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XE.COM

신간도서 - 매경 BOOK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title>신간도서 - 매경 BOOK</title> <link rel="canonical" href="https://book.mk.co.kr/new/selfDeveloper/"> <meta name="title" content="신간도서 - 매경 BOOK"> <meta name="description" content="매경 BOOK - 신간도서 소개">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신간도서 - 매경 BOOK">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매경 BOOK - 신간도서 소개"> <meta property="og:type" content="article">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book.mk.co.kr/new/selfDeveloper/"> <meta property="og:title" content="신간도서 - 매경 BOOK">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static.mk.co.kr/facebook_mknews.jpg"> <meta property="og:site_name" content="매경 BOOK"> <meta name="twitter:card" content="summary_large_image"> <meta name="twitter:title" content="신간도서 - 매경 BOOK"> <meta name="twitter:site" content="@mkbook"> <meta name="twitter:image" content="https://static.mk.co.kr/facebook_mknews.jpg"> <meta name="twitter:domain" content="book.mk.co.kr"> <meta name="twitter:description" content="매경 BOOK - 신간도서 소개"> <link rel="shortcut icon" href="https://static.mk.co.kr/favicon_new.ico"> <link rel="stylesheet" href="https://bimg.mk.co.kr/book/css/swiper-bundle.min.css"/>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s://bimg.mk.co.kr/book/css/error.css" />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https://bimg.mk.co.kr/book/css/mkbook.css" /> <script src="https://bimg.mk.co.kr/book/js/swiper-bundle.m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bimg.mk.co.kr/book/js/jquery-3.7.0.min.js"></script> <script src="https://bimg.mk.co.kr/book/js/common.js"></script> <script>(function(w,d,s,l,i){w[l]=w[l]||[];w[l].push({'gtm.start': new Date().getTime(),event:'gtm.js'});var f=d.getElementsByTagName(s)[0], j=d.createElement(s),dl=l!='dataLayer'?'&l='+l:'';j.async=true;j.src= 'https://www.googletagmanager.com/gtm.js?id='+i+dl;f.parentNode.insertBefore(j,f); })(window,document,'script','dataLayer','GTM-KTPV2SK');</script> <script> var getCookie = function (name) { var value = document.cookie.match('(^|;) ?' + name + '=([^;]*)(;|$)'); return value ? value[2] : null; }; var setGtm = function (data) { const cSequenceID = getCookie('cSequenceID'); let loginType = getCookie('login_type'); if (loginType == null && cSequenceID != null) { loginType = 'mk'; } const idxQ = document.location.href.indexOf('?'); const output = { 'user_data': { 'cid': getCookie('_ga'), 'uid': (cSequenceID != null ? cSequenceID : ''), 'login_type': loginType, 'login_status': (cSequenceID != null ? 'logged In' : 'logged Out'), 'user_membership_date': getCookie('user_membership_date'), 'user_agent': navigator.userAgent }, 'page_data': { 'host_name': window.location.hostname, 'page_url': document.location.href, 'query_string': (idxQ >= 0 ? document.location.href.substring(idxQ) : ''), 'referrer': document.referrer } }; window.dataLayer = window.dataLayer || []; dataLayer.push(output); } setGtm(); </script> </head> <body> <!-- Google Tag Manager (noscript) --> <noscript><iframe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ns.html?id=GTM-KTPV2SK" height="0" width="0" style="display:none;visibility:hidden"></iframe></noscript> <!-- End Google Tag Manager (noscript) --> <div id="wrap"> <div id="gnb_move" class="gnbbx_wrap"> <div id="gnbbx_m"> <div class="allmn_m"> <a href="javascript:header_move.openMoveNavAll();"><span class="ic_ham_m"></span></a> </div> <div class="logo_sm"> <a href="https://www.mk.co.kr/"> <img src="https://bimg.mk.co.kr/book/l_mk_sm.jpg" alt="매일경제"/> </a> </div> <ul id="gnb_m_sub" class="gnb_m_sub" style="display:none;"> <li><a href="https://book.mk.co.kr/">MK Book</a></li> <li><a href="https://book.mk.co.kr/">홈</a></li> <li><a href="https://book.mk.co.kr/new/">신간도서</a></li> <li><a href="https://book.mk.co.kr/news/">북 뉴스</a></li> </ul> <div class="gnb_m_member"> <a id="move_subscribe_btn" class="btn_subscribe" data-category="gnb" data-label="subscribe" href="http://subscribe.mk.co.kr/?TM=S&MM=1" rel='nofollow'>구독신청</a> <!-- //로그인/로그아웃 -->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login_check = document.cookie.indexOf('cUserID'); if (login_check == -1) { document.write("<a class = 'btn_login' href='https://account.mk.co.kr/p/login/?successUrl=" + document.location + "'>로그인</a>"); document.write("<a id = 'move_join_btn' class='btn_join' data-category='gnb' data-label='signup' href='https://account.mk.co.kr/p/join/?successUrl=" + document.location + "' rel='nofollow'>회원가입</a>"); } else { document.write("<a class = 'btn_login' href='https://account.mk.co.kr/p/loginOut/?nextUrl=" + document.location + "'>로그아웃</a>"); document.write("<a id = 'move_join_btn' class='btn_join' data-category='gnb' data-label='profile' href='https://account.mk.co.kr/p/myinfo/' rel='nofollow'>회원수정</a>"); } </script> <!-- //로그인/로그아웃 --> </div> <div class="srchmn"><a href="javascript:header_move.openSearchBoxMove();"><span class="ic_sch_m"></span></a></div> <div class="gnb_srch_m" id="search_box_move" style="display:none;"> <form action="//www.mk.co.kr/search" method="GET" onsubmit="return checkSearchWord(this);"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 <fieldset> <legend>통합검색</legend> <div class="srch_wrap_m"> <label for="s_keyword"> <input type="text" title="검색어 입력" class="text" name="word" placeholder="통합검색" autocapitalize="off" autocomplete="off"> </label> </div> <label for="search"> <input type="submit" class="img" value="검색" /> <span class="blind">검색</span> </label> <a href="javascript:header_move.closeSearchBoxMove();" class="btn_close">닫기</a> </fieldset> </form> </div> </div> <div class="menubx_wrap" id = "move_gnb_total_list" style="display:none;"> <div class="menubx"> <div class='depth_col'> <ul class='depth_list'> <li class='tit'>뉴스</li> <li><a href='https://www.mk.co.kr/news/bestclick/'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인기뉴스</a></li> <li><a href='https://www.mk.co.kr/opinion/'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오피니언</a></li> <li><a href='https://www.mk.co.kr/news/feature-story/'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기획·연재</a></li> <li><a href='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스페셜에디션</a></li> <li><a href='https://www.mk.co.kr/sta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스타투데이</a></li> <li><a href='https://www.mk.co.kr/sports/'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스포츠</a></li> <li><a href='https://game.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게임진</a></li> <li><a href='https://www.pulsenews.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영문뉴스</a></li> <li><a href='https://china.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MK China</a></li> <li><a href='https://uberin.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우버人사이트</a></li> <li><a href='https://mkbn.