현금(三絃琴)의 반주 속에 허리와 어깨를 조화롭게 움직이며 새가 날아가는 동작 및 말을 타는 동작들을 묘사하는 표현성이 강한 즉흥예술이다. 카자흐족은 물론 위구르족도 즐기는 무용 ‘흑주마’(黑走馬)는 춤추는 자태가 매우 우아하고 아름다우며 중앙아시아 초원 지대에 널리 유행하였다.<br><br><strong>(전통 공예)</strong><br><br>카자흐족의 공예미술은 매우 다채롭다. 부녀들은 파오(천막으로 만든 이동가옥), 카페트, 직물 및 의복을 만들고 남자들은 목기, 철기와 골기(骨器) 등을 만든다. 특히 금, 은, 옥석으로 만든 전통적인 장식품의 조형예술 수준은 매우 정교하다. 카자흐족의 자수(刺繡)는 그 도안이 매우 특이하고 또한 상징하는 의미가 다양하다.</p>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7"> (7) 풍속 습관</h3> <p class="txt">중국 내 카자흐족은 한족 생활 방식에 동화하기를 거부하고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다.<br><br><strong>(전통 복식문화)</strong><br> <br>카자흐족의 복장은 주로 가축의 가죽으로 만드는데 흔히 양가죽으로 외투를 입으며 나이, 성별 및 계절에 따라 다르다. 남녀 모두 긴 가죽장화 스타일의 신발을 좋아한다. 부녀자들은 일반적으로 치마가 있는 원피스 스타일의 옷을 입고 밖에는 자소 도안을 한 각종 조끼를 걸친다. 젊은 여성들은 색상이 선명한 자수가 놓이고 주름이 많은 치마가 있는 원피스 스타일의 옷을 입으며 머리에는 둥근 모자를 쓰는데 이 모자는 테두리에 구슬 및 자수도안으로 장식을 하고 또한 꼭대기에는 부엉이 깃털을 꼽는다.<br><br>처녀들은 수놓은 꽃무늬 바지를 즐겨 입고 은제품으로 치장하는 것을 즐긴다. 여성들은 머리에 두건을 두르는데 나이가 조금 있는 여자는 크고 폭이 넓으며 또한 흰색으로 테두리를 자수한 두건을 쓴다. 남자는 자수를 한 곧은 옷깃의 내의를 입고 허리띠를 차며 머리에는 자수를 한 둥근 모자, 또는 모직물의 끝을 뒤집어 만든 모자나 여우 모피로 윗부분을 뾰족하게 만든 가죽 모자를 쓴다. 그리고 큰 자루형의 바지를 입는다.<br><br><strong>(음식 문화)</strong><br> <br>카자흐족은 유제품, 면류 및 육식을 주식으로 하는데 동물 젖으로 만드는 차(奶茶)는 하루에 세 번 식사를 할 때마다 반드시 함께 마신다. 양 젖과 소젖으로 버터(黃油)와 각종 유제품을 만든다. 양, 소, 말 및 낙타의 젖을 발효시킨 음료를 즐겨 마신다. 특히 말 젖을 발효시켜 만든 “쿠미스”라고 하는 저알콜 성분의 유산 음료를 즐긴다. 또한 위구르족의 주식인 “난”도 카자흐족의 주요 음식 중 하나이다. 면양(綿羊), 산양(山羊), 소와 말의 고기는 찌거나 볶는 방식 또는 굽는 방식 등으로 요리를 하여 먹는다. 겨울철에 대비하여 훈육(燻肉), 말린 고기 및 소시지 등을 많이 준비한다. 봄부터 가을까지는 양고기를 주로 먹지만 가을부터 겨울에는 말의 창자에 말고기를 채워 훈제한 소시지를 먹는다.<br><br>카자흐족은 민족 종교인 이슬람교의 교리의 영향을 받아 돼지, 나귀, 개 등의 고기와 스스로 죽은 가축과 모든 동물의 피를 먹는 것을 금한다.<br><br><strong>(주거 문화 및 공동체 생활)</strong><br> <br>카자흐족은 대다수가 목축업에 종사하므로 유목생활에 적합하도록 쉽게 주거공간을 설치, 철거하고 이동하기 좋도록 “우이”라고 부르는 이동식 텐트가옥 전방(氈房)을 일찍부터 사용하였다. 몽골족의 파오와 비슷한 형태인 카자흐족의 이동식 텐트가옥은 보온, 방열효과 및 건축 구조가 매우 뛰어나다. 봄, 여름, 가을에는 원형 파오에서 살고 겨울에는 흙집이나 나무집에서 산다.<br><br>이러한 “우이”에는 한 가족이 거주하며 대개 7-8호의 가족이 모여 전통적인 유목 단위인 “아우르”(阿烏爾: 씨족부락 조직의 기본단위)를 구성한다.<br><br>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 카자흐족 사회 통치제도는 봉건 종법제도였다. 몇몇 유목민들이 가까운 혈통관계를 기초로 결합하여 유목부락 “아우르”(阿烏爾: 씨족부락 조직의 기본단위)를 이루었다. 기본적인 사회 단위인 “아우르”는 확대된 가족 개념으로서, 이들은 국가 개념이 희박하며 족장들은 단합을 하지 않는다. 카자흐족은 친족 이외에는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중국 당국은 혈족에 따라 카자흐족만의 생산 공동체 단위를 만들려고 시도하기도 하였다.<br><br><strong>(혼인풍속 및 가정생활)</strong><br> <br>카자흐족은 일부일처제를 실행한다. 과거에는 부모가 자식의 혼사를 독자적으로 결정하였으나 현재는 자유연애가 보편적이다.<a href="#footNote6"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6', 1)"><sup id="footNoteSrc6">6)</sup></a><br><br>결혼은 혼담 꺼내기(提親), 약혼(定親), 양가 상견례(認親), 신랑 측이 가마를 준비하여 신부 집에 가서 신부를 맞이하기(娶親) 등의 절차를 거치는데 결혼의례가 복잡하고 혼례비용 부담이 크다. 혼담을 꺼내고 나서부터 결혼절차가 완료되기까지 통상 최소 1년이 걸리며 몇 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br><br>같은 부락의 사람과는 결혼을 하지 않는 족외혼(族外婚) 관습에 따라 씨족 이외의 집단에서 배우자를 선택하며 같은 조상으로부터 7대(代) 이내의 친척 간에는 혼인을 금지한다. 2000년 현재 카자흐족의 다른 민족과의 통혼율(通婚率)은 0.21%로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통혼율이 가장 낮다. 이는 카자흐족이 이슬람교를 주로 신봉하기에 한족 등 비이슬람교 민족과의 결혼에 종교적인 어려움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2000년 중국 인구조사통계)<br><br><strong>(장례 습속)</strong><br><br>카자흐족은 보통 토장(土葬)을 하며 시신의 얼굴을 서쪽을 향하도록 안치한다.<br><br>카자흐족의 장례절차는 이슬람교 의식에 따라 반상(扳喪), 수령(守靈), 조언(弔唁), 정신(淨身), 속죄(贖罪)의식, 송장(送葬), 애도(哀悼) 및 제사(祭祀) 등으로 진행된다. 제사는 7일제(日祭), 40일제(日祭) 및 주년제(周年祭)가 있다.<br><br><strong>(생활 관습 및 금기)</strong><br> <br>카자흐족은 우의를 중요시하고 방문이나 투숙하는 손님을 정성스럽게 대한다. 손님 접대 시 집에서 제일 좋은 음식으로 하며 귀한 손님인 경우는 황두백신(黃頭白身)의 양을 잡아 대접한다. 식사할 때 주인은 먼저 양머리를 손님께 드림으로 손님에 대한 존중함을 표시한다. 이때 손님은 칼로 양머리 오른편의 살을 잘라서 연장의 주인에게 드리고 또 양의 한쪽 귀를 떼어 주인집의 아이나 여인에게 주고 그다음 자신은 마음대로 고기 한 덩어리를 먹는다. 그리고 그 양머리를 접시채로 주인에게 돌려준다.<br><br>일상생활상의 금기로는 연장자 앞에서 술을 마셔도 안 되며 연장자의 이름을 불러서도 안 된다. 주인 앞에서 그 집의 가축 수를 세지 말고 가축의 멍에 위로 넘어가면 안 된다. 음식을 담은 상자나 그릇 위에 앉으면 안 된다. 침상에 앉으면 안 되고 카페트에서는 꿇어앉아야 한다. 뒤에서 다른 사람을 욕하거나 친구에게 충실하지 못하는 것을 금한다. 자기 자식을 칭찬하는 것을 싫어하며 특히 애들을 뚱뚱하다고 하는 것은 불길(不吉)하다고 여긴다. 말을 타고 양 무리에 들어가면 안 되며 손님이 말을 타고 문 앞에서 내리면 안 된다. 특히 달리는 말을 타고 문 앞에서 내리는 것을 싫어한다. 이것은 상사(喪死) 혹은 나쁜 소식을 예고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p>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8"> (8) 전통명절 및 절기</h3> <p class="txt">카자흐족의 전통명절은 한족의 춘절(春節)에 해당하는 나오노자절(那吾魯孜節, 또는 納吾肉孜節로도 부름)로서 매년 음력 춘분(春分, 양력 3월 22일 전후)에 명절을 지낸다. 종교성회일(宗敎盛會日)이라고도 부른다.<br><br>종교 명절로는, 이슬람교를 믿는 다른 민족과 마찬가지로 성기절(聖紀節), 개재절(開齋節) 및 고이방절(古爾邦節, 일명 ‘宰牲節’) 등 3대 절기를 지낸다.</p>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哈薩克族)의 전통명절 및 절기 일람표</h4> <p class="tb_dsc2"><span></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哈薩克族)의 전통명절 및 절기 일람표</caption> <colgroup> <col width="92" /> <col width="115" /> <col width="128" /> <col width="85" /> <col width="167" /> <col width="84" /> </colgroup> <tbody> <tr> <th><em>절기 명칭</em></th> <th><em>별 칭</em></th> <th><em>일 시</em></th> <th><em>실시 지역</em></th> <th><em>주요 활동 내용</em></th> <th><em>비 고<br>(해당 민족)</em></th> </tr> <tr> <td class="ta_center"><p>성기절<br>(聖紀節)</p></td> <td class="ta_center"><p>성절(聖節), 성기(聖紀), 판성회(辦聖會), 모로덕절(冒路德節)</p></td> <td class="ta_center"><p>이슬람력 3월 12일</p></td> <td><p>이슬람교를 신앙하는 소수민족 취거(聚居) 지역</p></td> <td><p>이슬람 사원에서 독경, 무함마드의 생애를 찬양하기, 집마다 소와 양을 잡아 바치기, 향유(香油) 태우기, 유과(油果)를 준비하여 손님 초대, 친구들과 서로 축하하기</p></td> <td><p>카자흐족 포함 10개의 무슬림 소수민족이 이 절기를 지냄.