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XE.COM

OASIS Repository@POSTECHLIBRARY: Home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title>OASIS Repository@POSTECHLIBRARY: Home</title>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meta name="Generator" content="DSpace 5.5"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description" content="Postech OASIS Repository" /> <meta name="keywords" content="오아시스,레포지토리,리포지터리,저장소,포스텍,박태준학술정보관,포항공과대학교,포항공대,POSTECH,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도서관,IR,연구업적,학술실적,연구성과,dspace" /> <link rel="shortcut icon" href="/favicon.ico" type="image/x-icon"/> <link rel="alternate" type="application/rdf+xml" title="Items in OASIS Repository@POSTECHLIBRARY" href="/feed/rss_1.0/site"/> <link rel="alternate" type="application/rss+xml" title="Items in OASIS Repository@POSTECHLIBRARY" href="/feed/rss_2.0/site"/> <link rel="alternate" type="application/rss+xml" title="Items in OASIS Repository@POSTECHLIBRARY" href="/feed/atom_1.0/site"/> <link rel="search" type="application/opensearchdescription+xml" href="/open-search/description.xml" title="DSpace" /> <link rel="stylesheet" href="/css/layout.css" async /> <link rel="stylesheet" href="/css/mquery.css" defer /> <link rel="stylesheet" href="/css/slidebars.css" defer /> <!-- Slidebars CSS --> <link rel="stylesheet" href="/css/owl.carousel.css" defer /> <!-- Owl Carousel Assets --> <link rel="stylesheet" href="/css/owl.theme.css" defer /> <script src="/js/jquery-1.9.1.min.js"></script> <script src="/js/jquery-ui.js"></script> <script src="/js/owl.carousel.min.js"></script> <script src="/js/bootstrap.min.js"></script> <script src="/js/common.js" defer></script> <script src="/utils.js" defer></script> <!-- For Main Page Components --> <script src="/js/d3.min.js"></script> <script src="/js/d3.layout.cloud.min.js"></script> <script src="/js/d3-legend.min.js"></script> <script src="/js/d3-tip.min.js"></script> <script src="/js/d3-wordcloud.js"></script> <script src="/js/d3-pie.js"></script> <script src="/js/components.js"></script> <script src="/js/ms-clarity.js"></script> <script async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ag/js?id=G-B9EHYYGM78"></script> <script>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function gtag(){dataLayer.push(arguments);} gtag('js', new Date()); gtag('config', 'G-B9EHYYGM78'); </script> <!-- HTML5 shim and Respond.js IE8 support of HTML5 elements and media queries --> <!--[if lt IE 9]> <script src="/static/js/html5shiv.js"></script> <script src="/static/js/respond.min.js"></script>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css/ie8-and-down.css" /> <![endif]--> </head> <body> <div id="sb-site"><!-- 메인/서브 공통 --> <script> function doSearch () { (function($) { if ($("select[name='filtername']").val() != '') { if($("input:text[name='query']").val() == '') { $("input:text[name='contains']").val(""); $("select[name='filtername']").attr("disabled", true); $("input:hidden[name='filtertype']").attr("disabled", true); $("input:hidden[name='filterquery']").attr("disabled", true); } else { $("input:hidden[name='filterquery']").val($("input:text[name='query']").val()); $("input:text[name='query']").val(""); } } else { $("input:text[name='contains']").val(""); $("select[name='filtername']").attr("disabled", true); $("input:hidden[name='filtertype']").attr("disabled", true); $("input:hidden[name='filterquery']").attr("disabled", true); } })(jQuery.noConflict()); } </script> <div class="main_wrap"> <div class="main_inner"> <div class="col_width top_header"> <h1><a href="/">POSTECH</a></h1> <div class="gnav"> <a href="/about" class="first_a">About OASIS</a> <a href="/password-login">Login</a> <a href="http://library.postech.ac.kr/" target="_blank">Library</a> <script type="text/javascript"> <!