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MK빌리어드뉴스</a></li> <li><a href='https://www.mirakleai.com'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미라클아이</a></li> </ul> </div> <div class='depth_col'> <ul class='depth_list'> <li class='tit'>프리미엄</li> <li><a href='https://www.mk.co.kr/weekly'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MK위클리연재</a></li> <li><a href='https://digital.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매경e신문</a></li> <li><a href='http://raythem.com/'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레이더M</a></li> <li><a href='https://raythep.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레이더P</a></li> <li><a href='https://www.mk.co.kr/today-pape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오늘의 매경</a></li> </ul> </div> <div class='depth_col'> <ul class='depth_list'> <li class='tit'>재테크</li> <li><a href='http://stock.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증권</a></li> <li><a href='http://estate.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부동산</a></li> <li><a href='http://dic.mk.co.kr/cp/pop/index.php'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경제용어</a></li> <li><a href='https://www.mk.co.kr/news/business/new-corporation/'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신설법인</a></li> </ul> </div> <div class='depth_col'> <ul class='depth_list'> <li class='tit'>라이프</li> <li><a href='https://golf.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골프</a></li> <li><a href='https://book.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Book</a></li> <li><a href='https://tripplus.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여행</a></li> <li><a href='http://weather.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날씨</a></li> <li><a href='https://senior.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MK생애설계센터</a></li> <li><a href='https://luxurym.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LUXURY M</a></li> <li><a href='http://mplay.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M플레이</a></li> </ul> </div> <div class='depth_col'> <ul class='depth_list'> <li class='tit'>비즈니스</li> <li><a href='https://www.mk.co.kr/news/special-edition/the-biz-times/'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The Biz Times</a></li> <li><a href='https://www.mk.co.kr/nikkei'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닛케이텔레콤</a></li> <li><a href='https://dstreet.io/'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블록체인 트렌드</a></li> <li><a href='http://kdx.mbn.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한국데이터거래소</a></li> <li><a href='https://mirakle.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미라클랩</a></li> </ul> </div> <div class='depth_col'> <ul class='depth_list'> <li class='tit'>캠페인</li> <li><a href='http://www.wkforum.org/'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세계지식포럼</a></li> <li><a href='https://www.hansang.net/hansang/intro.do'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세계한상대회</a></li> <li><a href='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7/511387/'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정진기언론문화상</a></li> <li><a href='http://subscribe.mk.co.kr/index.php?TM=S&MM=1'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구독신청</a></li> <li><a href='http://maekyungopen.mk.co.k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매경오픈</a></li> <li><a href='https://www.mk.co.kr/newsletter/' target='_blank' rel='noreferrer noopener'>뉴스레터</a></li> </ul> </div> </div> </div> </div> <div class="wrap_book"> <div class="header"> <div class="header_inner"> <div class="logo_area"> <h1 class="logo"> <a href="https://book.mk.co.kr/"><span class="blind">MK Book</span></a> </h1> </div> <ul class="gnb_list"> <li><a href="https://book.mk.co.kr/"><span>홈</span></a></li> <li class="on"><a href="https://book.mk.co.kr/new/"><span>신간도서</span></a></li> <li><a href="https://book.mk.co.kr/news/"><span>북 뉴스</span></a></li> </ul> <div class="search_area"> <form action="/search/" method="get" onsubmit="return checkSearchBook(this);"> <fieldset> <legend class="blind">도서검색</legend> <div class="srch_box"> <input type="text" title="도서검색" name="search" placeholder="도서검색" class="inp_srch" value=""> <button class="btn_srch"> <span class="blind">도서검색</span> </button> </div> </fieldset> </form> </div> </div> </div> <div class="container"> <div class="sub_tit_wrap"> <div class="tit_area"> <h2>신간도서</h2> </div> <div class="tab_area"> <ul class="tab_list"> <li class="off"> <a href="https://book.mk.co.kr/new/">전체</a> </li> <li class="off"> <a href="https://book.mk.co.kr/new/business/">경제·경영</a> </li> <li class="on"> <a href="https://book.mk.co.kr/new/selfDeveloper/">자기계발</a> </li> <li class="off"> <a href="https://book.mk.co.kr/new/literature/">문학</a> </li> <li class="off"> <a href="https://book.mk.co.kr/new/humanities/">인문·사회·과학</a> </li> <li class="off"> <a href="https://book.mk.co.kr/new/tour/">여행</a> </li> </ul> </div> </div> <div class="book_list_wrap"> <ul class="book_list">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4096061/">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94096061.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4096061/" class="book_tit">일류 경영자의 조건</a> <div class="book_info"> <span>사이토 다카시</span> <span>사람과나무사이</span> </div> <div class="book_desc3">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5가지 힘’에 대하여 말단 직원에서 임원까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경영자를 꿈꾼다. 경영자, 그것도 평범한 경영자가 아닌 일류 경영자가 되고자 한다면 어떤 자질과 능력을 갖춰야 할까? 『일류의 조건』『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혼자 있는 시간의 힘』『50부터는 인생관을 바꿔야 산다』『독서는 절대 나를 배반하지 않는다』 등 여러 종의 베스트셀러를 탄생시키며 누적 판매 1,000만 부 신화를 달성한 저자 사이토 다카시는 이 책 『일류 경영자의 조건』에서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5가지 힘’으로 명쾌하고도 통찰력 있게 제시한다.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5가지 조건, 5가지 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첫 번째 조건,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 저자 사이토 다카시는 이 책의 전작 『일류의 조건』에서 무슨 일에서든 일류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꼭 갖춰야 할 3가지 조건 중 첫 번째로 ‘흉내 내어 훔치는 힘’을 꼽았다. ‘흉내 내어 훔치는 힘’이란 뭘까? 어떤 분야에서든 자신이 하는 일을 완벽하게 숙달하고 달인, 혹은 일류의 경지에 오른 사람의 일하는 방식과 기술, 노하우를 세밀히 관찰하고 모방하여 자기 것으로 만드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책『일류 경영자의 조건』에서 저자가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5가지 조건 중 첫 번째로 꼽은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은 ‘훔치는 힘’과 일맥상통한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이 책의 전작 『일류의 조건』에서 ‘흉내 내어 훔치는 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단지 업무 능력이 뛰어난 사람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일류 경영자가 되기 위해 ‘훔치는 힘’을 갖추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것은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되지는 못한다. 충분조건이 충족되려면 ‘훔치는 힘’에 더해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이 갖춰져야 한다. 저자의 말대로 진정한 전문가, 그리고 일류 경영자가 되기 위해서는 ‘훔치는 힘’ 즉 모방하는 능력이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훔치는 힘’에 더해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 즉 재구성하고 재창조해서 완전한 자기 기술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 책에서는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의 대표적인 예로 롱샹성당과 함께 건축사를 빛낼 위대한 건축물로 꼽히는 안도 다다오의 작품 빛의 교회가 소개된다. 