</p></td> </tr> <tr> <td class="ta_center"><p>나오노자절<br>(那吾魯孜節)</p></td> <td class="ta_center"><p>*“나우루쯔”(那吾魯孜)는 카자흐말로 송구영신(送舊迎新)의 뜻</p></td> <td class="ta_center"><p>양력 3월 22일 전후</p></td> <td><p>신강위구르자치구 북부</p></td> <td><p>서로 경배를 하고, 7가지 재료로 만든 “쿠지”(庫吉) 함께 먹기. 양 잡기, 경마, 발씨름 등</p></td> <td class="ta_center"><p>카자흐족(哈薩克族)</p></td> </tr> <tr> <td class="ta_center"><p>개재절<a href="#footNote7"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7', 1)"><sup id="footNoteSrc7">7)</sup></a><br>(開齋節)</p></td> <td class="ta_center"><p>이덕(爾德), 비도이(菲圖爾), 대개재(大開齋), 대절(大節), 대년(大年)육고절(肉攷節), 이덕절(爾德節), 대이덕(大爾德), 소이덕(小爾德)</p></td> <td class="ta_center"><p>이슬람력 10월 1일</p></td> <td><p>이슬람교를 신앙하는 소수민족 취거(聚居) 지역</p></td> <td><p>명절 전에 집 주변 청소, 집 단장 및, 음식 준비하기. 명절 기간에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이슬람 사원에 모이기 또는 야외에 모여 경축활동하기. 명절 음식 보내기, 묘 주변 청소하기, 노래하고 춤추기 등. 일부 민족은 희생 양 바치기, 경마, 활쏘기, 씨름하기 등을 함.</p></td> <td><p>카자흐족 포함 10개의 무슬림 소수민족이 이 절기를 지냄.</p></td> </tr> <tr> <td class="ta_center"><p>고이방절<a href="#footNote8" class="word_sup" onclick="nclk(this, 'bdy.footnote', '', '8', 1)"><sup id="footNoteSrc8">8)</sup></a><br>(古爾邦節)</p></td> <td class="ta_center"><p>재생절(宰牲節), 헌생절(獻牲節), 충효절(忠孝節), 대회예일(大會禮日), 이덕절(爾德節), 고이반절(庫爾班節), 소개재절(小開齋節)</p></td> <td class="ta_center"><p>이슬람력 12월 10일</p></td> <td><p>이슬람교를 신앙하는 소수민족 취거(聚居) 지역</p></td> <td><p>목욕하고 향을 피우며, 이슬람 사원에 가서 예배에 참석하기, 희생물을 준비하는데 참관하기, 상호 축하하는 절하기, 가무집회 개최, 양 잡기, 경마, 씨름, 아가씨 쫓아다니기 등</p></td> <td><p>카자흐족 포함 10개의 무슬림 소수민족이 이 절기를 지냄.</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華民族知識通覽》, pp.564-591 (《中國風俗辭典》, 중국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1990년 제1판 내용 재인용)</p></div>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9"> (9) 종교와 신앙</h3> <p class="txt">중국 내 카자흐족은 주로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특징적인 것은 카자흐족은 전통적으로 유목생활을 하기에 별도의 이슬람교 사원을 갖고 있지 않다. 부락 및 부족의 분포 지역에 따라 일부 부족은 과거에 전래된 불교와 기독교 네스토리우스파인 경교(景敎)를 믿는다. 동시에 카자흐족 민간에는 자연 숭배, 동식물 숭배, 조상 숭배 및 샤머니즘 같은 원시 종교의 흔적이 남아 있다. 즉 카자흐족의 이슬람 신앙은 전통적인 무속 신앙의 영향을 받아 이슬람교와 민간 전래신앙을 함께 믿는다.<br><br>카자흐족은 이슬람교 수니파 교리를 따른다. 교의(敎義)와 교규(敎規)는 다른 이슬람 민족과 별 다름없지만 교파의 대립이나 파벌, 투쟁이 없다. 그들은 유목생활을 하므로 농업 지역에 예배드리는 사원이 있는 것 외에는 일반적으로 사원이 없기 때문에 예배는 가정을 단위로 하여 실내 혹은 광야에서 거행한다. 이슬람 사제인 “마오라”(毛拉)는 종교관련 일체 업무를 관리하고 군중들에게 경전을 봉독하는 일을 한다.</p>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10"> (10) 민족자치 상황</h3>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哈薩克族) 민족자치구역 개관표</h4> <p class="tb_dsc2"><span></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哈薩克族) 민족자치구역 개관표</caption> <tbody> <tr> <th><em>민족자치구역</em></th> <th><em>건립 일시</em></th> <th><em>행정관청 소재지</em></th> <th><em>면적(㎢)</em></th> <th><em>전체 인구(만 명)</em></th> <th><em>소수민족 인구비율(%)</em></th>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strong>自治州(1개)</strong></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新疆維吾爾自治區(1개)</p></td> </tr> <tr> <td><p>伊犂(이리)哈薩克自治州</p></td> <td><p>1954.11.27</p></td> <td><p>伊寧(이닝)市</p></td> <td class="ta_center"><p>269,168</p></td> <td class="ta_center"><p>408.33</p></td> <td class="ta_center"><p>54.83</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strong>自治縣(3개)</strong></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甘肅省(1개)</p></td> </tr> <tr> <td><p>阿克塞(아커사이)哈薩克族自治縣</p></td> <td><p>1954.4.27</p></td> <td><p>紅柳灣(훙류완)鎭</p></td> <td class="ta_center"><p>31,374</p></td> <td class="ta_center"><p>0.8</p></td> <td class="ta_center"><p>32.60</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新疆維吾爾自治區(2개)</p></td> </tr> <tr> <td><p>木壘(무레이)哈薩克自治縣</p></td> <td><p>1954.7.17</p></td> <td><p>木壘(무레이)鎭</p></td> <td class="ta_center"><p>13,510</p></td> <td class="ta_center"><p>8.55</p></td> <td class="ta_center"><p>31.44</p></td> </tr> <tr> <td><p>巴里坤(바리쿤)哈薩克自治縣</p></td> <td><p>1954.9.30</p></td> <td><p>巴里坤(바리쿤)鎭</p></td> <td class="ta_center"><p>36,947</p></td> <td class="ta_center"><p>10.1</p></td> <td class="ta_center"><p>33.81</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國民族信息年鑑》2005년 판, pp.678-682 (각종 통계수치는 2004년 말 기준. 단, 인구관련 수치는 2003년 말 기준)</p></div> <p class="txt">중국 내 카자흐족은 1개의 주급(州級) 민족자치구역과 3개의 현급(縣級) 민족자치구역이 있다. 주급 민족자치구역은 신강위구르자치구의 이리 카자흐 자치주(伊犂哈薩克自治州, 1954.11.27 설립)가 있고 현급 민족자치구역은 신강위구르자치주 내에 목루 카자흐 자치현(木壘哈薩克自治縣, 1954.7.17 설립), 파리곤 카자흐 자치현(巴里坤哈薩克自治縣, 1954.9.30 설립), 감숙성 내에 아극새 카자흐족 자치현(阿克塞哈薩克族自治縣, 1954. 4.27 설립)이 있다.<br><br>이외에 신강위그루자치구와 감숙성에 13개의 카자흐족 민족향(民族鄕)이 있다.