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XE.COM

팩플 1페이지 | 중앙일보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팩플 1페이지 | 중앙일보</title>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user-scalable=no"> <meta http-equiv="Content-Security-Policy" content="upgrade-insecure-requests"/> <meta name="format-detection" content="telephone=no, address=no, email=no"/> <meta name="title" content="팩플 1페이지 | 중앙일보"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팩플 1페이지, 팩플의 다채로운 콘텐트를 만나보세요." /> <meta name="news_keywords" content="" /> <meta property="fb:app_id" content="1011513095546498" /> <meta property="fb:pages" content="306376056509633,155192444524300" /> <meta property="og:url" content="https://www.joongang.co.kr/factpl"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팩플 1페이지 | 중앙일보" />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팩플 1페이지, 팩플의 다채로운 콘텐트를 만나보세요."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https://img.joongang.co.kr/pubimg/share/ja-opengraph-img.png" /> <meta property="og:site_name" content="중앙일보" /> <meta property="og:locale" content="ko_KR" /> <meta property="article:author" content="https://www.joongang.co.kr" /> <meta property="article:publisher" content="https://www.joongang.co.kr" /> <meta name="twitter:card" content="summary_large_image" /> <meta name="twitter:title" content="팩플 1페이지 | 중앙일보" /> <meta name="twitter:description" content="팩플 1페이지, 팩플의 다채로운 콘텐트를 만나보세요." /> <meta name="twitter:image:src" content="https://img.joongang.co.kr/pubimg/share/ja-opengraph-img.png" /> <meta name="facebook-domain-verification" content="ademavch7lxvqx7mnvjjutqc4ymh4v" /> <link rel="preload" href="//static.joongang.co.kr/css/subset-fonts/NotoSansKR-Regular.woff2" as="font" type="font/woff2" crossorigin /> <!-- 톱기사 리드문 --> <link rel="preload" href="//static.joongang.co.kr/css/subset-fonts/NotoSansKR-Bold.woff2" as="font" type="font/woff2" crossorigin /> <!-- 톱기사 제목 --> <link rel="preload" href="//static.joongang.co.kr/css/subset-fonts/NotoSerifKR-SemiBold.woff2" as="font" type="font/woff2" crossorigin /> <!-- 오피니언 제목 --> <link rel="apple-touch-icon" sizes="180x180" href="https://img.joongang.co.kr/pubimg/favicon/apple-touch-icon.png"> <link rel="icon" type="image/png" sizes="32x32" href="https://img.joongang.co.kr/pubimg/favicon/favicon-32x32.png"> <link rel="icon" type="image/png" sizes="16x16" href="https://img.joongang.co.kr/pubimg/favicon/favicon-16x16.png"> <link rel="manifest" href="https://img.joongang.co.kr/pubimg/favicon/site.webmanifest"> <link href="https://img.joongang.co.kr/pubimg/favicon/favicon.ico" rel="shortcut icon" /> <meta name="msapplication-TileColor" content="#F6330A"> <meta name="theme-color" content="#ffffff"> <meta name="referrer" content="no-referrer-when-downgrade" /> <link rel="canonical"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 />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tic.joongang.co.kr/css/lib/jquery-ui-1.12.1.min.css">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tic.joongang.co.kr/css/plugin/jswiper.min.css?v=202502191027">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tic.joongang.co.kr/css/font.min.css?v=202502191027">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tic.joongang.co.kr/css/layout.min.css?v=202502191027">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tic.joongang.co.kr/css/common.min.css?v=202502191027"> <style> body.overflow_hidden {width: 100%;} </style> <link rel="stylesheet" href="https://static.joongang.co.kr/css/section.min.css?v=202502191027"> <style> @media (max-width: 985px) { .journalist_list .jswiper_wrap .slide:first-child{margin-top:0;} } </style> <script nomodule src="https://static.joongang.co.kr/jsn/corejs-minified.js"></script> <script type="module" src="https://static.joongang.co.kr/jsn/polyfill.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lib/jquery-3.6.0.min.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lib/jquery-ui-1.12.1.min.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plugin/datepicker-ko.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lib/bodyScrollLock.min.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plugin/jquery.tmpl.min.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plugin/lazyload.min.js?v=202502191217"></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plugin/clipboard-2.0.8.min.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plugin/tabs.js?v=202502191217"></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plugin/ResizeSensor.