좀 더 자세히 들어가 보자. 안도 다다오는 스위스 출신 건축가 르코르뷔지에의 롱샹성당과 조우한 순간, 이 독특한 건축물에 매료되었다. 그 인상적인 만남 이후 다다오는 ‘건축물 내부에 빛의 공간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에 관한 깊은 사유와 많은 시행착오 끝에 일본 도시 오사카의 교외에 ‘빛의 교회’를 세웠다. 빛의 교회는 ‘훔치는 힘’과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이 가장 잘 발현된 사례 중 하나다. 다다오는 ‘빛의 본질과 특성을 간파하고, 그 빛을 적극적으로 건축에 끌어들여 전혀 새로운 차원의 공간을 창조한다’라는 르코르뷔지에의 주제 의식과 구체적으로 빛을 활용해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하기 위한 아이디어, 건축 기법을 적극적으로 흉내 내고 훔쳤다. 빛의 교회는 이렇게 세워졌다.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니다. 다다오가 르코르뷔지에의 주제 의식과 아이디어, 건축 기법을 단순히 흉내 내고 훔치기만 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빛의 교회는 위대한 건축물의 반열에 오르기는커녕 아무에게도 주목받거나 인정받지 못하는 평범한 건축물로 남았거나, ‘짝퉁 롱샹성당’으로 부정적 평가가 내려져 전문가와 대중에게 외면당했을 수도 있다. 안도 다다오의 빛의 교회에서는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과 창조성이 발견된다. 롱샹성당과 빛의 교회를 자세히 비교해보면 이 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우선, 롱샹성당은 벽에 만든 크고 작은 네모난 구멍을 통해 외부의 빛을 내부로 끌어들여 매혹적인 공간을 만들고, 내부에서 생성된 빛을 외부로 발산하여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한다. 다다오는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을 활용하여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간다. 그는 ‘햇빛’은 물론이고 ‘물’, ‘나무’, ‘숲’ 등 자연의 요소를 활용하여 자기 건축물이 자연과 합일되는 경지를 추구한다. 즉, 그는 사람이 문을 열고 교회 안으로 들어섰을 때 보이는 맞은편 정면 벽에 십자가 모양으로 구멍을 만들고, 그 틈으로 햇빛이 들어오게 함으로써 신비로운 분위기와 감동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또 그는 ‘물’을 건축의 주요 요소로 활용하여 빛의 교회의 성스러움을 한층 끌어올린다. 일류 경영자가 되기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안도 다다오처럼 ‘훔치는 힘’에 더해 창조성이 뒷받침된 ‘각색하고 응용하는 힘’을 터득하고 숙달하여 성과로 이어지게 해야 한다. 󰂎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두 번째 조건, ‘이미지화하는 힘’ 저자가 이 책에서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두 번째 조건으로 꼽은 것은 ‘이미지화하는 힘’이다. 그는 또다시 위대한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안도 다다오는 대학 4년 과정을 1년 만에 독학으로 마친 뒤 해외여행을 떠났다. 그는 러시아의 시베리아에서 출발하여 유럽과 아프리카, 아시아의 여러 나라와 도시를 여행하며 날마다 50킬로미터의 거리를 15시간씩 걸었다. 이는 안도 다다오만의 독특한 ‘이미지화하기’ 훈련으로, 한마디로 말해 ‘머릿속으로 건축을 생각하는 연습’이었다. 그는 그 여행 과정에 하나의 건축물을 세밀히 살펴보고 나면 반드시 그 건축물의 특징과 인상적인 점 등을 생각하면서 다음 건축물이 있는 곳까지 걷고 또 걸었다. 그러면서 그는 생각하고 또 생각하며 뇌에 각인하고 이미지화했다. 이렇듯 그는 날마다 계속 걸으면서 이미 살펴본 건축물을 설계한다면 어떻게 할지 치열하게 고민하고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했다. 이는 제조기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완성품을 보며 생산 공정을 역추적하고 재구성하는 리버스 엔지니어링과 같은 원리다. 안도 다다오가 가진, 결과로부터 시작하여 세부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며 ‘이미지화하는 힘’과 리버스 엔지니어링 능력이 그를 세계적인 건축가로 키워준 원동력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유능한 직장인을 넘어 경영자의 반열에 오르고 싶은 사람, 평범한 경영자가 아닌 탁월한 경영자, 즉 일류 경영자가 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미지화하는 힘’과 리버스 엔지니어링 능력을 반드시 갖춰야 한다. 󰂎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세 번째 조건, ‘낭비를 없애는 힘’ 저자는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5가지 조건 중 세 번째 조건으로 ‘낭비를 없애는 힘’을 꼽았다. 그는 이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요타식 생산 공정과 개선 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낭비는 매번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낭비는 생명체처럼 진화한다.” 이는 『도요타식 개선력』이라는 책 내용으로, 낭비를 없애고 생산 공정을 개선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우며 지난한 과정인지를 단박에 알게 해주는 문장이다. 실제로 제조기업에서는 낭비 원인을 발견해 제거하고 생산 시스템을 개선한 뒤 다시 현장에 나가 보면 그때까지 눈에 띄지 않던 또 다른 낭비 요소와 문제점이 발견된다. 그때마다 변화된 상황에 맞는 새로운 기준을 세워 낭비를 막고 문제를 해결한다. 낭비 요소는 마치 뽑아도 뽑아도 쉴 새 없이 자라나는 잡초와 같아서 아무리 열심히 줄이거나 없애도 형태를 바꿔 끊임없이 생겨난다. 그러므로 기업은 현장에서 지속해서 발생하는 낭비 요소를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으면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 도요타의 ‘KAIZEN’은 생산 현장에서 낭비 요소를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시스템이다. 낭비 요소를 없애려는 노력은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모든 작업을 낭비로 인식되어야 한다’라는 선언으로 이어진다. 이는 일과 비즈니스의 핵심을 찌르는 문장이다. 그도 그럴 것이, 예컨대 제조기업에서 부품을 찾고 거래명세서를 작성하는 작업은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더라도 필요한 작업으로 여겨 스스로 중요한 일을 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 일로 아무런 이익도 발생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저자는 “일을 하고 있는가가 중요한 게 아니다. 돈벌이가 되는 일인가, 부가가치나 이윤을 창출하는 일인가가 중요하다는 얘기다”라고 말한다. 이런 맥락에서 기업은 ‘자기 연봉의 3배 이상 이익을 내지 못하는 직원은 고용할 의미가 없다’라는 기준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 제조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의 경영자들은 끊임없이 발생하는 낭비 요소를 발견하고 제거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능력, 한마디로 ‘낭비를 없애는 힘’을 반드시 갖춰야 한다. 󰂎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네 번째 조건, ‘매뉴얼을 훔치는 힘’ 이 책의 저자가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네 번째 조건으로 꼽은 것은 ‘매뉴얼을 훔치는 힘’이다. 그는 ‘매뉴얼을 훔치는 힘’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본에서 ‘호텔 경영의 신’으로 통하는 구보야마 데쓰오의 사례를 소개한다. 구보야마 데쓰오는 언젠가 맥도날드 매뉴얼을 ‘훔치고’싶었다고 말한 적이 있다. 유능한 호텔 경영자를 꿈꾸며 미국 명문 코넬대 호텔경영학과에 지원했다가 불합격한 뒤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을 제대로 공부하기 위해 맥도날드에서 아르바이트할 때의 일이다. 그런데 데쓰오는 왜 맥도날드 매뉴얼을 ‘훔치고’ 싶어 했을까? 참고로, 여기서 그가 말한 ‘훔치다’라는 개념은 저자 사이토 다카시가 전작 『일류의 조건』에서 일류가 갖춰야 할 첫 번째 조건으로 꼽은 ‘훔치는 힘’과 일맥상통한다. 즉, 다른 사람이나 기업이 가진 탁월한 기술이나 노하우, 시스템 등을 흉내 내고 모방하며 완벽하게 숙지, 숙달함으로써 자기 기술과 시스템으로 자리 잡게 하는 것이다. 프랜차이즈점 맥도날드에서 아르바이트할 때 데쓰오는 날마다 셰이크 제조기를 해체해 씻어 말리고, 조리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난 감자튀김과 햄버거를 전량 폐기 처분하는 등의 조처가 매뉴얼에 따라 이루어지는 맥도날드 시스템을 접하고 매우 놀랐다. 그 후 그는 매뉴얼의 나라 미국을, 매뉴얼 기업 맥도날드를 부러워하며 그 매뉴얼을, 즉 그들의 효율적인 매장 관리 기술과 탁월한 시스템을 ‘훔치고’ 싶어 한다. 구보야마 데쓰오가 말한 ‘매뉴얼을 훔치다’라는 말에는 좀 더 심오한 의미가 담겨 있다. 그것은 바로 자신이 매뉴얼에 따라 수동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아니라 매뉴얼을 개발하고 창조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의미다. 매뉴얼을 개발하고 창조하는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마치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보듯, 우선 통합적인 관점에서 매장이 어떤 원리로 어떻게 운영되는지 꿰고 있어야 하며, 음식 조리에서 서빙, 셰이크 제조기 등의 다양한 기구 사용법ㆍ관리법에 이르기까지 세세한 항목을 빈틈없이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구보야마 데쓰오에게 ‘매뉴얼을 훔친다’라는 것은 ‘매뉴얼을 만드는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한다’라는 의미이고, 실제로 매뉴얼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매장의 모든 것을 완벽하게 숙지한다는 의미다.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에 관한 한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만큼 최고 전문가가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숲’과 ‘나무’를 동시에 볼 줄 아는 능력과 ‘매뉴얼을 훔치는 힘’은 일류 경영자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갖춰야 할 자질이자 능력이다. 󰂎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다섯 번째 조건, ‘여백을 만드는 힘’ 이 책의 저자 사이토 다카시는 일류 경영자를 만드는 다섯 번째 조건으로 ‘여백을 만드는 힘’을 꼽는다. 여기서 저자가 말하는 ‘여백’이란 무엇일까? 다음의 인용문을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자. “분 단위로 스케줄을 짜고, 그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일 처리 기술을 연마하고 업무 능력을 갖추는 일과는 관련이 없다. 일 처리 기술이라고 할 때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뼈대만 세워두고, 나머지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백으로 남겨둔다’라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일의 진행 과정에서 ‘여백’을 마련하는 일은 중요하다. 