</p> <h3 class="stress" id="TABLE_OF_CONTENT11"> (11) 산업경제 현황</h3> <p class="txt">카자흐족은 전통적으로 양과 말 사육을 중심으로 유목생활을 해 왔으며 중국 내 카자흐족 대부분이 천산(天山) 산맥과 알타이 산맥 일대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유목생활은 경제유형이 단순하고 생산력이 매우 낮다. 최근 수십년간 중국 정부의 개혁 개방정책에 따라 상당수 카자흐족이 전통적인 유목생활에서 농업 및 상업으로 전환하여 정착생활을 하고 있다. 도시 지역에 진출한 일부 카자흐족은 상업 등에 종사한다.<br><br>카자흐족은 목축기술이 뛰어나 고기와 털 모두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는 털 양’(細毛羊)과 ‘이리(지역) 말’(伊犁馬)이라는 명마를 생산하고 있다.<br><br><strong>(산업별 종사 인구비율)</strong></p>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의 산업별 고용인구 통계</h4> <p class="tb_dsc2"><span>(단위: 명)</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의 산업별 고용인구 통계</caption> <tbody> <tr> <th><em>분 류</em></th> <th><em>고용 총인구(100%)</em></th> <th><em>제1차 산업(%)</em></th> <th><em>제2차 산업(%)</em></th> <th><em>제3차 산업(%)</em></th> </tr> <tr> <td class="ta_center"><p>카자흐족</p></td> <td class="ta_center"><p>57,308</p></td> <td class="ta_center"><p>44,647<br>(77.91)</p></td> <td class="ta_center"><p>2,204<br>(3.85)</p></td> <td class="ta_center"><p>10,457<br>(18.25)</p></td> </tr> <tr> <td class="ta_center"><p>중국 전체</p></td> <td class="ta_center"><p>66,874,889</p></td> <td class="ta_center"><p>43,051,661<br>(64.38)</p></td> <td class="ta_center"><p>11,244,385<br>(16.81)</p></td> <td class="ta_center"><p>12,578,843<br>(18.81)</p></td> </tr> <tr> <td class="ta_center"><p>한족(漢族)</p></td> <td class="ta_center"><p>61,015,128</p></td> <td class="ta_center"><p>38,430,988<br>(62.99)</p></td> <td class="ta_center"><p>10,800,916<br>(17.70)</p></td> <td class="ta_center"><p>11,783,224<br>(19.31)</p></td> </tr> <tr> <td class="ta_center"><p>소수민족 전체</p></td> <td class="ta_center"><p>5,819,283</p></td> <td class="ta_center"><p>4,584,200<br>(78.78)</p></td> <td class="ta_center"><p>441,876<br>(7.59)</p></td> <td class="ta_center"><p>793,207<br>(13.63)</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國民族工作年鑑》 2003년 판, pp.798-799 (‘2000년 전국인구센서스 각 민족의 산업별 인구’, 동 통계표상 수치는 전체 인구의 10%를 대상으로 한 표본조사 결과)</p></div> <p class="txt">2000년 중국정부의 표본조사에 따르면 카자흐족은 농업, 목축업 등 1차 산업 종사비율이 77.91%로서 중국 내 전체 소수민족의 평균 1차 산업 종사비율(78.78%)과 비슷한 비율이다. 수공업 등 2차 산업 종사비율이 3.85%에 불과하다. 하지만 상업, 유통업 및 서비스업 등 3차 산업 종사비율은 18.25%로서, 이는 중국 전체 평균 비율(18.81%), 한족 평균 비율(19.231%)과 비슷한 수치로서, 중국 내 전체 소수민족의 3차 산업 종사비율인 13.63%보다는 높다.<br><br><strong>(민족자치구역의 주요 산업별 생산액 및 소득수준)</strong><br> <br>2003년 말 현재 이리(伊犁) 카자흐 자치주의 경우 농업 분야 생산액은 126.58억 위엔으로 공업 분야 생산액인 72.48억 위엔보다 많다. 아극새(阿克塞) 카자흐족 자치현은 공업 분야 생산액이 농업 분야 생산액보다 높지만 목루(木壘) 카자흐 자치현과 파리곤(巴里坤) 카자흐 자치현은 농업 분야 생산액이 공업 분야 생산액보다 높다.<br><br>한편 1인당 평균 생산액은 아극새 카자흐족 자치현이 24,068 위엔으로 매우 높으며 다른 지역은 5,373 위엔에서 6,785 위엔의 범위 내에 있다. 농민 1인당 평균 순수입이 가장 높은 지역은 아극새 카자흐족 자치현의 4,866 위엔이며 가장 낮은 곳은 파리곤 카자흐 자치현의 1,968 위엔이다. (중국 전체의 1인당 평균 생산액: 9,101 위엔, 농민 1인당 평균 순수입: 3,582 위엔, 2003년 말 환율 1 USD = 약 8.3元)</p> <div class="box_tbl"><h4 class="tb_tlt">카자흐족(哈薩克族)의 민족자치구역별 산업경제 주요 통계</h4> <p class="tb_dsc2"><span>(2003년 말 기준)</span></p> <table cellspacing="0" border="1" class="tb_style2"> <caption>카자흐족(哈薩克族)의 민족자치구역별 산업경제 주요 통계</caption> <tbody> <tr> <th><em>민족자치구역</em></th> <th><em>지역생산총액(億元)</em></th> <th><em>농업 생산액(億元)</em></th> <th><em>공업 생산액(億元)</em></th> <th><em>1인당 평균생산액(元)</em></th> <th><em>농민 1인당평균 순수입(元)</em></th>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strong>自治州(1개)</strong></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新疆維吾爾自治區(1개)</p></td> </tr> <tr> <td><p>伊犂(이리)哈薩克自治州</p></td> <td><p>277.04</p></td> <td><p>126.58</p></td> <td><p>72.48</p></td> <td><p>6,785</p></td> <td><p>3,020</p></td> </tr> <tr> <td><p>중국 전체 30개 자치주 합계</p></td> <td><p>2,698.08</p></td> <td><p>1,168.86</p></td> <td><p>1,275.76</p></td> <td><p>5,050</p></td> <td><p>1,753</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strong>自治縣(3개)</strong></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甘肅省(1개)</p></td> </tr> <tr> <td><p>阿克塞(아커사이)哈薩克族自治縣</p></td> <td><p>1.93</p></td> <td><p>0.23</p></td> <td><p>3.04(?)</p></td> <td><p>24,068</p></td> <td><p>4,866</p></td> </tr> <tr> <td colspan="6" class="ta_center"><p>新疆維吾爾自治區(2개)</p></td> </tr> <tr> <td><p>木壘(무레이)哈薩克自治縣</p></td> <td><p>4.91</p></td> <td><p>5.01</p></td> <td><p>0.34</p></td> <td><p>5,741</p></td> <td><p>2,991</p></td> </tr> <tr> <td><p>巴里坤(바리쿤)哈薩克自治縣</p></td> <td><p>5.43</p></td> <td><p>3.06</p></td> <td><p>1.02</p></td> <td><p>5,373</p></td> <td><p>1,968</p></td> </tr> <tr> <td><p>중국 전체 120개 자치현 · 기 합계</p></td> <td><p>1,357.52</p></td> <td><p>762.29</p></td> <td><p>481.01</p></td> <td><p>3,964</p></td> <td><p>1,629</p></td> </tr> </tbody> </table><p class="tb_dsc">* 출처 : 앞 책《中國民族統計年鑑》 2004년 판, pp.266-277</p></div> </div> <div class="section_group"> <div class="section_area" id="relatedContentsArea" data-docId="2324280" data-expCategoryId="51343"> </div> </div> <div class="section_group cite_group"> <div class="section_area"> <h3 class="title">출처</h3> <div class="cite_area_wrap "> <h3 class="blind">제공처 정보</h3>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list.naver?categoryId=62055" onclick="nclk(this, 'soc.simg', '', '', 1);"> <img src="https://bookthumb-phinf.pstatic.net/cover/030/271/03027164.jpg?type=m96" height="94" alt="중국 소수민족 연구 이미지"><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cite_area"> <div class="cite_info"> <strong class="title"> <a href="/list.naver?categoryId=62055" onclick="nclk(this, 'soc.source', '', '', 1);">중국 소수민족 연구</a> : 소수민족으로 분석하는 중국 </strong> <span class="sub_info">2007. 