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data/comm/daytimer.js"></script> <script defer src="https://static.joongang.co.kr/jsn/jaSwiperAutoload.js?v=202502191217"></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CLOC_PAGE_INFO = { "ctg": "area:중앙|팩플", "act": { "move": "move:", "click": "click:" }, "lbl":"" }; var PLUS_PAY_INFO = {"purchase_url": "https://www.joongang.co.kr/purchase/main"};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resource.js?v=202502191217"></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utils/utils.js?v=202502191217"></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utils/messageUtil.js?v=202502191217"></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common.js?v=202502191217"></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search.js?v=202502191217"></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section.js?v=202502191217"></script> <script> var GTM = { hostName: '', pageUrl: '', queryString: '', cid: '', uid: '', pcid: '', loginType: '', loginStatus: '', userAgent: '', referrer:'', hitTimestamp: '', paid: 'N', paidStatus: '', paidItemCd: '', paidItemTitle: '', plusInterestCat: '', plusIntTopic: '', plusIntRep: '', plusIntSeries: '', plusIntCuration: '', getCookie: function(name) { var matches = document.cookie.match(new RegExp("(?:^|; )" + name.replace(/([\.$?*|{}\(\)\[\]\\\/\+^])/g, '\\$1') + "=([^;]*)")); return matches ? decodeURIComponent(matches[1]) : undefined; }, getFavo: function(favoType) { try { var memberFavo = JSON.parse(localStorage.getItem("MYFAVO_LIST") || "{}"); return memberFavo[favoType] != undefined ? memberFavo[favoType].join() : ""; } catch(e) { return ""; } } }; try { var member = utils.member.getInfo(); GTM.hostName = document.location.hostname; var pos = document.location.href.split('?')[0].length; GTM.pageUrl= document.location.href.substr(0,pos); GTM.queryString = pos ? document.location.href.substr(pos+1) : ''; GTM.cid = (GTM.getCookie('_ga') != undefined) ? GTM.getCookie('_ga') : ''; GTM.pcid = (GTM.getCookie('PCID') != undefined) ? GTM.getCookie('PCID') : ''; GTM.uid = (member) ? member.seq : ''; GTM.loginStatus = (member) ? member.loginStatus : ''; GTM.userAgent = navigator.userAgent; GTM.referrer = document.referrer; GTM.hitTimestamp = new Date().toISOString().split('T')[0] + 'T' + new Date().toTimeString().split(' ')[0] + '+09:00'; if (member && GTM.uid != null && GTM.uid != '') { GTM.loginType = member.typeName; GTM.loginStatus = 'login'; } else { GTM.loginStatus = 'logout'; } /* */ if (member) { var ckPaidInfo = GTM.getCookie('JAMemPaidInfo'); var jsonPaidInfo = null; if(ckPaidInfo != null && ckPaidInfo.length > 0) { jsonPaidInfo = JSON.parse(ckPaidInfo); GTM.paid = jsonPaidInfo.pay; if(jsonPaidInfo.pay == "Y") { var itemId = ""; var itemName = ""; for(var nidx=0; nidx<jsonPaidInfo.data.itemList.length; nidx++){ itemId += (itemId.length > 0 ? "," : "") + jsonPaidInfo.data.itemList[nidx].itemId; itemName += (itemName.length > 0 ? "," : "") + jsonPaidInfo.data.itemList[nidx].itemName; } GTM.paidStatus = jsonPaidInfo.data.status; GTM.paidItemCd = itemId; GTM.paidItemTitle = itemName; } } } var ckUsrFavorite = GTM.getCookie('JAPlusUsrFavorite'); var ckGstFavorite = GTM.getCookie('JAPlusGstFavorite'); GTM.plusInterestCat = (ckUsrFavorite || ckGstFavorite || '전체'); // 기존 Paywall var googleAbTestStatus = 'A'; if ((Number(utils.pcid.get().substr(-1)) % 2) > 0) { googleAbTestStatus = 'B'; // 변경된 Paywall (홀수) } } catch(e) { } dataLayer = [{ 'userData': { 'cid': GTM.cid, 'uid': GTM.uid, 'pcid': GTM.pcid, 'loginType': GTM.loginType, 'loginStatus': GTM.loginStatus, 'memberGroup': '', 'userAgent': GTM.userAgent, 'paid': GTM.paid, 'paidStatus': GTM.paidStatus, 'paidItemCd': GTM.paidItemCd, 'paidItemTitle': GTM.paidItemTitle, 'plusInterestCat': GTM.plusInterestCat, 'plusIntTopic': GTM.getFavo('T'), 'plusIntRep': GTM.getFavo('R'), 'plusIntSeries': GTM.getFavo('G'), 'plusIntCuration': GTM.getFavo('Q'), }, 'pageData': { 'hostName': GTM.hostName, 'pageUrl': GTM.pageUrl, 'queryString': GTM.queryString, 'referrer': GTM.referrer, 'pageType': utils.device.getPageType(), 'articleWall': 0, }, 'contentData': { 'id': '', 'primarySection': '중앙일보', 'subSection': '', 'childSection': '', 'primaryMenu' : '', 'subMenu' : '', 'contentTags': '', 'serviceDate': '', 'updateDate': '', 'authorName': '', 'authorDepartment': '', 'portalAuthorName': '', 'authorInfo': '', 'contentTitle': '', 'imageCount': '', 'videoCount' : '', 'audioCount' : '', 'articleTemplate': '', 'releaseDepartment': '', 'wordCount': '', 'sourceName': '', 'sourceCode': '', 'issuePackage': '', 