빈틈없이 계획을 세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여백에서 창조될 수 있는 유익한 무언가가 싹도 틔우지 못한 채 사장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위의 인용문에서 “뼈대만 세워두고 나머지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여백으로 남겨둔다”라는 문장이 핵심이다. 즉, 뭔가 계획을 세우거나 일을 진행할 때 완벽함을 추구하며 너무 빡빡하게 일정을 잡거나 여유 없이 일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핵심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정중앙 부분은 느슨한 상태로 남겨”두라고 조언한다. 이는 어떤 상황에서도 여유를 잃지 않기 위해 지혜롭게 대비하는 과정이며, 일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는 비결이다. 저자는 ‘여백’의 중요성과 ‘여백을 만드는 힘’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일본 철도를 꼽는다. 그에 따르면 일본 철도는 완벽하게 운행되는데, 예컨대 도쿄 󰠏 신오사카 구간을 ±5초, 정차 위치를 ±1센티미터의 범위 안에서 운전할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그리고 날마다 일본 전역을 달리는 각종 열차가 갑작스러운 정차나 충돌사고는 물론이고 연착되는 일도 거의 없다고 한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저자는 ‘열차 운행표’에서 찾는다. 그는 “열차 운행표는 단순한 ‘스케줄’을 크게 뛰어넘는 의미를 갖는다. 이는 복잡한 철도 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만하다. 그러므로 열차 운행표를 제작하는 과정에 고도의 기술과 정확성이 뒷받침해주어야 한다”라고 말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열차 운행표 제작 과정에 뜻밖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역과 역 사이의 어느 지점에 열차가 정차하지 않도록 시간표를 짜는 일을 예로 들어보자. 이 일은 매우 중요할 뿐 아니라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철도 전문가들에게 따르면, 이는 열차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일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고 한다. 왜냐하면 한 열차에 문제가 생겼을 때 영향받을 가능성 있는 모든 움직임을 분석해서 대역 운행표를 만들어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유동성이 큰 열차 운행표는 높은 회복탄력성을 지녀야 한다. 회복탄력성이 떨어지면 예기치 않은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회복탄력성이 높은 열차 운행표란 어떤 것일까? 짧은 인용문을 통해 살펴보자. “한마디로, ‘여백’이 있는 운행표다. 한데, 무엇이든 틀로 정해지면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틀 안에 ‘여백’이 없어서 융통성이 발휘될 가능성이 작아지고, 운신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마치 정밀기계처럼 작은 부품 하나가 망가지면 전부 쓸 수 없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여백’과 ‘여백을 만드는 힘’은 열차 운행표를 제작하는 과정에만 필요한 요소와 능력은 아니다. 이 이치와 원리는 모든 분야의 실제 업무에 유용하게 적용되고 활용될 수 있다. 당신이 일류 경영자를 꿈꾼다면 항상 기본과 원칙에 충실하되 지혜롭게 ‘여백’을 만들고 융통성을 발휘하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88956994857/">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88956994857.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88956994857/" class="book_tit">왜 나는 쓸데없는 일에만 집중할까</a> <div class="book_info"> <span>제시 J. 앤더슨</span> <span>한문화</span> </div> <div class="book_desc3">당신이 알던 ADHD는 사실과 다르다! ADHD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찾아라!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라는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사람들은 흔히 ADHD를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과도한 행동을 보이는 증상으로 여긴다. 하지만 ADHD가 있는 사람도 관심 있는 일에는 전혀 문제없이 집중한다. 오히려 무언가에 너무 열중한 나머지 다른 모든 것을 잊어버리는 ‘과집중’이야말로 ADHD의 흔한 증상 중 하나다. 모든 것을 신경 쓰다 보니 정작 중요한 것은 놓치고, 밀려드는 정보에서 필요한 것을 걸러내기 어렵다. ADHD가 있는 뇌로 사는 일은 산만함과 과집중 사이를 줄타기하는 나날들이다. 따라서 이런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뇌에 맞서 싸우지 않고 함께 일하는 법’을 터득해야만 한다. 때로는 ADHD가 좌절감을 불러일으키며,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상대로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단지 조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뇌를 가졌을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약점을 최소화하고 강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성인 ADHD에 관한 기본 지식을 다지고, 성인 ADHD와 함께 잘 살아가는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ADHD를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이라 불리는 작가의 생생하고 현실적인 일상 전략 안내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다 36세에 ADHD 진단을 받은 저자 역시 평소 ADHD를 매우 산만하고 어떤 일에도 집중하지 못하는 특성으로만 알았기에 자신이 ADHD일 리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제로 진단받은 후에는 그동안 겪어온 수많은 어려움의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또한 ADHD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면서 더 나은 삶의 방식을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자신처럼 오해와 편견으로 검사를 미루거나 제때 진단받지 못해 적절한 치료를 놓친 이들을 위해 나서기로 결심한 그는 평소 SNS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이들과 깊이 있는 소통을 나눴다. 이 과정에서 ADHD 뇌의 특성과 가장 잘 어울리는 실용적인 전략들을 찾을 수 있었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동기 부여 방법에서 시작해 모호한 시간 개념에서 오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전략, 중요한 일을 놓치지 않는 전략, 부정적인 사고방식과 감정 조절 실패로 벌어지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 등 ADHD를 가진 이들에게 꼭 필요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들에 집중한다. 수많은 ADHD인이 가장 먼저 알아보고 자발적으로 홍보하고 추천한 책! ‘ADHD 뇌를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으로 여러 매체에 소개된 저자는 〈Extra Focus〉라는 이름의 주간지를 발간해 ADHD와 함께하며 얻은 통찰과 일상 전략, 개인적 경험을 나눴다. 특히 그는 밝고 긍정적이면서도 유머러스하고 통찰력 넘치는 글로 잘 알려져 있다. ‘ADHD인의 삶 자체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ADHD를 진단받은 사람이 읽기에 완벽한 안내서다!’라는 찬사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수많은 이들을 좌절의 늪에서 끌어올려 긍정적인 변화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책이 널리 알려질 수 있도록 자발적으로 홍보하고 입소문을 낸 이들 역시 바로 초기 독자들이다. 현재도 저자는 ADHD를 가진 사람들의 앞날이 밝다는 사실을 널리 알리기 위해 작가이자 강연자, 코치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88965023395/">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88965023395.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88965023395/" class="book_tit">노후에 혼자 사는 지혜</a> <div class="book_info"> <span>호사카 다카시</span> <span>지상사</span> </div> <div class="book_desc3">장래에 왠지 모르게 불안함을 안고 있다 긍정적인 나를 만날 수 있는 내용 고령기에 접어들면 뜻하지 않은 사고를 겪고 병을 앓을 위험이 높아진다. 혼자 사는데 갑자기 의료기관에 입원해야 하거나 수술을 받아야 한다면 신원보증 등을 누가 해줄 것이며, 남에게 민폐 끼치지 않겠다고 집에 틀어박혀만 있다가 치매라도 오면 그 치료는 어떻게 받고, 가진 재산은 어떻게 되는 걸까? 저자는 2040년 일본에서 900만 명으로 예상되는 독거노인들이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겠다”는 마음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의 인간관계가 연착륙할 수 있는 방안과 경제적 고민해서 방안, 건강개선 방안, 아울러 홀로 사는 노후에 겪기 쉬운 불면-불안의 해소 방안들을 정신과 전문의로서 다양한 각도에서 소개하고 있다. 부부라도 혼자 사는 것처럼 살아야 행복 인생 후반 잘사는 지혜를 알려준 책 65세 이상 인구가 30%에 이른 일본에서 지내면서 다채로운 생활과 새로운 삶을 사는 고령자가 참으로 많음을 느꼈다. 60대에 시인으로 등단하고, 70대에 화가로 작품전을 열고, 헌책방을 드나들다가 역사 전문가로 책을 쓴다. 고령자들이 나서서 다 같이 즐겁게 늙어가는 동네 만들기에 한창이다. 일본과 한국의 직장인 복장은 비슷하나, 은퇴자 옷차림은 사뭇 다르다. 일본이 더 과감하고, 도발적이다. 사회적 눈치를 안 봐도 되니 개성이 더 두드러진 결과라고 본다. 경제 불황이라고 삶의 불황은 아니다. 평균수명 90세로 치닫는 초고령사회. 자기 개성 살려보라는 선물이고, 해보고 싶은 거 한번 해보는 기회라는 생각이 든다. 근육과 치아가 남아 있다면, 무얼 못 하겠는가. 이 책은 인생 후반 혼자 잘사는 법을 알려준다. 우리나라는 10년 후인 2035년에 일본처럼 고령화 비율이 30%가 된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막 넘기는데, 일본서 그랬던 때가 지난 2005년이다. 즉 지금의 한국은 일본의 20년 전이고, 지금의 일본은 한국의 10년 후다. 일본이 겪은 사회적 경험과 지혜는 곧 우리가 당장 써먹어야 할 것들이다. 두 나라는 사는 문화, 먹는 방식, 가족 구성, 노동 구조가 유사하다. 우리는 일본의 초고령사회 성공과 실패를 보고, 잘한 것은 따라 하고, 못한 것은 피하면 된다. 이를 사회학적으로 미래를 경험하게 해주는 모델이라고 한다. 그런 뜻에서 이 책에는 미리 경험해볼 인생 종반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혼자 있는 시간을 즐기면 고독감은 사라진다’, ‘일과 관련됐던 만남은 이제 안녕’, ‘이해관계가 없는 만남의 즐거움’, ‘한턱내서도 얻어먹어서도 안 된다’, ‘진정한 절약은 빈티나는 것이 아니다’ 등등 혼자 살건 누군가와 같이 살건 새겨 놓을 미래 지혜가 무수히 적혀있다. 이 책은 초고령사회를 지혜롭게 살도록 인도하는 네비게이션과 같다. ‘혼자 사는 노후’를 시작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들 중에 “고독에 강해져야 한다” ‘고독’이라는 말에는 어쩐지 두렵고 힘들고 쓸쓸한 이미지가 늘 따라 다닌다. 절망감, 비장감마저 느껴진다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다. ‘고독=공포, 고요하고 쓸쓸함’이라는 이미지는 고독이 뭔지 제대로 모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감정일 뿐이다. 