-- Javascript starts here document.write('<a href="#" onClick="var popupwin = window.open(\'/help/index.html#\',\'dspacepopup\',\'height=600,width=550,resizable,scrollbars\');popupwin.focus();return false;">Help<\/a>'); // --> </script><noscript><a href="/help/index.html#" target="dspacepopup">Help</a></noscript></div> <div class="tablet_nav sb-toggle-right"> <a href="#" class="tablet_nav_bt" id="mnav_bt"> <span class="line"></span> <span class="line"></span> <span class="line"></span> </a> </div> </div> <div class="m_search_wrap"> <h2>Open Access System for Information Sharing</h2> <div class="m_search_box"> <form action="/simple-search" method="get" onsubmit="doSearch();"> <input type="hidden" name="filtertype" value="contains"/> <span class="ms_select"> <select name="filtername" id="header_filter"> <option value="">All</option> <option value="title">Title</option> <option value="author">Author</option> <option value="subject">Subject</option> </select> </span> <div class="ms_int_box"> <input type="text" title="검색창" class="ms_int ms_main_int" name="query" placeholder="Enter Search keyword"/> <input type="hidden" name="filterquery"/> <input type="submit" title="검색" class="ms_bt" value="search" /> </div> </form> </div> </div> </div> <div class="browse_wrap"> <div class="browse_box"> <ul> <li><a href="/community-list"> <span class="b_icon b_type01"> <em class="b_round"><i>28</i></em> </span> <em class="browse_text">Communities &amp; Collections</em> </a></li> <li><a href="/browse-researcher"> <span class="b_icon b_type02"> <em class="b_round"><i>557</i></em> </span> <em class="browse_text">Researchers</em> </a></li> <li><a href="/browse?type=title"> <span class="b_icon b_type03"> <em class="b_round"><i>110,296</i></em> </span> <em class="browse_text">Title</em> </a></li> </ul> </div> </div> </div><!-- main_wrap : e--> <div class="m_contianer"><!-- 메인 전용 --> <div class="col_width"><div class="m_left"> <div class="m_box"> <div class="statistics_box"> <div class="chart" id="chart" style="height:270px; width:100%;"></div> </div> <script src="/js/highcharts/highcharts.js"></script> <script src="/js/highcharts/maps/modules/data.js"></script> <script src="/js/highcharts/maps/modules/map.js"></script> <script src="/js/highcharts/mapdata/custom/world.js"></script> <script src="/js/highcharts.js"></script> <script> (function ($) { $(document).ready(function() { downloadMapChart([{"code":"NZ","name":"New Zealand","value":"13456"},{"code":"US","name":"United States","value":"26214"},{"code":"MN","name":"Mongolia","value":"86"},{"code":"LT","name":"Lithuania","value":"6"},{"code":"SI","name":"Slovenia","value":"4"},{"code":"SG","name":"Singapore","value":"19"},{"code":"TW","name":"Taiwan","value":"34"},{"code":"TR","name":"Turkey","value":"9"},{"code":"CH","name":"Switzerland","value":"21"},{"code":"CZ","name":"Czechia","value":"42"},{"code":"CA","name":"Canada","value":"91"},{"code":"ES","name":"Spain","value":"9"},{"code":"PK","name":"Pakistan","value":"10"},{"code":"RS","name":"Serbia","value":"1"},{"code":"EG","name":"Egypt","value":"8"},{"code":"AE","name":"United Arab Emirates","value":"1"},{"code":"BO","name":"Bolivia","value":"1"},{"code":"BE","name":"Belgium","value":"11504"},{"code":"AR","name":"Argentina","value":"151"},{"code":"FR","name":"France","value":"400"},{"code":"MA","name":"Morocco","value":"5"},{"code":"EE","name":"Estonia","value":"6"},{"code":"IT","name":"Italy","value":"12"},{"code":"MX","name":"Mexico","value":"8"},{"code":"DZ","name":"Algeria","value":"7"},{"code":"AM","name":"Armenia","value":"1"},{"code":"VN","name":"Vietnam","value":"1"},{"code":"KR","name":"South