'issuePackageId': '', 'issuePackageDiv': '', 'jamAarticleType': '', 'bulk': '', 'subscribeType': '', 'subscribeName': '', 'subscribeNo': '', 'articleLocation': '', 'seriesPackage': '', 'seriesSeason': '', 'seriesEpisode': '', 'googleAbTestStatus': googleAbTestStatus, 'relArtType': '', 'plusCardSeq': '', 'plusOrgType': '', 'plusCardType': '', 'plusPackageName': '', 'plusPackageType': '', 'plusKeyword': '', 'plusInterestCat': '', 'plusTopic': '', 'plusCardPublishedDate': '', 'plusCardStatus': '', 'plusGiftStatus': '', 'plusWallStatus': '', 'plusWallDesignation': '0', } }]; try { if (GTM.getCookie('_ga') != undefined) { $.ajax({ type:'GET', url : utils.config.apiPath + 'datalayer.rfv', async: false, timeout : 3000, xhrFields: { withCredentials: true }, success: function (result) { if (result && result._DATA && result._DATA.length > 0) { dataLayer[0].userData.memberGroup = result._DATA[0].RFV + ""; } } }); } else { dataLayer[0].userData.memberGroup = "111"; } } catch(e) {} var PLUS_INFO = { payFlag: '', plusYn: '', jCd: '' }; var FRONT_IMG_SUFFIX = 'ttt.jpg'; (function() { function notifyDataLayerReadyToMobile() { try { if(utils.device.joongangApp) { if (utils.device.ios) { // iOS webkit.messageHandlers.JoongangilboWebInterface.postMessage("onReadyScript"); } else if (utils.device.and) { // Android JoongangilboWebInterface.onReadyScript(); } }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sending callback to mobile:', error); } } notifyDataLayerReadyToMobile(); })(); </script> <script>(function (jaW, jaD, jaS, jaG, jaR, jaA, jaM) { jaW['jalakeObj'] = jaR; jaW[jaR] = jaW[jaR] || function () { (jaW[jaR].q = jaW[jaR].q || []).push(arguments); }, jaW[jaR].l = 1 * new Date(); jaA = jaD.createElement(jaS), jaM = jaD.getElementsByTagName(jaS)[0]; jaA.async = 1; jaA.src = jaG; jaM.parentNode.insertBefore(jaA, jaM); })(window, document, 'script', 'https://lake.joongang.co.kr/jalake.min.js', 'jalake');</script> <script>(function(w,d,s,l,i) { w[l]=w[l]||[]; w[l].push({'gtm.start':new Date().getTime(),event:'gtm.js'}); var f=d.getElementsByTagName(s)[0],j=d.createElement(s),dl=l!='dataLayer'?'&l='+l:''; j.async=true;j.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gtm.js?id='+i+dl;f.parentNode.insertBefore(j,f); })(window, document, 'script', 'dataLayer','GTM-55JDM9H');</script> <script src="https://cast.imp.joins.com/persona.js" async></script> <script async src="https://securepubads.g.doubleclick.net/tag/js/gpt.js"></script> <script> window.googletag = window.googletag || {cmd: []}; function googletag_init() { googletag.cmd.push(function() { googletag.defineSlot('/30349040/JA_MO_main/bottom', [[320, 70], [320, 50]], 'div-gpt-ad-1672205753602-0').addService(googletag.pubads()).defineSizeMapping(googletag.sizeMapping().addSize([1024, 120], []).addSize([768, 110], [[320, 70], [320, 50]]).addSize([360, 100], [[320, 70], [320, 50]]).addSize([0, 0], []).build()); googletag.pubads().enableSingleRequest(); googletag.enableServices(); }); } if(!/Googlebot|Lighthouse/.test(navigator.userAgent)) { if(document.readyState !== 'loading') { googletag_init(); } else {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googletag_init(); }); } } </script>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WebSite", "@id": "https://www.joongang.co.kr", "url": "https://www.joongang.co.kr", "potentialAction": [{ "@type": "SearchAction", "target": "https://www.joongang.co.kr/search?keyword={keyword}", "query-input": { "@type": "PropertyValueSpecification", "valueRequired": true, "valueMaxlength": 50, "valueName": "keyword" } }] } </script>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context": "https://schema.org", "@type": "BreadcrumbList", "itemListElement": [ { "@type": "ListItem", "position": 1, "item": { "@id": "https://www.joongang.co.kr", "name": "홈" }}, { "@type": "ListItem", "position": 2, "item": { "@id": "https://www.joongang.co.kr/factpl", "name": "팩플" }}] } </script> </head> <body class="theme_set1"> <div id="skip_nav"> <a href="#container">본문 바로가기</a> </div> <noscript><iframe src="https://www.googletagmanager.com/ns.html?id=GTM-55JDM9H" height="0" width="0" style="display:none;visibility:hidden"></iframe></noscript> <div id="wrapper"> <section id="plus_top_banner" class="plus_area bnr_s"> <header class="title_wrap2"> <a class="description" href="https://www.joongang.co.kr/plu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플러스_홈" data-evnt-lbl="더 알아보기_중앙플러스 gate"> <strong class="logo_plus_white"> <span class="visually_hidden">더중앙 플러스</span> </strong> <strong class="sm_hidden">에서 오늘의 인사이트를 경험해보세요 <span>더 