6. 30.</span> <a href="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3027164" class="link"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soc.bmore', '', '', 1);">책보러가기<i class="ico_arrow"></i></a> </div> <p class="desc"}> 중국의 소수민족을 연구한 책. 중국 내 소수민족의 현황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중국, 일본 및 한국 관련 전문가들의 기존 연구 성과와 최신 자료들을 재구성하였다. 제1부에서는 중국 내 전체 소수민족의 특징, 명칭과 분포의 시대별 변화와 민족 식별 및 근친관계 등을 조감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총 59개 종족 집단에 관하여 각 민족별로 기원과 역사, 명칭, 사회발전 단계, 인구분포 등을 항목별로 설명하였다. 제3부에서는 전통문화와 사회, 종교 신앙 및 언어문자 등을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p> </div> <div class="writer_area"> <ul class="writer_list"> <li> <div class="cite_area"> <p class="writer_info"> <strong>저자</strong> <span class="writer"> <a href="/list.naver?searchId=au4939" onclick="nclk(this, 'soc.expertname', '', '', 1);">정재남</a> </span> </p> </div> </li> <li> <div class="cite_area"> <p class="writer_info"> <strong> 제공처 </strong> <span class="writer"> <a href="/list.naver?searchId=pv235" onclick="nclk(this, 'soc.expertname', '', '', 1);">한국학술정보(주)</a> </span> <span class="sub_info"> <a href="http://post.naver.com/my.nhn?memberNo=3895368" class="url_link"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soc.experurl', '', '', 1);">네이버 포스트</a> <a href="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search?bookTabType=ALL&pageIndex=1&pageSize=40&query=한국학술정보(주)&sort=REL" class="link"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soc.experbook', '', '', 1);">제공처의 다른 책 보기</a> </span> </p> </div> </li> </ul> </div> </div> </div> <p class="cite_desc"><i class="ico_info"></i>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br>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p>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1" class="na_ly_cmt"> <dl> <dd>중국 내 카자흐족 인구는 1953년 조사 시 약 51만 명에서 1964년 49만 명으로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1960년대 초 국내외의 정치적인 사정으로 카자흐족이 중국에서 소련으로 대거 집단 월경 이주한 것과 관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건을 계기로 중소 국경이 폐쇄되었다가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 이후 소련과의 철도와 도로가 개통되면서 왕래가 재개되었다. 1982년 인구 조사 시 카자흐족이 약 91만 명으로 급속히 증가한 것도 이러한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소련 내 카자흐족의 중국으로의 유입이 이루어진 결과로 추측할 수 있다. 과거 20세기 전반기 스탈린 집권 시대에는 소련의 집단화에 반발한 소련 내 카자흐족이 당시의 중화민국 영내로 대거 이주하기도 하였다.</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2" class="na_ly_cmt"> <dl> <dd>카자흐족은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카자흐스탄의 중심 민족으로서, 2000년 현재 카자흐스탄 전체 인구 약 1,682만 명 가운데 약 46%를 차지하고 있다.</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3" class="na_ly_cmt"> <dl> <dd>카자흐스탄에서는 러시아 키릴문자에 기반을 둔 카자흐 문자를 사용한다.</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4" class="na_ly_cmt"> <dl> <dd>앞 책《中國2000年人口普査資料》, pp.564-567</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5" class="na_ly_cmt"> <dl> <dd>앞 책《中國民族統計年鑑》 2004년 판, pp.500</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6" class="na_ly_cmt"> <dl> <dd>카자흐족의 자유연애 방식 가운데 하나인 “꾸냥쭈이”(姑娘追)는 젊은이들이 가장 즐기는 오락으로 초원에서 처녀 총각들이 짝을 지어 발을 맞추어 천천히 걸어간다. 이때 총각은 자기가 사랑하는 처녀를 놀리는데 처녀는 화를 내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지정한 곳까지 가서 돌아올 때는 총각의 놀림에 복수하기 위해 처녀가 즉시 채찍을 들고 쫓아가 때린다. 그렇지만 총각은 되받아 칠 수는 없다.</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7" class="na_ly_cmt"> <dl> <dd>개재절(開齋節)은 아랍어 “어더 · 비두어”의 의역(意譯)으로서, “어더”는 ‘명절’이라는 뜻. ‘육고(肉攷)’는 페르시아어로서 “삼가하고 경계한다.”는 ‘재개(齋戒)’라는 뜻임.</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style="display:none;" id="footnoteLayer8" class="na_ly_cmt"> <dl> <dd>고이방절(古爾邦節)은 아랍어의 “어더 · 구어방” 또는 “어더 · 아이주하”의 의역(意譯)이며, “어더”는 ‘명절’, “구어방“ 또는 “아이주하“는 모두 ‘희생’ 또는 ‘헌납’의 뜻임.