Korea","value":"548"},{"code":"CY","name":"Cyprus","value":"7"},{"code":"FI","name":"Finland","value":"3"},{"code":"MD","name":"Moldova","value":"4"},{"code":"TN","name":"Tunisia","value":"3"},{"code":"MY","name":"Malaysia","value":"3"},{"code":"JO","name":"Jordan","value":"1"},{"code":"KH","name":"Cambodia","value":"1"},{"code":"IE","name":"Ireland","value":"35"},{"code":"SE","name":"Sweden","value":"5"},{"code":"LV","name":"Latvia","value":"33"},{"code":"PT","name":"Portugal","value":"6"},{"code":"ZA","name":"South Africa","value":"13"},{"code":"DK","name":"Denmark","value":"4"},{"code":"NO","name":"Norway","value":"7"},{"code":"IL","name":"Israel","value":"2"},{"code":"HU","name":"Hungary","value":"2"},{"code":"CN","name":"China","value":"17595"},{"code":"RU","name":"Russia","value":"3805"},{"code":"DE","name":"Germany","value":"835"},{"code":"GB","name":"United Kingdom","value":"319"},{"code":"HK","name":"Hong Kong SAR China","value":"15"},{"code":"RO","name":"Romania","value":"28"},{"code":"AT","name":"Austria","value":"1"},{"code":"EU","name":"EU","value":"4"},{"code":"BG","name":"Bulgaria","value":"3"},{"code":"UZ","name":"Uzbekistan","value":"1"},{"code":"AU","name":"Australia","value":"458"},{"code":"IN","name":"India","value":"490"},{"code":"PL","name":"Poland","value":"97"},{"code":"UA","name":"Ukraine","value":"234"},{"code":"SA","name":"Saudi Arabia","value":"16"},{"code":"BR","name":"Brazil","value":"67"},{"code":"JP","name":"Japan","value":"336"},{"code":"TH","name":"Thailand","value":"8"},{"code":"ID","name":"Indonesia","value":"8"},{"code":"VE","name":"Venezuela","value":"4"},{"code":"NL","name":"Netherlands","value":"97"},{"code":"IR","name":"Iran","value":"17"},{"code":"LK","name":"Sri Lanka","value":"1"},{"code":"CR","name":"Costa Rica","value":"1"},{"code":"ET","name":"Ethiopia","value":"1"},{"code":"KZ","name":"Kazakhstan","value":"6"}]); }); })(jQuery.noConflict()); </script> </div><!-- 통계 : e--> <div class="m_box"> <div class="m_box_inner"> <h3 class="mh3_title">Research Highlights</h3> <div id="slide_wrap" class="owl-carousel owl-theme"> <div class="item"> <div class="m_slide_box"> <span class="m_s_b_img"> <img src="https://www.postech.ac.kr/wp-content/uploads/2025/02/0212-박수진-교수-팀국문-썸.jpg" alt="슬라이드" onerror="javascript:this.src='/image/common/m_slide_img01.png'" /> </span> <p class="slide_text add_journal_bt"> <div class="m_s_b_text"> <dl> <dt><a href="https://www.postech.ac.kr/화학친환경소재-박수진-교수팀-불타지-않는-배터리" target="_blank">화학/친환경소재 박수진 교수팀, 불타지 않는 배터리, 수계 리튬이온배터리의 한계를 넘다</a></dt> <dd>[POSTECH·서울대, 전해질 설계 및 계면 최적화로 고전압과 장기 수명 동시 구현] 전기차는 친환경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지만, 리튬이온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은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런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물을 가두어’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한 배터리의 내구성과 고전압 구동을 동시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POSTECH 화학과·친환경소재대학원 박수진 교수, 화학과 통합과정 정인수 씨, 박사과정 김성호 씨 연구팀은 서울대 재료공학부 한정우 교수 연구팀, 통합과정 김영비 씨가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최근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스마트폰, 전기차 등 현대인의 일상에서 필수적인 기술이지만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는 가연성 유기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 위험성이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물‘을 기반으로 한 리튬이온배터리가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물의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실용화에 제약이 있었다. 