알아보기</span></strong> <strong class="lg_hidden">오늘의 인사이트 보러가기</strong> </a> </header> </section> <script> $(function(){ var plusLogo = document.querySelector('#plusHeaderBannerLogo'); var plusPurchase = document.querySelector('#plusHeaderBannerPurchase'); if (plusLogo) { plusLogo.dataset.evntAct = 'move:중앙플러스_홈'; } if (plusPurchase) { plusPurchase.dataset.evntAct = 'move:이용권 안내 페이지'; } if(false) { return false; } if(location.host === "weather.joongang.co.kr") { return false; } var pageUrl = "/factpl"; console.log('j'); initStickyHeader(); $(window).scroll(function() { // 윈도우 스크롤 변경 시 재 실행 if($("#layer_faq_index").hasClass("show")) { return; } setStickyHeader(); }); $(window).resize(function() { // 윈도우 사이즈 변경 시 재 실행 if($("#layer_faq_index").hasClass("show")) { return; } setStickyHeader(); }); setTimeout(function() { $("#header").addClass("position_ab");}, 100); if(dataLayer && dataLayer[0]?.userData?.paid === "Y") { //데이터레이어에 정의된 변수 사용 $("a.btn_outline_orange.sm_hidden").attr("href", "https://www.joongang.co.kr/plus"); $("a.btn_outline_orange.sm_hidden").attr("data-evnt-act", "move:중앙플러스_홈").attr("data-evnt-lbl", "구독중_중앙플러스 gate").html("구독 중<i class=\"ico_arrow_orange_right\"></i>"); } $("a.btn_outline_orange.sm_hidden").removeClass("lg_hidden"); }); function initStickyHeader() { var $header = $(".header"); window.headerPos = $(".plus_area").outerHeight(); $header.addClass("position_ab"); $header.css("top", window.headerPos); } function setStickyHeader() { // 이벤트에 따라 sticky_top 추가, 삭제 var $header = $(".header"); var scrollTop = $(window).scrollTop(); var extraHeight = 0; var isOnPlusBannerWithSearchMobile = false; var isOnSearchStickyWithSearchMobile = false; var isStartWithSearch = false; if(isStartWithSearch) { var deviceType = window.utils.device.getPageType(); if (deviceType === 'mobile' || deviceType === 'tablet') { isOnSearchStickyWithSearchMobile = $("#searchSticky").length > 0; extraHeight = $("#plus_top_banner").length > 0 && isOnSearchStickyWithSearchMobile ? 60 : 0; isOnPlusBannerWithSearchMobile = true; } } if((window.headerPos + extraHeight) <= scrollTop ){ // if(window.headerPos <= scrollTop ){ $header.removeClass("position_ab"); $header.addClass("sticky_top"); $header.css("top", isOnPlusBannerWithSearchMobile && isOnSearchStickyWithSearchMobile ? -70 : 0); // $header.css("top", 0); } else { if ($('html').hasClass('overflow_hidden')) return; $header.removeClass("sticky_top"); $header.addClass("position_ab"); $header.css("top", window.headerPos); } } </script> <header id="header" class="header nav_re emblem60 position_ab" style="top: 60px;"> <div class="uh"> <a href="https://www.joongang.co.kr/60th" class="logo"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click: 60th logo" data-evnt-lbl="중앙일보" aria-label="중앙일보 60주년 선포페이지"> <span class="emblem"> <i class="ico_emblem60" role="img" aria-label="60주년"></i> </span> </a> <a href="https://www.joongang.co.kr" class="logo"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click: logo" data-evnt-lbl="중앙일보" aria-label="중앙일보"> <img width="178" height="26"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logo/logo_thejoongang.png" alt="중앙일보"> </a> <div class="header_right_area"> <ul class="logout sm_hidden hide"> <li><a href="javascript:jaLogin();" data-evnt-ctg="account" data-evnt-act="click: login">로그인</a></li> <li><a href="javascript:jaJoin();"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click: register">회원가입</a></li> </ul> <div class="layer_popup layer_login_popup pop_over hide" id="layer_login_popup"> <div class="layer_item"> <div class="layer_header"> <strong class="login_popup_title">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편의 기능</strong> </div> <div class="layer_body"> <ul class="login_popup_list"> <li>취향저격한 구독 상품을 한눈에 모아보고 알림받는 내구독</li> <li>북마크한 콘텐트와 내활동을 아카이빙하는 보관함</li> <li>기억하고 싶은 문구를 스크랩하고 기록하는 하이라이트/메모</li> <li>중앙일보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스페셜 콘텐트</li> </ul> </div> <div class="layer_footer"> <div class="btn_group">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_s btn btn_outline_orange" onClick="jaJoin();">간편가입</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_s btn_outline_black" onClick="jaLogin();" data-evnt-ctg="account" data-evnt-act="click: login" data-evnt-lbl="layer popup : 팝오버">로그인</button> </div>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title="Close"><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닫기</span></button> </div> </div> <ul class="login user sm_hidden hide"> <li class="link_logout"><a href="javascript:jaLogout();" data-evnt-ctg="account" data-evnt-act="click: logout">로그아웃</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ynews"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move:마이페이지">마이페이지</a></li> </ul> <div class="header_option_area"> <button type="button" class="btn_search" onclick="onClickSearchButt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click:search_검색창" data-evnt-lbl="검색창 열기" aria-label="검색"><i class="ico_search art_search"></i><i class="ico_search_gra art_search_gra"></i><i class="ico_search_ai art_ai"></i></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btn_navbar" onclick="openLayer(this, menu_popup);"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click: megamenu" data-evnt-lbl="메뉴" aria-label="메뉴"><i class="ico_ham"></i></button>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 class="btn_shortcut"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move:logo shortcuts" data-evnt-lbl="중앙플러스" aria-label="더중앙플러스 바로가기"><i class="ico_shortcut_plus"></i></a> </div> </div> </div> <div id="menu_popup" class="full_popup menu_popup "><!-- 2023-07-10 : 더중플 인 경우, 'menu_plus' class 추가 --> <div class="layer_popup side_nav"> <div class="layer_header lg_hidden"> <strong class="logo"><a href="https://www.joongang.co.kr"><span class="visually_hidden">The JoongAng</span></a></strong> </div> <div class="scroll"> <div class="my_wrap noline"> <div class="logout lg_hidden"> <p class="logout_title">간편 로그인하고 한결 더 편리해진 <br />나만의 중앙일보를 경험해보세요.</p> <button type="button" class="btn_user" onclick="jaLogin();" data-evnt-ctg="account" data-evnt-act="click: login" data-evnt-lbl="layer popup : 모바일-메가메뉴">로그인<i class="ico_arrow_right"><span class="visually_hidden" >로그인</span></i></button> </div> <ul class="mypage_wrap d_mypage_megamenu">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ynews" class="user_wrap"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마이페이지"><strong><span class="user"></span>님</strong>의 마이페이지<i class="ico_arrow_right"></i></a></li> <li class="sm_hidden md_hidden"><a href="https://www.joongang.co.kr/customercenter">고객센터</a></li> <li class="sm_hidden md_hidden"><a href="https://www.joongang.co.kr/guides">더중앙 이용안내</a></li> </ul> <div class="banner_wrap lg_hidden"> <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_drawer" data-evnt-lbl="지면보기" href="javascript:loginChk();" > <img width="320" height="60" loading="lazy"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drawer/banner_newspaper_ori2.png" alt="중앙일보 종이신문 그대로 온라인에서도 간편하게 지면보기" /> </a> </div> </div> <nav class="nav layer_body"> <a href="https://www.joongang.co.kr" class="home lg_hidden"><strong class="logo"><span class="visually_hidden">The JoongAng</span></strong><i class="ico_fold"></i></a> <dl class="opinion"><!-- 2023-07-10 : 'opinion' class 추가 --> <dt><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오피니언">오피니언<i class="ico_fold"></i></a></strong></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editorialcolum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오피니언_사설칼럼">사설칼럼</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satiricalcarto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오피니언_만평">만평</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debatepolllis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오피니언_Hot Poll">Hot Poll</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resetkore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오피니언_리셋 코리아">리셋 코리아</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vo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오피니언_영상">영상</a></li> </ul> </dd> </dl> <dl class="news"><!-- 2023-07-10 : 'news' class 추가 --> <dt><strong>뉴스</strong></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정치">정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경제">경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사회">사회</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국제">국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문화">문화</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스포츠">스포츠</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라이프">라이프</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eopl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_피플">피플</a></li> </ul> </dd> </dl> <dl class="special"> <dt><strong>스페셜</strong></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팩플">팩플</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bicnic"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비크닉">비크닉</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realestat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부동산">부동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ooki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COOKING">COOKING</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디지털 