</dd> </dl> <a href="#" class="btn_cls"> <span>주석 레이어창 닫기</span> </a> <iframe width="0" height="0" title="빈 프레임" class="ifr"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div> <div class="end_btn"> <div id="t_like_layer" class="u_likeit u_likeit_list_module _reactionModule" style="visibility:hidden" data-sid="ENCYCLOPEDIA" data-did="ENCYCLOPEDIA" data-cid="2324280"> <ul class="u_likeit_inline" role="radiogroup" aria-labelledby="u_likeit_title"> <li class="u_likeit_list useful" role="menuitem"> <a class="u_likeit_list_button _button" data-type="useful" data-log="RTC.useful|RTC.unuseful" href="#ratingbutton-useful" role="button" aria-selected="false"> <span class="u_likeit_list_name _label">유익해요</span> <span class="u_likeit_list_count _count">0</span> </a> </li> <li class="u_likeit_list want" role="presentation"> <a class="u_likeit_list_button _button" data-type="want" data-log="RTC.want|RTC.unwant" href="#ratingbutton-want" role="radio" aria-checked="false"> <span class="u_likeit_list_name _label">더 알고 싶어요</span> <span class="u_likeit_list_count _count">0</span> </a> </li> <li class="u_likeit_list quote" role="menuitem"> <a class="u_likeit_list_button _button" data-type="quote" data-log="RTC.quote|RTC.unquote" href="#ratingbutton-quote" role="radio" aria-checked="false"> <span class="u_likeit_list_name _label">담아갈게요</span> <span class="u_likeit_list_count _count">0</span> </a> </li> <li class="u_likeit_list modify" role="presentation"> <a class="u_likeit_list_button _button" data-type="modify" data-log="RTC.modify|RTC.unmodify" href="#ratingbutton-modify" role="radio" aria-checked="false"> <span class="u_likeit_list_name _label">수정해주세요</span> <span class="u_likeit_list_count _count">0</span> </a> </li> </ul> </div> <div class="spi_area"> <a href="javascript:;" id="spiButton" class="btn naver-splugin" data-style="type_a" data-url="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343&docId=2324280&categoryId=51343" data-source-name="중국 소수민족 연구" data-blog-source-form="2" data-cafe-source-form="2" data-title="카자흐족" data-me-display="off" title="보내기" onclick="nclk(this, 'uoa.share', '', '', 1);" ><i class="ico share"></i>공유</a> <a href="/print.naver?docId=2324280&amp;categoryId=51343" class="btn" target="_blank" onclick="nclk(this, 'pri.print', '', '', 1); window.open(this.href, '', 'width=788, height=600, toolbar=0, menubar=no, resizable=no, scrollbars=yes'); return false;"><i class="ico print"></i>인쇄</a> </div> <div id="t_modify_layer" class="layer_modify_wrap" style="display:none"> <div class="layer_pop"> <div class="layer_area"> <strong class="notice_title">수정할 콘텐츠를 알려주세요.</strong> <p class="notice_dsc">수정에 필요한 정보를 적어 주시면<br>반영 내역을 메일로 알려드립니다.</p> <button type="button" class="btn_txt">입력하기</button> </div> <div class="layer_bottom"> <a href="javascript:;" class="btn_stop">오늘 레이어 그만보기<i class="ico" aria-hidden="true"></i></a> </div> <a href="javascript:;" class="btn_close" title="창 닫기"><i class="ico">창 닫기</i></a> </div> </div> </div> </div> </div> <div class="sub_cont_wrap" style="display:none"> <div class="info_tmp_wrap" id="graphDataArea"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info_tmp_wrap" id="sameMeaningTerms"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info_tmp_wrap" id="suggestThemeList" style="display:none"></div> </div> </div> <div class="aside" id="asideWrap" role="complementary"> <div class="section"> <h3 class="section_title">함께 많이 본</h3> <ul class="section_list" id="countControlByHeight">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799698"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크인의 침략</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3082">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1149044"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765_000_68%2F20181113180235083_8OLYTXMTE.jpg%2F38670.jpg%3Ftype%3Dw450_fst%23c427%22&twidth=56&theight=40&opts=17" alt="카자흐족">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149044"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흐족</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0942">두산백과</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1149041"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765_000_68%2F20181113212617079_N7CACIME8.jpg%2F1393774.jpg%3Ftype%3Dw450_fst%22&twidth=56&theight=40&opts=17" alt="카자흐스탄">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149041"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흐스탄</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0942">두산백과</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952183"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흐족</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51740">중국행정구획총람</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3581472"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4084_000_1%2F20170322111334885_K67HM96GT.jpg%2Faa34_66_i1.jpg%3Ftype%3Dw450_fst%22&twidth=56&theight=40&opts=17" alt="카자흐인">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3581472"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흐인 - 유라시아 대륙 유목문화의 후예</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56762">민족의 모자이크 