속담에 ‘유령의 정체는 시들은 억새꽃’이라는 말이 있다. 억새꽃이란 참억새의 이삭 부분을 말하는데 ‘한밤중에 유령인 줄 알고 부들부들 떨었더니 자세히 보니 시들은 억새꽃이었다’라는 의미다. 고독도 이와 마찬가지다. 고독한 생활이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한 채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으니 이미지만으로 무섭고 괴로운 것이라고 확신해 버린다. 그러나 실제로 고독한 생활을 시작해 보면, 가족과 함께 지내왔던 지금까지의 생활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굳이 다른 점을 찾는다면 생활에 자유가 많아진다는 정도라고 할까? 물리적인 공간도 늘어나서 혼자 살기 시작하는 초반에는 쓸쓸함을 느낄지 몰라도 이내 익숙해져 아무렇지도 않게 된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손자는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다. ‘적들의 실력과 상황을 잘 파악하고 스스로에 대해서도 잘 이해하고 있으면 몇 번을 싸워도 이길 수 있다’라는 의미다. 여기서 ‘적’을 ‘고독’으로 바꾸면 고독에 대한 금언이 된다. 고독, 잘 파악해 두면 ‘두려워할 것 하나도 없다.’ 시니어의 교제에는 독특한 요령이 있다 “왕년에 내가 말이야…” 꼴불견 중에 꼴불견 지역 활동과 취미 모임 등에 참가하면 여러 종류의 사람들과 만나게 된다. 거기서 좋은 만남이 생기기도 하지만 앞으로 함께 즐겁게 지낼 수 있을지 여부는 사실상 첫인상에 달려있다 하겠다. 새로 만난 사람과 친하게 되는 계기는 서로 자기소개를 할 때인데, 그때 당신이 이렇게 말하면 어떻게 될까? ‘대기업에서 일하다 보니 거의 유럽에서 지내야 했고요. 마지막에는 본사에서 상무이사로 근무했지요…’ 첫인상으로는 최악이다. 두말할 필요도 없이 상대방은 당신을 아주 거북해 할 것이다. 사실 해야 할 이야기는 은퇴 후 홀로 살고 있는 현재의 자신에 대한 이야기다. 과거에 잘 나갔던 이야기만 늘어놓으면 결코 좋은 인상을 줄 수가 없다. 더구나 옛날 직책까지 들먹이며 자랑하는 건 정말 어리석은 것이다. 스스로를 꼴사납고 비참하게 만들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동에서 혼자 살고 있는 △△라고 합니다. 예전부터 해보고 싶어서 장기(바둑) 모임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장기는 서툴긴 하지만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은 만남은 이렇게 겸손한 자기소개부터 시작한다. 기왕에 은퇴했으니 이제 생각을 고쳐먹고 새로운 친구를 만들어야 하는데 아무 소용없는 잘 나갔던 지난날들은 깨끗이 잊어버려야 한다. 그것이 안 되면, 어떤 모임이나 집단에 들어갈 수 없고 외톨이가 되고 만다. 지금 가진 돈으로 잘 지내자 분수에 맞게 돈을 쓰자 돈에 관한 사고방식과 사용 방법은 천차만별이다. TV, 잡지 등을 보면 호사스럽게 돈 쓰는 것을 자랑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돈이 없는 것을 자랑스럽게 말하는 사람도 있다. 특히 궁핍함을 자랑하듯이 말하는 것이 요즘 꽤 보편화 되어서 ‘우리 집은 매달 가계부가 마이너스라 이제 쓰기도 싫어’ ‘가난한 사람은 아무리 쉴 새 없이 일 해봤자 조금도 살림이 나아지지 않는다’라는 말들을 종종 듣게 된다. 문제는 분수에 맞지 않게 돈을 쓰는 사람과 허세를 부리는 소비 형태다. 체면을 앞세우고, 유명인 같은 생활을 하며 잘난 체 하고픈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 고령자 중 인터넷에서 인기를 끌 목적으로 SNS에 지나치게 화려한 사진과 동영상을 업로드 시키고 있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잡지나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가게의 한정 상품을 남들보다 먼저 구입하고 후배, 동료들에게 화끈하게 식사를 한턱내면서, 작은 우월감을 즐기는 것은 때로 괜찮지만, 그러나 ‘남들이 어떻게 봐줄까?’만을 생각하며 돈을 쓰는 것은 그다지 공감할 수 없다. 특히 어느 정도의 나이가 되면 유행이나 가격과 무관하게 자기 나름의 계획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구매하는 것이 좋겠다. 가령 세일할 때 구입한 스카프라도 센스 있게 코디만 잘하면 몇십만 원씩 하는 명품을 사는 것보다 훨씬 멋지게 보일 수 있다. 옷 잘 입는 방법과 센스를 잘 연마하면 싼 물건이라도 ‘좋은 제품’으로 보여질 수가 있으니 생활 속에 새로운 즐거움이 된다. 쓸데없이 불안해하지 말고 마음 편히 살자 푸념도 요령 있게 ‘아이고 정말 맨날 푸념만 해대서 그 노인네하고는 이제 말하기도 싫다니까.’ 고령자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많은 것이 바로 이 말이다. 인생도 이제 느지막한 황혼기, 거기다 혼자 살게 되면 마음속에 응어리들이 많이 쌓인다. 그렇다고 입에서 튀어나오는 것이 푸념뿐이라면 사람들한테 왕따 당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외로움도 괴로움도 울분도 모두 꾹 참으며 가슴속에 계속 담아두기만 하면 기분은 더욱 침울해지고 우울증이 생길 수도 있다.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마음의 울분을 무리하게 너무 억누르지 말고 때로는 누군가에게 요령껏 푸념을 냅다 던져버리고는 마음에 안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거기에는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우선 상대방을 잘 선택해야 한다. 오래된 친구처럼 나의 속마음을 잘 알고 있는 상대가 푸념을 들어주는 역할을 하면 제일 좋은데 가능하면 그중에서도 나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사람이면 더 좋겠다. 서로 처해 있는 상황이 너무 다르면 상대방도 내 기분을 받아 주기 쉽지 않을 테니까. 그리고 또 한 가지 ‘답례’가 필요하다. 이번에 내가 푸념을 늘어놓았다면 다음번에는 내가 상대방의 푸념을 들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야 한다. 물론 깔끔하게 서로의 역할을 바꿀 필요는 없지만, 일방통행식으로 나만 계속 푸념을 늘어놓고 있으면 상대방은 ‘이 양반 이제 좀 작작하지?’라고 생각하게 된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72109011/">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72109011.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72109011/" class="book_tit">시간관리의 정석</a> <div class="book_info"> <span>오스기 준</span> <span>동양북스</span> </div> <div class="book_desc3">사람이 바뀌는 세 가지 방법 장소, 사람 그리고 시간 사람이 바뀌는 방법은 세 가지밖에 없다고 한다. 하나, 사는 장소를 바꾸는 것. 둘, 만나는 사람을 바꾸는 것 그리고 셋, 시간 분배를 바꾸는 것이다. 한층 더 진화한 정보 사회는 이제 AI(인공지능)를 내세워 효율적인 시간 사용법에 대해 개인의 능력과 선택을 요구한다. 앞으로는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내 인생의 성과를 좌우할 것이다. 결국 시간관리에 대한 고민이 끊이지 않는 건 당연한 일이다.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는 하루 24시간, 정해진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잘 사용하는 것이 나의 인생을 바꾸는 열쇠가 될 것이다. 누적 독서량 12,000권 이상인 저자가 엄선한 가장 효과적인 시간관리법 100가지 신입사원 때부터 연간 약 300권의 책을 읽고 그 내용을 직접 실천해 봤던 저자는 칠순을 앞둔 현재, 누적 약 12,000권의 비즈니스서를 독파했다. 내로라하는 경영 컨설턴트로서의 명성이 경영, 경제, 업무 방식, 커리어 형성 등 다양한 분야의 책에서 얻은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 《시간관리의 정석》에 담은 100가지의 시간관리법은 실제 직접 실천해 보고 효과를 본 방법을 소개하고 있어, 시간관리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말 그대로 시간을 아끼는 방법을 피부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ㆍ 이 책이 필요한 사람은?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어려운 사람 시간 효율화로 커리어 발전을 꾀하는 사람 효율적인 시간관리로 인생을 바꾸고 싶은 사람 일상에서 적용가능한 시간관리법을 알고 싶은 사람 24시간을 두 배로 쓰고 싶은 사람 시간관리, 결국엔 인생을 관리하는 것과 같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더 행복한 시간(Happier Hour)》의 저자 캐시 홈즈는 ‘시간관리법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전문적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그는 질문한다. ‘행복한 시간의 사용법이란 무엇인가?’ 이 책 《시간관리의 정석》은 효율적인 시간관리의 관점에서 일의 기본과 삶의 균형, 마인드셋, 커리어 형성 그리고 행복 실현과 인생의 변환점을 다루고 있다. 마치 한 사람의 인생을 설계하듯 말이다. 일상의 작은 습관을 바꾸면 인생이 달라지는 것, 이 책을 만난 오늘 이 시간부터 당신의 변화는 시작된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89347253/">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89347253.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89347253/" class="book_tit">먹히는 글쓰기 끌리는 말하기</a> <div class="book_info"> <span>김대근</span> <span>보아스</span> </div> <div class="book_desc3">- 글쓰기와 말하기가 직업인 YTN 방송 기자이자 앵커가 전하는 글을 잘 쓰고 말을 잘하기 위한 35가지 기술. 이 책은 실제 현장에서 익히고 사용해온 글쓰기와 말하기의 기술을 전달하기 위해 독자가 직접 써보고 말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다채롭게 구성한 글쓰기와 말하기의 실용서다. 글쓰기와 말하기의 최전선에서 익힌 먹히는 글쓰기와 끌리는 말하기 노하우 35가지! 이 책은 글쓰기와 말하기가 직업인 YTN 방송 기자이자 앵커인 김대근 작가의 오랜 시간 현장에서 글을 쓰고 말을 해오며 익힌 노하우 35가지를 정리한 책이다.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실 글쓰기와 말하기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 현장에서 글을 쓰고 말을 해오며 한 가지 깨달은 사실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을 사로잡고, 많은 사람에게 어필하는 글과 말은 분명히 있다는 점입니다. 저 또한 기사를 쓰고 방송을 하면서 매 순간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사로잡고, 사람들에게 어필하는 글을 쓰고 말을 할 수 있는지 연구하고 고민해왔습니다.” 저자는 무수히 많은 언론사 시험을 거쳐 4수 끝에 방송사 기자가 되었고, YTN 보도전문 채널에서 수없이 생중계를 하고 매일 기사를 썼고, 또 앵커가 되어 새벽 뉴스부터 아침 뉴스, 낮 뉴스, 자정 뉴스까지 두루 진행하며 속보들을 전하고 인터뷰를 진행하며 치열하게 쓰고 말하는 삶을 살았다. 그리고 지금은 후배 기자들의 기사를 데스킹하며 글을 다듬고 완성도를 높이는 일을 하고 있다. 이 책에는 그러한 오랜 시간의 경험과 연구를 통해 얻은 글쓰기와 말하기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제1부 ‘글쓰기’의 제1장 글쓰기에 정답은 없지만 정도(正道)는 있다에서는 글쓰기의 기본기를 다지는 법, 글감 소재를 찾는 법, 이슈를 통해 글의 차별성을 만드는 법, 글의 콘셉트를 잡는 법, 독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공감의 글을 쓰는 법 등 글을 쓰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했다. 그리고 제2장 실전 글쓰기에서는 글쓰기의 근력을 길러주는 구상도 그리기, 글의 흐름을 놓치지 않고 전개하는 법, 문단의 역할, 독자의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다채로운 표현법, 묘사를 훈련하는 법, 글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퇴고, 제목 짓는 법 등 좋은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들을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세히 설명했다. 