특히, 물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전압 범위인 전위창(ESW*1)이 좁아 배터리의 성능이 제한되며, 물 분자의 높은 반응성 때문에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의 핵심 전략은 물의 반응성을 억제하는 ’용매화(solvation)’ 설계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아세트아미드(Acetamide)는 유기 화합물 일종으로, 높은 극성과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아세트아미드를 활용하여 삼원계 공융 전해질(세 가지 성분이 녹아 하나의 균일한 액체를 유지하는 혼합물)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물 분자를 리튬 이온의 1차 용매화층 안에 가두어 자유로운 물 분자(free water)의 양을 줄이고, 물 분자 간 수소 결합 네트워크를 깨뜨리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전위창을 1.23V(볼트)에서 3.1V 이상으로 확장했다. 여기에 추가로 연구팀은 ...</dd> </dl> <span>2025-02-12</span> </div> </p> </div> </div> <div class="item"> <div class="m_slide_box"> <span class="m_s_b_img"> <img src="https://www.postech.ac.kr/wp-content/uploads/2025/02/250211-노준석-교수팀-국문-썸.jpg" alt="슬라이드" onerror="javascript:this.src='/image/common/m_slide_img01.png'" /> </span> <p class="slide_text add_journal_bt"> <div class="m_s_b_text"> <dl> <dt><a href="https://www.postech.ac.kr/기계화공전자융합-노준석-교수팀-진동과-충격-메타" target="_blank">기계/화공/전자/융합 노준석 교수팀, 진동과 충격, 메타물질로 간단하게 잡았다</a></dt> <dd>[POSTECH·전북대·서울대, 진동 필터링과 충격 완화 가능케 하는 폭넓은 주파수 밴드갭 구현] POSTECH·전북대·서울대 공동 연구팀이 제품과 건물 등의 진동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탄성 메타물질(elastic metamaterials) 개발에 성공했다. 이 메타물질은 복잡한 기계 장치 없이도 단순한 3D 구조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가 울퉁불퉁한 도로를 달릴 때나 스마트폰을 바닥에 떨어뜨릴 때 충격이 발생한다. 자동차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항공기와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충격과 진동은 내구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줄이기 위해 높은 비용을 부담하면서 별도의 감쇠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 공동 연구팀은 메타물질을 활용했다. 메타물질은 재료 자체 특성이 아닌, 내부 구조를 인위적으로 설계해 기존의 재료로는 얻기 어려운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타물질은 국부 공진(local resonance)*1을 통해 진동과 충격을 완화하는데, 이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에서 강하게 반응하는 공진 요소를 추가해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불안정해 실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인 3D 우드파일(woodpile) 적층 구조로 메타물질을 설계했다. 이 구조는 마치 여러 개의 나무토막을 쌓은 것처럼 보이며, 긴 실린더 형태의 여러 빔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팀은 이 빔들은 고유의 굽힘 공진 모드(bending mode)*2를 가지며, 진동이 내부를 통과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이 구조는 실린더가 가지는 고유의 굽힘 공진 모드(bending mode)를 활용하여 진동의 간섭 효과를 극대화해 실린더의 적층 방식에 따라 공진 모드 간 결합의 정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기존 메타물질 설계의 문제점인 불안정성...</dd> </dl> <span>2025-02-12</span> </div> </p> </div> </div> <div class="item"> <div class="m_slide_box"> <span class="m_s_b_img"> <img src="https://www.postech.ac.kr/wp-content/uploads/2025/02/250210-정성준-교수팀-썸.jpg" alt="슬라이드" onerror="javascript:this.src='/image/common/m_slide_img01.png'" /> </span> <p class="slide_text add_journal_bt"> <div class="m_s_b_text"> <dl> <dt><a href="https://www.postech.ac.kr/신소재it융합-정성준-교수팀-진공-속-한-방울의-과학" target="_blank">신소재/IT융합 정성준 교수팀, 진공 속 한 방울의 과학, 디스플레이의 미래를 그리다</a></dt> <dd>[POSTECH · 삼성디스플레이, 진공도에 따른 고분자 액적 건조 거동 메커니즘 규명] 신소재공학과 정성준 교수, 김성주 박사 연구팀은 삼성디스플레이 강동진 박사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진공에서의 고분자 액적(방울) 증발 메커니즘 규명에 성공했다. 이 연구는 차세대 고품질 디스플레이 생산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 전자기기 핵심 부품인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고분자를 용액 상태로 만든 다음 건조시켜 박막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고분자 용액 공정’이 비용 절감과 대형화에 유리해 주목을 받고 있다. 공기 중의 불순물을 최소하하고, 고품질의 얇은 디스플레이를 빠르게 생산하려면 진공 상태에서 이 공정을 진행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POSTECH 연구팀은 고속 카메라 촬영 기술을 이용해 진공 정도가 액적 건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대기압 조건에서는 보지 못한 새로운 액적 증발 패턴이 나타났다. 