유라시아</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149042"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크</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0942">두산백과</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1177926"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765_000_96%2F20181126022344988_PHFZ8QKZ5.jpg%2F387769.jpg%3Ftype%3Dw450_fst%22&twidth=56&theight=40&opts=17" alt="카자흐스탄 역사">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177926"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카자흐스탄 역사</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0942">두산백과</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398162"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중국의 소수민족</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3667">시사상식사전</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1083731"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765_000_384%2F20210930101406064_1BU7V7DZP.jpg%2F10127554.jpg%3Ftype%3Dw450_fst%22&twidth=56&theight=40&opts=17" alt="돌궐족">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083731"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돌궐족 [突厥族]</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0942">두산백과</a></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1094347"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2765_000_64%2F20181108200702859_M7LZTV17W.jpg%2F1533477.jpg%3Ftype%3Dw450_fst%22&twidth=56&theight=40&opts=17" alt="몽골족">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1094347" onclick="markFrom('associate');nclk(this, 'rts.title', '', '', 1);">몽골족 [蒙古族(몽고족)]</a> <em class="cite"><a href="/list.naver?categoryId=40942">두산백과</a></em> </div> </li> </ul> </div> <div class="section"> <h3 class="section_title">중국 소수민족 연구 <a href="/list.naver?cid=51343&categoryId=51343" class="more_link" onclick="nclk(this, 'ctl.more', '', '', 1);">전체보기</a> </h3> <ul class="section_list">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2324310&categoryId=51343&contentsParamInfo=navCategoryId%3D51343%26isList%3Dtrue" onclick="markFrom('rel');nclk(this, 'ctl.title', '', '', 1);">어지 미정 민족 [語支-]</a> <em class="cite"> <a href="/list.naver?categoryId=62055&so=st4.asc">중국 소수민족 연구</a> </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selected">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2324280&categoryId=51343&contentsParamInfo=navCategoryId%3D51343%26isList%3Dtrue" onclick="markFrom('rel');nclk(this, 'ctl.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3672_000_1%2F20141205113243038_KOR9IC3B8.jpg%2Fea31_2_20_i1.jpg%3Ftype%3Dw450_fst_n%23c410%22&twidth=56&theight=40&opts=17" alt="카자흐족">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2324280&categoryId=51343&contentsParamInfo=navCategoryId%3D51343%26isList%3Dtrue" onclick="markFrom('rel');nclk(this, 'ctl.title', '', '', 1);">카자흐족 [哈薩克族] - 카자흐스탄과 중국의 과계민족</a> <em class="cite"> <a href="/list.naver?categoryId=62055&so=st4.asc">중국 소수민족 연구</a> </em> </div> </li> <li class="section_item"> <div class="thumb_area"> <div class="thumb"> <a href="/entry.naver?docId=2324333&categoryId=51343&contentsParamInfo=navCategoryId%3D51343%26isList%3Dtrue" onclick="markFrom('rel');nclk(this, 'ctl.title', '', '', 1);"> <img class="lazyLoadImag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terms/img/e.gif" data-src="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s%3A%2F%2Fdbscthumb-phinf.pstatic.net%2F3672_000_1%2F20141205114054161_EHYHADQX5.jpg%2Fea31_2_73_i1.jpg%3Ftype%3Dw450_fst_n%23c391%22&twidth=56&theight=40&opts=17" alt="거라오족"> <span class="mask"></span> </a> </div> </div> <div class="desc"> <a href="/entry.naver?docId=2324333&categoryId=51343&contentsParamInfo=navCategoryId%3D51343%26isList%3Dtrue" onclick="markFrom('rel');nclk(this, 'ctl.title', '', '', 1);">거라오족 [仡佬族] - 고대 야랑국(夜郞國)의 후예</a> <em class="cite"> <a href="/list.naver?categoryId=62055&so=st4.asc">중국 소수민족 연구</a> </em> </div> </li> </ul> </div> </div> <a href="#" id="goto_top" class="goto_top btn_top" onclick="window.scrollTo(0,0);nclk(this, 'bdr.top', '', '', 1);return false"><span class="blind">위로가기</span></a> <div id="nanum_dimmed_layer" class="dimmed" style="display:none;height:1000px;"></div> <div style="left:35%;top:50px;display:none;" class="nanum_popup" id="layer_nanum_guide"> <div class="nanum_popup_in"> <div class="cnt"> <span class="ques"></span> <h4>나눔글꼴 설치 안내</h4> <p>네이버 검색결과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br><span>&nbsp;나눔글꼴을 설치</span>해야 합니다.<br>나눔글꼴을 설치하시겠습니까?