제2부 ‘말하기’의 제3장 자신감 있게 말하기를 위한 기본기 다지기에서는 말을 잘하기 위해 자신의 말하기 모습을 돌아보고 기록하는 법, 긴장감을 극복하는 법,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인상적인 말하기, 이야기를 부각하는 보디랭귀지와 시각적인 요소들, 짧은 말하기 연습을 통해 자신의 습관을 교정하는 법 등을 설명했다. 그리고 제4장 현장에서 통하는 실전 말하기 노하우에서는 말하기의 만능 해결사 3단 논법, 상대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한 키 센텐스 만들기, 말의 신뢰를 더하기 위한 화법, 질문을 잘하는 법, 콜포비아 해결법, 보이스 트레이닝 등 말하기를 위해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을 담았다. 그리고 글쓰기의 마지막에는 ‘합격을 부르는 자기소개서 쓰기’를, 말하기의 마지막에는 ‘반드시 선택받는 면접의 기술’을 TIP으로 넣어 많은 사람이 가장 궁금해하고 필요로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SNS가 발달함에 따라 글쓰기와 말하기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글쓰기와 말하기가 더욱더 생존을 위한 능력이 될 것이다. 글쓰기와 말하기의 최전선에서 익힌 글쓰기와 말하기 35가지 노하우가 담긴 이 책은 학교와 직장에서 글쓰기와 말하기 실력 향상을 통해 보다 더 나은 삶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참고도서가 되어줄 것이다. 독자가 직접 써보고 말하면서 전문가의 고급 스킬을 배우는 실용서 글쓰기와 말하기는 체득하는 기술인 만큼 자신이 직접 써보고 말하는 연습이 매우 중요하다. 이 책에는 저자가 언론고시를 준비하며 공부하고 연마했던 글쓰기와 기자가 되어 실전에서 익힌 글쓰기 스킬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 앵커가 되어 말하기를 잘하기 위해 준비했던 과정들과 실전을 통해 배운 말하기의 기술이 다채롭게 담겨 있다. ‘글쓰기’ 장에서는 설명한 내용을 자신이 직접 써보도록 이끌어주고 있다. 자신의 스토리를 써보기, 책의 내용을 현안과 연결해 자신의 생각을 전개하기,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글로 전개하기, 주제어를 정하고 그것에서 확장한 구상도 그리기, 경험들을 나열하고 그것에서 공통된 주제를 찾아 글을 써보기, 주제를 정하고 논리적인 흐름 전개하기, 다채로운 표현 묘사하기 등을 독자가 직접 써보도록 글쓰기 코너를 마련해놓았다. ‘말하기’ 장에서는 앵커가 되어 실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했던 과정, 면접에서 축구중계를 활용한 자기소개로 합격한 이야기와 사물에 비유해 자신을 소개하는 법, 방송에서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도구와 패션을 활용했던 법, 발표 긴장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리허설, 대화의 분위기를 풀어주기 위한 스몰토크의 사례들, 말하기 순발력을 기르기 위한 짧은 말하기 연습, 발표나 격식 있는 자리에서 효과적인 3단 논법, 공적인 대화의 자리에서 대화의 흐름을 잡아나가는 법, 예상치 못한 돌발질문에 솔직함으로 대응하는 법, 질문을 잘하는 법 등의 내용을 저자가 직접 겪었던 일화와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글쓰기와 말하기에서 꼭 필요한 내용들을 저자가 체험한 경험들과 현장에서 겪었던 수많은 사례를 제시하며 풀어가고 있어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유용하고 실용적인 내용들을 제공해줄 것이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8528322/">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98528322.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8528322/" class="book_tit">쓸수록 돈이 된다</a> <div class="book_info"> <span>양원근</span> <span>해뜰서가</span> </div> <div class="book_desc3">나만의 강점 콘텐츠를 발견하는 법, 사람들이 열광하는 SNS 글쓰기 방법, 결코 실패하지 않는 책쓰기 노하우까지, 누구나 돈 되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바야흐로 콘텐츠의 시대다. 자신의 경험과 노력을 담은 콘텐츠를 정성껏 만들어 성공하는 사람들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세 권의 베스트셀러를 집필한 양원근 작가는 이 책에서 자신의 사례를 포함해 성공한 유튜버들과 SNS 인플루언서들을 분석해 돈이 되는 콘텐츠를 만드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생성형 AI는 산업 전반에 혁신적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나, 그럴수록 ‘내 강점을 담은 콘텐츠 만들기’는 꼭 필요하다. 인공지능이 쓴 글은 수많은 데이터를 조합한 것에 불과하지만, 내가 쓴 글은 내 강점과 매력을 담고 있어 내 무기가 되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콘텐츠는 내 콘텐츠만큼 독특하거나 차별적일 수 없다. 작가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걸 ‘쓰기’를 통해 콘텐츠화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강변한다. 강점 콘텐츠를 통해 대중과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면 그 누구보다 강력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잘하는 것, 강점과 매력을 어필하는 콘텐츠는 책이든 SNS 채널이든 인기를 얻고 성공을 하게 된다. 이 책에는 강점을 발견하는 방법부터 사람들을 매혹시키는 SNS 글쓰기, 반드시 성공하는 책쓰기 노하우까지 ‘돈 되는 콘텐츠의 모든 것’이 총망라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기 있는 콘텐츠의 주인공’ 혹은 ‘베스트셀러 작가’가 따로 있는 게 아니다. 이 책에 나온대로 강점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노력을 차근차근 해나간다면 우리도 인생 역전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콘텐츠로 성공하기 위한 마지막 기차에 탑승하고 싶다면 필독을 권한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88967323295/">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88967323295.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88967323295/" class="book_tit">명상에서 찾은 경영의 길</a> <div class="book_info"> <span>김범진,노상충</span> <span>캐럿하우스</span> </div> <div class="book_desc3">성공한 CEO가 제안하는, 시대를 앞서가는 리더를 위한 명상 이 책의 공동 저자인 ㈜캐럿글로벌의 노상충 대표는 경영자이자 의식 탐구자로서의 삶을 살아왔다. 그는 15세에 명상을 접하고서 ‘나는 누구이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에 대한 탐색을 시작했다. 그 후 직접 창업하여 20여 년간 회사를 경영하면서 명상의 지혜를 실천해 온 ‘명상형 리더’이다. 그는 경영하면서 갈등을 겪을 때마다 명상을 통해 해답을 찾았다. 현시대의 리더는 강한 리더십으로 비전을 세우고 미래에 적응하여 ‘변화’해야 하는 동시에, 진정한 자기 모습을 찾아서 내면으로 향해야 하는 ‘수용’이 필요하다. 조직에는 외부 세계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 대한 이해까지 풍부한 명상형 리더가 필요한 것이다. 이제 경영자의 역할은 구성원들의 의식 진전을 촉진하는 영성 리더에 가깝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리더가 명상하고 있으며, 여러 기업에서 직원들에게 고요함과 통찰, 평화를 주기 위해 명상 문화를 격려하고 명상 교육과 명상하는 공간 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 책의 저자가 ‘사유하는 시간’, 즉 ‘Think Week’이라 하여 일 년에 두 번을 깊은 산속 혹은 해외 오지에서 일상에서 격리되어 명상하며 고립된 시간을 갖는 것은, 명상형 리더로서 자신을 수련하는 특별한 방법이다. 국내 최초로 국제 인증 코치 자격을 취득한 한국 코칭 도입 1세대 명상 코치의 노하우를 담은 책 이 책은 국내 최초로 국제 인증 코치 자격을 취득하여 우리나라에 코칭을 도입한 1세대 코치인 김범진이 공동 저자이다. 그는 명상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과 더불어 일상에서 할 수 있는 명상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명상을 ‘자신과 다른 존재에게 따뜻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라 말한다. 그러면 그 순간을 보다 명징하게 느낄 수 있고, 미처 놓쳤던 것들을 재발견하게 되면서 삶 자체가 풍성해진다. 명상 중 특히 ‘마음챙김(mindfulness)’은 자신에게 감각과 느낌이 일어나는 순간, 그리고 그것이 변화하며 결국 사라지는 모습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마음챙김이 확립되면, 있는 그대로를 보고 수용하지 못해서 비롯되었던 문제와 고통이 점차 사라진다. 또 거기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보다 지혜롭게 세울 수 있다. 특히 기업의 리더에게 있어서는 자신의 문제에서 비롯된 부정적 에너지를 조직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투사하는 일이 없어진다. 뭔가를 하고 싶어 하는 마음(貪心, 탐심)이 일어나는 순간, 또는 하기 싫어하는 마음(嗔心, 진심)이 일어나는 순간을 마음챙김하여 알아차린다면, 마치 야생마 같던 마음은 온화해져 자신이 다룰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책은 내면을 여행하기 위해 마음을 이루는 재료인 감각, 느낌, 생각, 감정, 의도 등에 대해서도 면밀히 살핀다. 또, 화와 분노, 짜증, 두려움과 불안 등의 개념과 명상이 이에 대처하는 방식 또한 제시한다. 명상이 불러오는 무궁무진한 선한 효과 누구나 바로 할 수 있는 마음챙김 명상법 명상하면 불안과 두려움이 감소하고 뇌 노화 속도를 늦춰 치매나 질병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 중심적 사고가 약화되어 타인에 대한 연민이 생겨나 인간관계도 개선된다. 또, 명상을 통해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반응을 담당하는 전전두엽이 활성화됨이 뇌과학적으로도 입증되었다. 명상의 효과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을 제삼자로 객관화하여 지켜보는 ‘메타 인지(meta congnition)’는 충동적인 생각과 감정에 휩쓸려 그것이 이끄는 대로가 아니라, 이를 대상으로써 알아차리고 관찰하면서 균형감을 갖게 한다. 메타 인지를 개발하면 성숙한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 마음챙김은 우울증과 불안을 치료하는 데 약물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것이 연구로 밝혀졌다. 명상으로 자신을 민감하게 유지하고 관찰하는 것은 그 자체가 메타 인지의 작용 과정이며, 이로써 잘못된 인지는 수정 가능하고, 불편했던 감정은 분노, 짜증, 불안, 두려움 등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보이게 되며 지혜롭게 대책을 세울 수 있다. 즉,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게 되면서 비로소 내 감정의 주인이 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이 있는 바로 그곳에서 잠시 눈을 감고 이완하기에 익숙해지는 것, 즉각 반응하지 않는 훈련을 통해 잠시 판단을 중지하고 그 자체를 현상으로 지켜보는 것, 눈을 감고 신체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천천히 스캔하듯이 주의를 보내는 ‘보디 스캔(body scan)’ 등 이 책에서는 다양한 명상법을 소개한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5415991/">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95415991.