액적은 ‘일정한 접촉 반경(Constant Contact Radius, CCR)’을 유지하며 건조되는 단계, 둥근 모양을 유지한 채 점점 크기가 줄어드는 ‘일정한 접촉각(Constant Contact Angle, CCA)’, 도토리처럼 윗부분이 뾰족해지며 크기가 작아지는 ‘증가하는 접촉각(Constant Contact Angle, ICA), 테이프가 붙었다가 떨어지듯 액적의 테두리가 이동하는 ‘스틱 앤 슬립(Stick &amp; Slip)’ 모드 등 네 가지 뚜렷한 건조 단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방울 주변의 압력 변화가 액적 내부 분자 확산과 표면 장력에 영향을 미쳐 박막 균일성까지 결정짓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가장 균일한 박막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진공 조건을 찾아내어 매우 빠른 속도로 정밀하게 박...</dd> </dl> <span>2025-02-10</span> </div> </p> </div> </div> <div class="item"> <div class="m_slide_box"> <span class="m_s_b_img"> <img src="https://www.postech.ac.kr/wp-content/uploads/2025/02/장진아-교수팀-국문-썸1.jpg" alt="슬라이드" onerror="javascript:this.src='/image/common/m_slide_img01.png'" /> </span> <p class="slide_text add_journal_bt"> <div class="m_s_b_text"> <dl> <dt><a href="https://www.postech.ac.kr/3d-바이오프린팅으로-만든-위암-모델-환자-맞춤형-항암" target="_blank">3D 바이오프린팅으로 만든 위암 모델,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의 새 시대 열까</a></dt> <dd>[POSTECH · 美 잭슨랩, 위암 환자 약물 반응성 평가 및 예측하는 체외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연구팀이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The Jackson Laboratory for Genomic Medicine) 찰스 리(Charles Lee)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암 환자의 약물 반응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3D 위암 모델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환자 조직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각 환자에 따른 약물 반응을 평가하고, 예측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암 치료의 가장 큰 난제는 ‘종양의 이질성’이다. 마치 동일한 레시피로 요리해도 맛이 다르게 나오는 것처럼 같은 암이라도 환자마다 종양의 특성이 달라 약물에 대해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인다. 현재까지는 암 조직을 동물 모델에 이식하여 약물 반응을 관찰하는 PDX*1 모델이나 암세포 유전자를 분석해 약물의 효과를 예측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됐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POSTECH·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했다. 연구팀은 환자의 위암 조직 조각, 위에서 유래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ECM)*2 하이드로젤로 바이오잉크를 만들어 암세포와 주변 조직(간질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재현했다. 또, 여기에 위 섬유아세포*3를 함께 배양해 종양을 둘러싼 미세환경을 더욱 정교하게 구현했다. 연구팀의 3D 위암 모델은 환자 고유의 위 조직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존 PDX 모델에 비해 암의 발생과 성장, 약물 반응 관련 유전자 발현 패턴이 실제 환자와 유사했으며, 항암제 효과 및 예후 예측 실험에서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특히, 이 모델은 조직을 채취한 후 2주 이내에 신속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장진아 교수는...</dd> </dl> <span>2025-02-07</span> </div> </p> </div> </div> <div class="item"> <div class="m_slide_box"> <span class="m_s_b_img"> <img src="https://www.postech.ac.kr/wp-content/uploads/2025/02/이형주-교수팀-썸넬.jpg" alt="슬라이드" onerror="javascript:this.src='/image/common/m_slide_img01.png'" /> </span> <p class="slide_text add_journal_bt"> <div class="m_s_b_text"> <dl> <dt><a href="https://www.postech.ac.kr/환경-이형주-교수팀-기후-변화가-키운-보이지-않는-적" target="_blank">환경 이형주 교수팀, 기후 변화가 키운 보이지 않는 적, 오존의 역습</a></dt> <dd>[POSTECH, 기후 변화에 따른 기상 조건의 변화가 오존 농도 추세에 미친 영향 규명] 최근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통합과정 신민영 씨 연구팀이 오존 농도와 초과 일수에 기상 조건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후 변화가 오존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밝혀냈다. 이 연구는 환경 및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케모스피어(Chemosphere)’에 게재됐다. 오존(O₃)은 대기 중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가스이지만, 호흡기와 심혈관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이다. 주로 차량 배기가스와 공장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햇빛과 반응해 생성되며 국내 오존 농도는 수십 년 꾸준히 증가해왔다. 하지만 단순히 배출량 증가만으로는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오존 농도는 기온, 습도, 바람 속도 등 기상 조건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POSTECH 연구팀은 ‘기상 조건 변화가 오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했다. 2001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 25개 구에서 수집된 20여 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 등 기상 조건의 변화로 인해 평균적인 오존 농도가 1.6ppb(ppb, 10억분의 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상 조건 변화는 오존 초과 일수의 발생 패턴에도 변화를 불러왔다. 