</p> <input type="image" alt="설치" class="nanum_inst" onclick="nclk(this, 'fon_dft.popupinstall', '', '', 1); nanum.Core.install(nanum.Service.hideNanumGuide);" value="설치" nam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img/btn_setup.gif"> <input type="image" alt="취소" onclick="nclk(this, 'fon_dft.popupcancel', '', '', 1); nanum.Core.cancel(nanum.Service.hideNanumGuide);" value="취소" nam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img/btn_cancel.gif"> </div> <div class="txt_notice"> <p>개인 및 기업을 포함, 모든 사용자가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p> <a href="https://help.naver.com/support/contents/contents.nhn?serviceNo=1074&categoryNo=3497" onClick="nclk(this, 'fon_dft.popuplicense', '', '', 1);" target="_blank">나눔글꼴 라이센스 전문보기</a></div> <span class="btn_cl"><button title="레이어 닫기" onclick="nclk(this, 'fon_dft.popupcancel', '', '', 1); nanum.Core.cancel(nanum.Service.hideNanumGuide);" type="button"><span class="blind">레이어 닫기</span></button></span> </div> </div> <div style="left:35%;top:50px;display:none;" class="nanum_popup" id="layer_nanum_error"> <div class="nanum_popup_in"> <div class="cnt"> <span class="ques"></span> <h4>나눔글꼴 확인 오류</h4> <p>고객님의 pc에서 나눔글꼴이 확인되지 않습니다.<br>나눔글꼴로 검색결과를 보기위해서는 <span>나눔글꼴 재설치</span>가 필요합니다.<br><strong>나눔글꼴을 다시 설치하시겠습니까?</strong></p> <p class="txt_nanum">나눔글꼴이 확인되지 않는 이유는 나눔글꼴 최초설치가 제대로 <br>완료되지 않은 경우, 설치된 폰트를 임의로 삭제한 경우에 발생합니다.</p> <input type="image" alt="설치" class="nanum_inst" onclick="nclk(this, 'fon_nan.popupinstall', '', '', 1); nanum.core.install(nanum.service.hidenanumerror);" value="설치" nam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img/btn_setup.gif"> <input type="image" alt="취소" onclick="nclk(this, 'fon_nan.popupcancel', '', '', 1); nanum.core.cancel(nanum.service.hidenanumerror); return tcr('a=fon_nan.popupcancel&amp;u=javascript');" value="취소" name="" src="https://ssl.pstatic.net/static/terms/img/btn_cancel.gif"> </div> <div class="txt_notice"> <p>개인 및 기업을 포함, 모든 사용자가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p> <a href="https://help.naver.com/support/contents/contents.nhn?serviceNo=1074&categoryNo=3497" onClick="nclk(this, 'fon_nan.popuplicense', '', '', 1);" target="_blank">나눔글꼴 라이센스 전문보기</a> </div> <span class="btn_cl"><button title="레이어 닫기" onclick="nclk(this, 'fon_nan.popupcancel', '', '', 1); nanum.Core.cancel(nanum.Service.hideNanumError);" type="button"><span class="blind">레이어 닫기</span></button></span> </div> </div> </div> <hr> <div id="footer" role="contentinfo"> <div class="dic_wrap" id="dictionaryCategories"> <div class="dic_area"> <h3 class="dic_title">주제백과</h3> <div class="dic_iner"> <ul class="dic_list"> <li class="dic_item" data-idx="0"><a href="/list.naver?cid=50871&categoryId=50871" onclick="nclk(this, 'pct.list', '', '', 1);">건강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1"><a href="/list.naver?cid=60195&categoryId=60195" onclick="nclk(this, 'pct.list', '', '', 1);">수학/과학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2"><a href="/list.naver?cid=44630&categoryId=44630" onclick="nclk(this, 'pct.list', '', '', 1);">음식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3"><a href="/list.naver?cid=44623&categoryId=44623" onclick="nclk(this, 'pct.list', '', '', 1);">미술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4"><a href="/list.naver?cid=46675&categoryId=46675" onclick="nclk(this, 'pct.list', '', '', 1);">동물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5"><a href="/list.naver?cid=46676&categoryId=46676" onclick="nclk(this, 'pct.list', '', '', 1);">식물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6"><a href="/list.naver?cid=60419&categoryId=60419" onclick="nclk(this, 'pct.list', '', '', 1);">문학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7"><a href="/list.naver?cid=61278&categoryId=61278" onclick="nclk(this, 'pct.list', '', '', 1);">역사백과</a></li> <li class="dic_item line_change" data-idx="8"><a href="/list.naver?cid=60418&categoryId=60418" onclick="nclk(this, 'pct.list', '', '', 1);">음악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9"><a href="/list.naver?cid=60196&categoryId=60196" onclick="nclk(this, 'pct.list', '', '', 1);">밀리터리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10"><a href="/list.naver?cid=48677&categoryId=48677" onclick="nclk(this, 'pct.list', '', '', 1);">비주얼백과</a></li> <li class="dic_item" data-idx="11"><a href="/list.naver?cid=51613&categoryId=51613" onclick="nclk(this, 'pct.list', '', '', 1);">동영상백과</a></li> </ul> </div> <a href="/category.naver" class="btn_more" onclick="nclk(this, 'pct.more', '', '', 1);">더보기</a> </div> </div><div class="info_wrap"> <ul class="info_list"> <li><a href="https://policy.naver.com/rules/service.html" onclick="nclk(this, 'fot.agreement', '', '', 1);" target="_blank">이용약관</a></li> <li><a href="https://help.naver.com/alias/terms/terms_new2.naver" onclick="nclk(this, 'fot.cs', '', '', 1);" target="_blank">지식백과 고객센터</a></li> <li><a href="https://help.naver.com/alias/terms/terms_new1.naver" onclick="nclk(this, 'fot.modify', '', '', 1);" target="_blank">콘텐츠 수정</a> 및 <a href="https://help.naver.com/alias/terms/terms_new3.naver" onclick="nclk(this, 'fot.report', '', '', 1);" target="_blank" >오류신고</a></li> <li><a href="https://www.navercorp.com/ko/company/proposalGuide.nhn" onclick="nclk(this, 'fot.contact', '', '', 1);" target="_blank">제휴제안</a></li> <li><a href="https://policy.naver.com/rules/privacy.html" onclick="nclk(this, 'fot.privacy', '', '', 1);" target="_blank"><strong>개인정보처리방침</strong></a></li> <li><a href="/tlist/guide.naver" onclick="nclk(this, 'fot.policy', '', '', 1);" target="_blank">지식리스트 운영원칙</a></li> <li><a href="https://policy.naver.com/rules/disclaimer.html" onclick="nclk(this, 'fot.disclaimer', '', '', 1);" target="_blank">책임의 한계와 법적고지</a></li> </ul> <address> <a href="https://www.navercorp.com/" onclick="nclk(this, 'fot.naver', '', '', 1);" target="_blank" class="logo">NAVER</a> <em>Copyright &copy;</em> <a href="https://www.navercorp.com/" onclick="nclk(this, 'fot.naver', '', '', 1);" target="_blank">NAVER Corp.