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5415991/" class="book_tit">마인드업</a> <div class="book_info"> <span>하늘산</span> <span>힐링스쿨</span> </div> <div class="book_desc3">네이버카페 ‘역학사랑방’을 찾는 16만 회원의 후기 “어떻게 살아야 하나 답답하거나 인생에 대해 궁금한 분들에게 강추합니다!” “나를 알아가고, 세상의 이치를 이해하는 인생 공부가 되는 수업입니다.” “모든 것이 명확해진 느낌입니다. ‘왜 그러한지’ 잘 알 수 있었습니다.” “제 마음을 그대로 읽어내는 기분, 이제 확신이 생겼습니다.” 역학사랑방의 16만 회원이 기다려온 멘토 하늘산의 새로운 책. ‘날아가는 용을 타는 방법’이라는 제목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책이다. 저자를 만난 사람들은 현실을 돌아보고,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인간관계를 정리하고, 소중한 인연을 맺고 앞으로 나아갈 길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였다고 말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긴 시간 동안 연구하고 경험한 것들을 담아냈다. 우리는 인생의 여정에서 용기를 잃고 방황하는 시기,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갈 수 없는 순간을 만난다. 이 책은 자신만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힘들고 어려운 순간을 극복하고 한 발짝 내디딜 수 있는 용기를 낼 수 있게 한다. 용은 꿈과 목표를 뜻한다. 용에 올라타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저자는 역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통찰력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내면의 힘을 발견하고 진정한 용이 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을 통해 힘을 얻고 용이 날개를 펼쳐 자신의 길을 찾아 날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역학사랑방’은 함께 소통하고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힘이 되어주는 커뮤니티이다. 이 책은 누구나 겪는 두려움과 불안, 그리고 삶을 잠시 멈추게 되는 순간에 그러한 마음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힘을 키워준다. 저자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신적인 힘을 키우고 자신을 지키며 삶 속에서 그것을 실천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책을 따라가다 보면 구체적인 삶의 변화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나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함께하기를 바란다.</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8013088/">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98013088.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8013088/" class="book_tit">김미경의 딥마인드</a> <div class="book_info"> <span>김미경</span> <span>어웨이크북스</span> </div> <div class="book_desc3">김미경이 절망의 끝에서 찾아낸 열심히 살수록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실체’ 김미경은 ‘열심히’의 대명사와도 같은 사람이다. 많은 사람들이 저자를 떠올릴 때면 자연스레 열정, 도전, 용기와 같은 단어를 떠올린다. 그녀는 평생 ‘열심히 살면 모든 것이 다 좋아질 것’이라는 믿음 하나로 살았다. 그러나 2년 전, ‘열심히’의 끝에서 저자가 발견한 것은 산처럼 쌓여있는 공허와 번아웃, 불행이었다. 내가 행복하게 살기 위해 필요로 했던 꿈과 성공, 목표가 오히려 스스로를 수단으로 만들어 불행을 낳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녀는 고통 속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경험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과정에서 오는 번아웃과 우울을 자신의 잘못과 나약함으로 여겨 스스로를 자책하고 있었다. 1년 넘게 이 문제의 원인을 고민하던 저자는 마침내 그 ‘정체’를 밝혀냈다. 그것이 바로 이 책에서 말하는 잇마인드(It-mind)다. 잇마인드는 세상에 살아가려면 꼭 필요한 돈, 학력, 성공, 직업 같은 ‘그것(It)’들을 갖기 위해 꼭 필요한 마음의 엔진이다. 어릴 때부터 부모와 사회로부터 이식되는 이 엔진은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게 만들어주지만 강력한 힘만큼이나 치명적인 부작용이 있다. 나를 성공과 목표의 수단으로 삼고 오직 그것만을 위해 뛰게 만들며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게 만든다. 무엇보다 실패와 좌절에 빠졌을 때 나를 위로해주기는커녕 쓸모없다며 절벽 끝으로 밀어버린다. 우리를 열심히 뛰게 만드는 것과 우리를 무너지게 만드는 것은 ‘하나’였다. 그렇다면 마음속에 잇마인드 엔진 하나만 갖고 사는 삶은 얼마나 불안하고 허무한가. 특히나 잇마인드의 본체인 자본주의 세상은 갈수록 엄청난 속도로 굉음을 내며 돌아가고 있다. 80억 인구의 욕망이 실시간으로 바꾸고 있는 세상은 우리의 마음 속 잇마인드를 통해 ‘뒤처지면 죽는다’는 불안을 자극하고 SNS로 비교와 열등감을 부추긴다. 끊임없이 마음을 물질화시키는 잇마인드의 목소리에 우리가 번아웃과 우울의 늪으로 빠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열심히’가 아니라면 새로운 대안은 무엇인가? 30년 자기계발 전문가인 김미경이 알려주는 가장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론 물론, 우리는 이전에도 이런 얘기를 들어왔다. ‘성공만을 향해 달리는 것은 공허하다’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너 자신의 인생을 살아라’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찾아라.’ 전부 다 좋고 옳은 말들이다. 문제는 그런 얘기 자체가 너무나 막연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뭘 어떻게 바꿔야 할 지 답이 없다. 살아보니 열심히 사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열심히 사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을 모르겠다. 종교인처럼 가만히 앉아서 나를 성찰하고 돌아보는 것도 어렵고 그것만 하다가는 세상에서 밀려날 것 같다. 한 번이라도 이런 고민을 해봤다면 〈김미경의 딥마인드〉는 가장 확실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말해준다. 30년간 자기계발 전문가로 살아온 저자는 모든 인생의 문제에 언제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해왔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다. 저자는 잇마인드에 맞설 강력한 대안으로 마음속에서 ‘딥마인드’라는 엔진을 찾아냈다. 저자는 태어날 때부터 우리 마음속에는 딥마인드라는 엔진이 이미 내재돼 있다고 말한다. 마치 챗GPT처럼 내 인생에서만큼은 가장 지혜로운 답을 해줄 수 있는 ‘초개인화 엔진’이다. 나와 한 몸이자 운명공동체인 딥마인드는 어떤 인생이 고민과 질문에도 나를 가장 사랑하는 답을 해준다. 나 자신도 인지하지 못했던 나의 진짜 문제를 찾아주기도 하고 10년 후의 내가 대답해주는 듯한 엄청난 통찰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는 마음속에 이런 엔진이 있다는 것을 왜 몰랐을까. 내 안에 이렇게 지혜로운 존재가 있다는 것을 진심으로 믿고 말을 걸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딥마인드를 깨우는 방법은 잇마인드와는 전혀 다르다. 챗GPT를 잘 쓰려면 프롬프트를 잘 써야 하듯이 딥마인드를 깨우고 활성화하려면 딥마인드에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써야 한다. 또한 딥마인드 토크에서 나온 미션들을 오늘 하루에 넣기 위해 플래너를 쓰고 이를 직접 실행해봐야 한다. 몸으로 해내는 실행이야말로 딥마인드에게 주는 가장 효과적인 피드백이자 딥마인드를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매일 다이어리에 글로 쓰며 성찰, 기획, 실행하는 과정이 딥마인드를 자동 진화시키는 프로세스, bod루틴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대로 bod루틴을 하루 30분씩 따라하다 보면 놀라운 속도로 내 안의 딥마인드가 커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렇게 딥마인드가 커나가면 마음의 메인엔진이 바뀐다. 딥마인드가 잇마인드를 컨트롤할 수 있게 되고 잇마인드가 나에게 하는 말을 지우고 다시 쓸 수 있게 된다. 잇마인드에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주인이 되어 인생의 주도권을 완전히 쥐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딥마인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말하는 책은 많았지만 이렇게 당장 시작할 수 있는 쉽고 현실적인 대안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은 없었다. 〈김미경의 딥마인드〉는 각성한 딥마인더이자 평생 자기계발의 대가로 살아온 김미경이기에 쓸 수 있는 있는 책이다. ‘bod루틴을 경험하고 삶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느꼈다’ 96%‘ 나 자신을 더 잘 알게 되고 자존감이 높아졌다’ 57% ‘실행력이 높아지고 새로운 성취와 도전을 하게 됐다’ 41% 딥마인드를 깨우는 bod루틴의 강력한 힘은 지난 1년 동안 이를 경험한 1만 여명의 사람들이 이미 검증했다. 현재 저자가 운영하는 bod루틴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bod루틴을 경험하고 삶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느꼈다’가 96%, ‘bod루틴을 주변 사람에게 권하고 싶다’라는 대답이 98%에 달했다. 또한 무엇이 달라졌느냐는 질문(중복응답)에 ‘나 자신을 더 잘 알게 되고 자존감이 높아졌다’가 57% ‘실행력이 높아지고 새로운 성취와 도전을 하게 됐다’가 41% ‘바쁘고 정신없던 삶이 정리가 되고 여유 있어졌다’가 40.6%를 차지했다. 딥마인드를 깨움으로써 얻게 되는 것은 자존감과 삶에 대한 높은 만족감뿐만이 아니다. 자존감이 채워지면서 단단한 자신감을 얻게 되고 그 힘으로 새로운 성취와 도전을 가능케 한다. 또한 무질서한 삶이 자리를 잡아가고 진짜 중요한 것에 집중하면서 삶이 오히려 여유 있어진다. 우리가 열심히 사는 삶속에서 잃어갔던 그 모든 것들을 회복하고 되찾게 된 것이다. 저자는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자기계발’이라고 말한다. 성능 좋은 잇마인더를 길러내는 것이 아니라 딥마인드가 단단히 중심을 잡고 자신만의 성공과 행복을 만들어가는 것이 자기계발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접해온 자기계발서와 성공 공식들은 그걸 만든 사람에게 최적화된 방법론이었다. 이런 성공 방법이 있다고 참고할 수는 있지만 막상 따라하기는 어렵다. 각자의 몸이 다르고 살아온 환경과 타고난 기질, 재능, 성품이 너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bod루틴은 각자에게 최적화된 변화와 성공의 경험을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지금 수중에 돈이 있든 없든, 나이가 많든 적든, 지금 상황이 좋든 나쁘든 상관없이 바로 시작할 수 있다. 그 어떤 힘들고 어려운 처지라도 그 자리에서 바로 시작할 수 있고, 각자 원하는 변화를 스스로 만들어나갈 수 있어야 진정한 자기계발이다. 