초과 일수의 첫 발생일은 평균적으로 매년 2.7일 빨라졌다. 마지막 발생일은 2.3일 늦어지면서 초과 일수 발생 기간이 89일 늘어났으며, 초과 일수의 발생 확률은 3.8년 더 빨리 증가했다. 일반적으로 오존의 농도는 무더운 여름철에 주로 문제가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연구에 따르면 봄과 가을에도 오존 농도가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일상적인 건강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형주 교수는 “지금까지 오존 대기오염은 여름철 문제로 인식됐으나 봄과 가을에도 오존 대기오염의 위험이 존재하며, 기후 변화로 대기질 관리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오존 농도 증가를 가속하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dd> </dl> <span>2025-02-07</span> </div> </p> </div> </div> </div> </div> <!-- Research Highlights : e--> </div></div><!-- m_left : e --> <div class="m_right"> <div class="m_box"> <div class="m_box_inner"> <h3 class="mh3_title">Researcher</h3> <div class="researcher_area"> <p class="researcher_img_box"> <span><img src="/researcher-image?researcherId=616" alt="Featured Researcher Image" onerror="this.src='/image/common/no_img.gif'"/></span> </p> <div class="reseacher_info"> <dl> <dt> <a href="/researcher-profile?ep=616" target="_blank"> JIN, HYUNGYU<span>진현규</span> </a> </dt> <dd class="interests_dd"> Dept of Mechanical Enginrg</dd> </dl> </div> <div class="m_box_bottom"> <a href="mailto:hgjin@postech.ac.kr" class="m_mail_bt">mail</a> <a href="/researcher-profile?ep=616" class="read_more"><em>Read more</em></a> </div> <a href="/browse-researcher" class="m_more">Researcher more</a> </div> </div> </div><div class="m_box"> <div class="m_box_inner"> <h3 class="mh3_title">Keyword</h3> <div class="keyword_inner"> <div id="cloud" style="width: 300px; height: 210px;" data-url="/json/loadJson/keywordCloud" class="m_chart_box fade wordcloud"></div> </div> </div> </div></div><!-- m_left : e --> <div class="bottom_wrap"> <!--recent additions--> <div class="bc_box"> <div class="bc_inner"> <h3 class="mh3_title">Recent Additions</h3> <div class="m_list"> <ul>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127317"> 인비트로 시스템에서의 상피세포 링클 형성과 계층적 접힘 구조 변화 재현</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112098"> 복잡한 형상에서의 압축성 대와류 모사를 위한 수치해석방법 및 아격자 모델 개발</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127382"> Temperature-dependent deformation behavior of dual-phase medium-entropy alloy: In-situ neutron diffraction study</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125010"> Effect of framework Si/Al ratio on the CO<sub>2</sub> adsorption mechanism on cesium-exchanged phillipsite zeolites</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127323"> Integrated cutting stock and multi-period inventory optimization considering raw material–product eligibility for steel-pipe manufacturers</a> </li> </ul> </div> <a href="/component?type=recently-added" class="m_more">more</a> </div> </div> <!--//recent additions--><!-- Recent Additions : e --> <!--top download--> <div class="bc_box"> <div class="bc_inner"> <h3 class="mh3_title">Monthly Top Download</h3> <div class="m_list"> <ul> <li><a href="/handle/2014.oak/13309">Improvement of desolvation and resilience of alginate binders for Si-based anodes in a lithium ion battery by calcium-mediated cross-linking</a></li> <li><a href="/handle/2014.oak/40973">Visualizing Quaternion Multiplication</a></li> <li><a href="/handle/2014.oak/10152">Simultaneous production of hydrogen with the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using TiO2 photocatalyst modified with dual surface components</a></li> <li><a href="/handle/2014.oak/10931">Control of mesoscale and nanoscale ordering of organic semiconductors at the gate dielectric/semiconductor interface for organic transistors</a></li> <li><a href="/handle/2014.oak/9197">Approximations for the Queue Length Distributions of Time-Varying Many-Server Queues</a></li> </ul> </div> <a href="/component?type=top-downloads" class="m_more">더보기</a> </div> </div> <!