스페셜">디지털 스페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rave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여행레저">여행레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더 북한">더 북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chin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더 차이나">더 차이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maum"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더,마음">더,마음</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highen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더 하이엔드">더 하이엔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lo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더,오래">더,오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health"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스페셜_더 헬스">더 헬스</a></li> </ul> </dd> </dl> <dl class="package"><!-- 2023-07-10 : 'package' class 추가 --> <dt><strong>패키지</strong></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bscript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패키지_구독패키지">구독패키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issu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패키지_이슈패키지">이슈패키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eri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패키지_연재패키지">연재패키지</a></li> </ul> </dd> <dt><strong>멀티미디어</strong></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hoto"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멀티미디어_포토">포토</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vo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멀티미디어_영상">영상</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jpo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멀티미디어_J팟">J팟</a></li> </ul> </dd> <dt>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newslet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뉴스레터">뉴스레터</a></strong> </dt> <dt>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SUNDAY">중앙SUNDAY</a></strong> </dt> </dl> <dl class="lg_hidden"> <dt><strong>International Edition</strong></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다국어_ENG">ENG</a></li> <li><a href="https://chinese.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다국어_中文">中文</a></li> <li><a href="https://japanese.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다국어_日文">日文</a></li> </ul> </dd> </dl> <div class="plus">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 class="hom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 <strong class="logo_plus_white"><span class="visually_hidden">더 중앙 플러스</span></strong> </a> <dl> <dt>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콘텐트 탐색<i class="ico_fold"></i></a></strong> </dt> <dd class="nav_item">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busines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_Leader&Reader">Leader&Reader</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societ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_세상과 함께">세상과 함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mone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_돈 버는 재미">돈 버는 재미</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cultur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_마음 챙기기">마음 챙기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famil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_가족과 함께">가족과 함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lifestyl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_쉴 땐 뭐하지">쉴 땐 뭐하지</a></li> </ul> </dd> <dt>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시리즈별 보기">시리즈별 보기<i class="ico_fold"></i></a></strong> </dt> <dt>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urat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큐레이션 발견">큐레이션 발견<i class="ico_fold"></i></a></strong> </dt> </dl>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urchase/mai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이용권 구매">이용권 구매</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guid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서비스 활용 가이드">서비스 활용 가이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atoz/47"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플러스_이용안내">이용안내</a></li> </ul> </div> <div class="banner_wrap lg_hidden hide" style="background: #286FEF;"> <a href="https://www.joongang.co.kr/events/reserve/new_year_wishes_2025?thejoongang_open_browser=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더중플신규프로모션_202502"><img width="320" height="60" loading="lazy"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menu_banner_new_year_wishes_2025%20.jpg/_ir_640x120_/" alt="더중플신규프로모션_202502"></a> </div> <div class="banner_wrap lg_hidden hide" style="background: #0a71d9;">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introduction_new"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더중앙플러스 서비스 소개"><img width="320" height="60" loading="lazy"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banner_introduction_new.jpg/_ir_640x120_/" alt="새로워진 TheJoongAng - 편리함을 더하다. 