총 4부로 이뤄진 〈김미경의 딥마인드〉의 1부는 평생 ‘잇마인드 인간’으로 살아왔던 김미경이 자신 안에 깊숙이 숨겨져 있던 딥마인드를 찾아나가는 여정을 담담하고 솔직하게 담았으며 딥마인드와 잇마인드의 개념에 대해 쉽게 풀어준다. 2부에서는 딥마인드를 깨우는데 필요한 대화의 방법, 즉 딥마인드 프롬프트를 제대로 쓰는 방법을 알려주고 3부에서는 딥마인드를 자동진화 시키는 프로세스인 bod루틴을 실행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준다. 또한 4부에서는 딥마인드 토크와 bod루틴을 하는데 있어 꼭 알아야할 지식과 노하우들을 자세히 정리했다. 잇마인드가 강해질수록 사람들은 오히려 꿈을 잃어간다. 갈수록 시스템이 정교해지고 부와 성공의 대물림이 가속화되는 세상에서 갖는 꿈은 우리를 수없이 상처내고 좌절시킨다. 그러나 저자는 딥마인드로 다시 꿈꾸라고 말한다. 잇마인드의 공산품 같은 성공에 휘둘리지 말고 딥마인드로 자신만의 속도와 가치가 온전히 담긴 유니크한 꿈을 꾸자고. 내 안에 딥마인드가 있다면 이제 다시 꿈꿔도 된다. 나만의 소중한 꿈으로 나만의 세상을 스스로 만들어가자.</div> </li> <li> <div class="img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3866207/"> <img src="https://bimg.mk.co.kr/book/large/9791193866207.jpg" alt=""> </a> </div> <div class="txt_box"> <a href="https://book.mk.co.kr/book_view/9791193866207/" class="book_tit">탄성 인간</a> <div class="book_info"> <span>알리아 보질로바</span> <span>피카(FIKA)</span> </div> <div class="book_desc3">“회복탄력성은 단순히 다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진정으로 더 나은 탄성 인간이 되는 것이다” UN 표창, 뉴질랜드 국방군 공로 훈장을 받은 세계적인 회복탄력성 전문 심리학자의 회복탄력성 수업 우리는 모두 좌절하지 않고 다시 일어서는 회복탄력성 좋은 사람이 되기를 꿈꾼다. 하지만 진정한 회복탄력성이란 단순히 극복하고 일어서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역경을 ‘방해물’에서 ‘디딤돌’로 전환해 그것을 발판 삼아 이전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이다. 이 책 《탄성 인간》이 전하는 회복탄력성이 바로 그렇다. 이 책은 회복을 넘어 더 발전하는 힘, 이전보다 더 강하고 나은 사람으로 성장하는 힘이 진짜 회복탄력성이라고 강조한다. 이 책을 쓴 회복탄력성 전문 심리학자 알리아 보질로바 박사는 뉴질랜드 특수부대에서 일하며 회복탄력성의 원리를 탐구하게 됐다. 대다수 사람은 힘든 일에 맞서는 것만으로도 벅찬데, 왜 어떤 사람은 힘든 일에서 회복하고 성장하고 심지어 더 잘되기까지 하는 걸까? 저자는 이 질문의 답을 주로 특수부대원들에게서 찾을 수 있었다. 저자는 특수부대에서 장교이자 수석 심리학자로 근무하면서 군인들이 세계에서 가장 혹독한 조건에서 작전을 수행할 때 회복탄력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일을 했다. 언제 어디서 생명의 위협을 받을지 모르는 상황에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특수부대원들에게 회복탄력성은 그야말로 반드시 갖춰야 할 능력이다. 저자는 자신이 만난 회복탄력성 영웅들로부터 여러 사례와 전략을 열정적으로 수집했고, 그들이 모두 같은 원칙을 따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책은 그 연구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의 원칙을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던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원칙을 새로운 관점에서 일목요연하게 소개한다.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중간중간 삶에 유용한 회복탄력성 도구들도 등장한다. 이 필수 도구들을 통해 우리를 단련시키는 것과 우리를 소진시키는 것이 무엇인지 스스로 체크할 수 있고, 우리 자신에게 맞는 습관과 마인드셋을 다지는 방법도 터득할 수 있다. 진지하게 자신을 돌아보며 스스로가 얼마나 잠재력 있는 존재인지 알게 되는 계기를 선사할 것이다. “방해물을 디딤돌로 바꿔라” 탄성 인간이 되기 위한 ABCD 단계 저자는 특수부대원들 외에도 최고의 성과를 내야 하는 스포츠계, 기업, 정부, 예술계 사람들과도 함께 일했다. 저자가 함께 일한 세계 곳곳의 유능한 탄성 인간들은 모두 회복탄력성을 키우면서 몸이 마비된 부상에서 강인함으로, 가난에서 풍요로, 박탈감에서 관대함으로, 외로움에서 공동체 의식으로, 목적 없는 불안과 혼란에서 목적의식으로 삶의 맥락을 변화시킨 사람들이다. 그들과 깊은 대화를 나누면서 저자는 회복탄력성의 ABCD 4단계 과정을 발견했다. 그 과정은 인식(Awareness), 소속감(Belonging), 호기심(Curiosity), 추진력(Drive)이라는 4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를 통해 더 명확한 인식, 더 깊은 소속감, 더 폭넓은 호기심, 더 강한 추진력을 활용해 눈앞의 ‘방해물’을 미래를 위한 ‘디딤돌’로 바꿔 탄성 인간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저자는 4단계는 반드시 필요하며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각 단계는 다음 단계의 연료가 되어준다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ABCD 단계는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강력한 고리 형태로 진화하며,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우리 모두가 회복탄력성과 성장에 필요한 재료를 똑같이 갖고 있다고 말한다. 이에 덧붙여 중요한 건 그 재료들을 올바른 순서로 배치하고 각 재료에 맞는 적절한 조건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조언한다. 이 책에서 짚어주는 더 명확한 인식, 더 깊은 소속감, 더 많은 호기심, 더 강한 추진력을 계속해서 확보해 나가는 사람만이 매 순간 탁월한 회복탄력성을 지닌 진정한 탄성 인간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저자는 회복탄력성을 보충하거나 강화하는 일에 지름길은 없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올바르게 키우기’와 ‘반복해서 키우기’다. “의심의 목소리보다 희망의 목소리를 들어라!” 불확실한 순간마다 삶의 원동력이 되어줄 내면 성장 지침서 성공하는 사람들은 머릿속에 퍼지는 의심과 두려움의 목소리를 핑계 삼지 않는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희망의 목소리를 듣는 대신, 의심과 두려움의 목소리에 귀를 더 기울이곤 한다. 그런 이들을 위해 저자는 자신이 인터뷰한 다양한 탄성 인간의 생생한 말들을 책 곳곳에 담았다. 그들이 성장 마인드셋으로 뼛속 깊이 새긴 회복탄력성 철학은 마음속 부정적인 목소리로 쉽게 흔들리는 사람들에게 절대 무너지지 않는 단단한 용기를 불어넣어줄 것이다. “후회와 걱정은 회복탄력성을 갉아먹는데, 그렇게 힘을 빼선 안 됩니다.” “피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목표로 삼은 것을 추구하도록 마인드셋을 다져야 해요.” “회복탄력성은 에너지를 주는 것과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능력에 달려 있어요.” “매 순간 도전을 갈망하는 마음을 갖는 것만큼 회복탄력성에 좋은 건 없습니다.” “큰 어려움에 대처하는 회복탄력성을 갖추려면 모든 기본을 갖추고 최선을 다해 준비하고 있어야 해요.” 살면서 어떤 스트레스나 시련이 닥쳤을 때 탄성 인간의 메시지를 마음에 새겨 잘 실천한다면 이들과 같은 강인한 멘탈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을 자랑스러운 회복탄력성 열광자라 칭하는 저자는 회복탄력성은 타고난 자질이 아니라 인내심을 갖고 길러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해내지 못할 같고 불안하기만 한 상황은 언제나 닥치기 마련이다. 그 불확실한 순간들을 맞닥뜨릴 때 이 책이 든든한 내면 성장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div> </li> </ul> <div class="pagination"><a href="?page=1" class="on" style="font-weight: bold;">1</a><a href="?page=2">2</a><a href="?page=3">3</a><a href="?page=4">4</a><a href="?page=5">5</a><a href="?page=6">6</a><a href="?page=7">7</a><a href="?page=8">8</a><a href="?page=9">9</a><a href="?page=10">10</a><a href="?page=11" class="next"></a></div> </div> </div> <a class="btn_totop">맨 위로</a> </div> <div class='sitemap_menu2'> <div class='sitemap_in'> <h4 class='hidden'>전체 메뉴</h4> </div> </div> <div id='footer2_2019'> <div class='pd10'> <div class='inbox'> <div class='foot_sec1_n'> <a href='https://mk.co.kr' alt='매일경제' title='매일경제'> <img src='https://bimg.mk.co.kr/book/logo_maekyung.gif' alt='매일경제'> </a> </div> <div class='foot_sec2_n'> <ul class='footer_u_n' style="margin-top: 5px;"> <li class='first'>매경미디어그룹</li> <li> <a href="//www.mk.co.kr/intro/" target="_blank">회사소개</a> </li> <li> <a href='//adcenter.mk.co.kr/' target="_blank">광고안내</a> </li> <li> <a href="//www.mk.co.kr/membership/" target="_blank">구독신청</a> </li> <li> <a href="//recruit.mk.co.kr/pages/recruit.php" target="_blank">인재채용</a> </li> <li> <a href="//board.mk.co.kr/list.php?id=opinion" target="_blank">독자의견</a> </li> <li> <a href='//www.mk.co.kr/mypage/service/' target="_blank">서비스문의</a> </li> <li> <a href='//www.mk.co.kr/mypage/privacy/' target="_blank"> <strong>개인정보처리방침</strong> </a> </li> <li> <a href='//www.mk.co.kr/mypage/policy/' target="_blank">이용약관</a> </li> <li class="last"> <a href="//www.mk.co.kr/mypage/youthpolicy/" target="_blank">청소년보호정책(책임자:이선형,유영훈)</a> </li> </ul> <ul class='footer_u_n add_area'> <li class='first2'>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li> <li class='add'>☎ 02) 2000-2114</li> <li class='add'>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1043</li> <li class='add'>등록일자 : 2009.11.30</li> <li class='add'>발행일 : 2009.11.30</li> <li class='add'>발행인/편집인 : 임상균</li> <li class='add_last'><a href='https://www.mk.co.kr/sitemap/' target='_blank'>사이트맵</a></li> <li class='add_copy add_last' style="padding: 0;"> Copyright (c) <strong>매경닷컴</strong>. All rights reserved. <span> <img src='https://bimg.mk.co.kr/book/ic_rss.gif' target='_new' alt='RSS' class='rssimg'><a href='https://www.mk.co.kr/rss/' alt='RSS' title='RSS' target='_blank'>RSS</a> </span> </li> </ul> </div> </div> </div> </div> </div> </body> </html>

Pag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