-- </div> --> <!--Top Download : e --> <div class="bc_box site_type"> <div class="bc_inner"> <h3 class="mh3_title">Related Site</h3> <div class="site_link"> <ul> <li><a href="http://www.sherpa.ac.uk/romeo/index.php" target="_blank"><img src="/image/common/site_img01.png" alt="sherpa romeo" /></a></li> <li><a href="http://dspace.org" target="_blank"><img src="/image/common/site_img02.png" alt="DSpace" /></a></li> <li><a href="http://www.oak.go.kr" target="_blank"><img src="/image/common/site_img03.png" alt="OAK" /></a></li> </ul> </div> </div> </div><!--Related Site : e --> </div> </div> </div> <div class="m_extra_wrap"> <div class="col_width m_extra_inner"> <div class="m_e_left"> <div class="mp_box"> <h3 class="mh3_title">Journal Categories</h3> <div id="pie" data-url="/json/loadJson/journalCatagory" class="m_chart_box fade"></div> </div> </div> <div class="m_e_right"> <div class="mp_box"> <h3 class="mh3_title">Top Cited</h3> <div class="m_list"> <ul> <ul>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26575">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Semiconductor Photocatalysis</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103400">Large-Area Synthesis of High-Quality and Uniform Graphene Films on Copper Foils</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29116">Large-scale pattern growth of graphene films for stretchable transparent electrodes</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25747">Roll-to-roll production of 30-inch graphene films for transparent electrodes</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98580">Minimal information for studies of extracellular vesicles 2018 (MISEV2018): a position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tracellular Vesicles and update of the MISEV2014 guidelines</a> </li> <li> <!-- 메타 출력부분 --> <a href="/handle/2014.oak/28971">High-resolution profiling of histone methylations in the human genome</a> </li> </div> <a href="/component?type=top-cited-list" class="m_more">더보기</a> </div> </div> </div> </div> </div><!-- sub_contents : e n--> </div> <div class="footer_wrap"><!-- 메인/서브 공통 --> <div class="col_width"> <span class="oak_logo">OAK</span> <div class="footer_address"> <div class="footer_link"> <a href="https://www.postech.ac.kr/privacy-policy" target="_blank">개인정보처리방침</a> <a href="https://www.postech.ac.kr/eng/privacy-policy" target="_blank">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a> </div> <p><a href="mailto:library@postech.ac.kr" class="t_mail">library@postech.ac.kr</a> <em class="t_phone">Tel: 054-279-2548</em></p> <p>Copyrights © by 2017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d Technology All right reserved.</p> </div> </div> </div> </div> <div class="sb-slidebar sb-right"> <div class="right_nav_box"> <h3>Browse</h3> <ul> <li><a href="/community-list">Communities &amp; Collections</a></li> <li><a href="/browse-researcher">Researcher</a></li> <li><a href="/browse?type=title">Title</a></li> </ul> <div class="left_quick_link"> <a href="/password-login">Login</a> <a href="http://library.postech.ac.kr">Library</a> <a href="#">Help</a> </div> </div> </div> <!-- Slidebars --> <script src="/js/slidebars.js"></script> <script> (function($) { $(function() { $("#slide_wrap").owlCarousel({ autoPlay : 3000, navigation : true, slideSpeed : 300, paginationSpeed : 400, singleItem : true }); $.slidebars(); }); })(jQuery.noConflict()); </script> </body> </html>

Pag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