취향을 더하다. 혜택을 더하다."></a> </div> <div class="banner_wrap lg_hidden hide" style="background: #f6f2fa;"> <a href="https://www.joongang.co.kr/joongangai/search"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일보 AI 검색 "><img width="320" height="60" loading="lazy"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menu_banner_aisearch.jpg/_ir_640x120_/" alt="중앙일보 AI 검색 "></a> </div> <ul> <li><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tren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트렌드 뉴스">트렌드 뉴스</a></strong></li> <li><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brandnew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브랜드뉴스">브랜드뉴스</a></strong></li> <li><strong><a href="https://weather.joongang.co.k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날씨">날씨</a></strong></li> <li><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repor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기자">기자</a></strong></li> <li class=""><strong><a href="https://bbs.joongang.co.kr/jebo"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제보">제보</a></strong></li> <li><strong><a href="javascript:loginCh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지면보기">지면보기</a></strong></li> <li class=""><strong><a href="https://subscribe.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신문 구독신청">신문 구독신청</a></strong></li> <li class=""><strong><a href="https://jmembership.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멤버십">중앙멤버십</a></strong></li> <li class=""><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etc/brand_intro"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The JoongAng 브랜드">The JoongAng 브랜드</a></strong></li> <li class="lg_hidden"><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customercen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고객센터">고객센터</a></strong></li> <li class="lg_hidden"><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guid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더중앙 이용안내">더중앙 이용안내</a></strong></li> <li class=""><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joongangai"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AI+ 중앙일보">AI+ 중앙일보<i class="ico_new"></i></a></strong></li> <li class=""><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60th"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메가메뉴" data-evnt-lbl="중앙일보 60주년">중앙일보 60주년<i class="ico_new"></i></a></strong></li> </ul> </nav> <div class="layer_footer lg_hidden"> <div class="layer_footer_item"> <p>중앙일보를 만나는 또다른 방법</p> <ul class="btn_group"> <li><a target="_blank" href="https://twitter.com/joongangilbo?ref_src=twsrc%5Egoogle%7Ctwcamp%5Eserp%7Ctwgr%5Eauthor"><i class="ico_sns_twt"></i><span class="visually_hidden">트위터</span></a></li> <li><a target="_blank" href="https://media.naver.com/press/025"><i class="ico_sns_naver"></i><span class="visually_hidden">네이버</span></a></li> <li><a target="_blank" href="https://ko-kr.facebook.com/joongang/"><i class="ico_sns_face"></i><span class="visually_hidden">페이스북</span></a></li> <li><a target="_blank" href="https://www.instagram.com/joongangilbo/?hl=ko"><i class="ico_sns_instar"></i><span class="visually_hidden">인스타그램</span></a></li> </ul> </div> </div>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lg_hidden" title="Close"><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Close</span></button> </div> </div> <div class="full_popup bg_white search_popup hide" id="layer_search"> <div class="layer_popup layer_search layer_search_plus search_ai"> <div class="layer_header">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title="Clos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click:search_검색창" data-evnt-lbl="검색창 닫기"><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Close</span></button> </div> <div class="layer_body"> <form class="search_form"> <div class="input_group"> <div class="search_area"> <p class="form_control" role="textbox" contenteditable></p> <span class="input_hint" contenteditable="false">찾고 싶은 뉴스를 검색해 보세요.