</a> <span>All Rights Reserved.</span> </address> </div> </div></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window.g_ssc = "terms.end";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 { var id = "naver-splugin-sdk", t = new Date(), yyyy = t.getFullYear(), mm = t.getMonth() + 1, dd = t.getDate(); var s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id = id; s.type = "text/javascript", s.charset = "utf-8", s.async = false; s.src = ("https://ssl.pstatic.net/spi/js/release/ko_KR/splugin.js?" + Math.floor(new Date().getTime() / 1200000)); var d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head')[0]; d.appendChild(s, d); })(); </script> <script> var commonData = { autocompleteUrl: 'https://ac.terms.naver.com/ac', urlForEncode: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343&docId=2324280&categoryId=51343', lcsObject : {"sources":["ea31"],"providers":["pv235"],"authors":["au4939"]}, themelist: { jsApiPc: '/tlist/api/js/tlist.js?250117044232', themelistDomainPc: '', cacheBustingParam: '250117044232', indexType: '', isMobile: false, isThemeList: false, detailTypePage: 'true' } } </script><script> var entryData = { isLogin: false, loginUrl: "https://nid.naver.com/nidlogin.login?url=" + encodeURIComponent(document.URL), isImageLibrary: false, entry: { likeDomain: "https://common.like.naver.com", likeScriptUrl: "https://common.like.naver.com/js/reaction/dist/reaction.min.js?250117044232", likeListApi: "https://common.like.naver.com", hasLnbLike: false }, themelist: { jsApiPc: "/tlist/api/js/tlist.js?250117044232", themelistDomainPc: "", cacheBustingParam: "250117044232", indexType: "", isMobile: false, isThemeList: false, detailTypePage: "true" }, serviceId: "TERMS", docId: 2324280, dicName: "chi_minority_study", isPrintPage: false, categoryId: "51343", videoLength: "0", relatedImageLength: "0", diffMeaning: { groupTitle: "null", groupId: "null" }, hasAudioInfra: false, audioPartnerKey: "1a72f991", audioPartnerId: "terms-web", soundLength: 0, audioApiDomain: "https://static-audiop.pstatic.net/audiocloud-webplayercore/1.1.1.0/js/audiocloud_webplayer_core.js?250117044232", images: { hasImage: false, thumbnailData: [] }, naverMap: { hasNaverMap: false, naverMapManagerData: [ ] }, isNotPreviewPage: true, tkListId: "", htmlEscapedQuery: '카자흐족', isVisualDic: false, font: { defaultLevel: "normal", fontSize: "2" }, preventContextMenu: false, isTermsExplanation: false, termSource: '<p style="$$margin$$;padding:0;font-size:12px;font-family:Dotum;font-style:normal;font-weight: normal;color:black;"><strong style="padding:0 7px 0 0;color:black;font-weight:bold;font-size:12px;">[네이버 지식백과]</strong> <a h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24280\">카자흐족</a> [哈薩克族, Kazak] - 카자흐스탄과 중국의 과계민족 (중국 소수민족 연구, 2007. 6. 30., 정재남)</p>', hasNotNewAudioInfra: true, tooltipApi: "https://ssl.pstatic.net/dicimg/tip/tip_pc.js", namlDocType: false, hasRepresentImage: false, denyRightClick: false, isSe3: false, se3Script: "https://ssl.pstatic.net/static.editor/static/viewer/common/se_init.min.js?d=", scrollData: { query: "카자흐족", subject: "", tab: "", page: 0, totalCount: 0 }, diffData: { title: "", query: "카자흐족", delimiter: "" }, hasImageThumbnails: false, isMedicalQuery: false, isMusicQuery: false, env: "release", devNamlMinJs: "https://stage-api.naf.naver.com/2.0/js/naml.min.js?v=250117044232", devNamlModuleMinJs: "https://stage-api.naf.naver.com/2.0/js/naml.module.min.js?v=250117044232", stageNamlMinJs: "https://stage-api.naf.naver.com/2.0/js/naml.min.js?v=250117044232", stageNamlModuleMinJs: "https://stage-api.naf.naver.com/2.0/js/naml.module.min.js?v=250117044232", namlMinJs: "https://api.naf.naver.com/2.0/js/naml.min.js?v=250117044232", namlModuleMinJs: "https://api.naf.naver.com/2.0/js/naml.module.min.js?v=250117044232", naverWebPlayer: { rmcVideoInitScript: '', vid: '', inKey: '', videoPlayer: '', width: 0, height: 0 }, isSummary: false } </script><script data-main="/js/pc/dist/entry.min.js?lm=250117044232" src="/js/lib/require.min.js"></script> </body> </html>

Pag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