</span> <button type="button" class="btn_delete hid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click:search_검색창" data-evnt-lbl="검색어 입력 삭제"> <i class="ico_clear"></i> <span class="visually_hidden">삭제</span> </button> </div> <button type="submit" class="btn_search"><i class="ico_search"></i><span class="visually_hidden">검색</span></button> </div> </form> <div class="search_input_list"> <div class="search_guide hide" id="ja-search-guide"> <p class="font_aisearch">자동 검색 기능<span class="sm_hidden">이</span> 작동 중 <span class="sm_hidden">입니다.</span></p> <button type="button" id="ja-open-search-guide" aria-label="정보">검색 가이드<i class="ico_info"></i></button> <div class="layer_popup hide layer_search_guide" id="layer_search_guide"> <div class="layer_body"> <strong class="font_aisearch">'자동 검색' 이렇게 작동해요!</strong> <ul> <li> <strong><span>🔍</span>키워드 검색으로 연결</strong> <ul> <li>단어가 2개 이하일 때 (예: 오늘 뉴스)</li> </ul> </li> <li> <strong><span>🔍</span>AI 검색으로 연결</strong> <ul> <li>단어가 3개 이상일 때 (예: 오늘 뉴스 요약)</li> <li>물음표(?)가 포함되어 있을 때 (예: 날씨?)</li> <li>동사, 형용사, 조사 등 문장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때 (예: 오늘의 운세 알려줘)</li> </ul> </li> </ul> <button type="button" class="ja-aisearch-opensetting">다른 검색 타입 설정하기</button>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ignore" title="Close" aria-label="닫기"><i class="ico_close"></i></button> </div> </div> <p class="search_off">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있습니다.</p> <div class="scroll"> <ul class="tag_nav hide" id="recommend_list"></ul> <ul class="list hide" id="autocomplete_list"></ul> <ul class="list" id="saved_list"></ul> </div> <div class="func"> <button type="button" class="savi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click:search_검색창" data-evnt-lbl="검색어 저장 켜기">검색어 저장 켜기</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removeHistor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click:search_검색창" data-evnt-lbl="전체 검색 기록 삭제">기록삭제</button> </div> </div> <section class="search_tag_wrap"> <div class="title_wrap"> <strong class="title">인기 검색어</strong> </div> <ul class="tag_nav"></ul> </section> <div class="box "> <img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visual/ai/img_joongangai_info.png" alt="" /> <strong>Smart한 더중앙 검색 활용!!</strong> <p> AI 검색은 일반 키워드 검색과는 다르게 문장으로<br class="sm_hidden" /> 질문해주세요. AI가 질문의 의도를 파악해서 참고기사와 함께<br class="sm_hidden" /> 원하는 답변을 해드려요. </p> </div> <div class="chain_wrap" id="mostViewedAll"> <div class="title_wrap"> <strong class="title">많이 본 기사</strong> </div> <div class="photo_list_area"> <ul class="card_group photo_list1 row"> <li class="card col_lg20">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1"><img width="216" height="12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8b1fa310-4a6b-4e11-9135-e49097cc18a3.jpg.thumb.jpg/_ir_432x244_/ttt.jpg" alt="중학생과 성관계한 현역 군인…그날 모텔서 잡힌 이유 알고보니" /></a> </figure> <div class="card_body"> <strong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1">중학생과 성관계한 현역 군인…그날 모텔서 잡힌 이유 알고보니</a> </strong> </div> </li> <li class="card col_lg20">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60"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2"><img width="216" height="12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cf1a8443-b882-402d-bde5-28cdb03c5ace.jpg.thumb.jpg/_ir_432x244_/ttt.jpg" alt="속옷 벗고 한강 뛰어든 알몸 여대생…&quot;아방가르드한 여자&quot;" /></a> </figure> <div class="card_body"> <strong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60"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2">속옷 벗고 한강 뛰어든 알몸 여대생…&quot;아방가르드한 여자&quot;</a> </strong> </div> </li> <li class="card col_lg20">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6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3"><img width="216" height="12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9acb630d-95f7-4d6b-a9c6-249eefca5ec0.jpg.thumb.jpg/_ir_432x244_/ttt.jpg" alt="&apos;무한도전&apos; 출연 인기 요가강사 이유주, 35세 나이로 사망" /></a> </figure> <div class="card_body"> <strong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6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3">&apos;무한도전&apos; 출연 인기 요가강사 이유주, 35세 나이로 사망</a> </strong> </div> </li> <li class="card col_lg20">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9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4"><img width="216" height="12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92f61011-1ecd-414b-86a2-0132ea042c12.jpg.thumb.jpg/_ir_432x244_/ttt.jpg" alt="고양 음식점서 살인사건…흉기 찔린 여성 1명 사망, 1명 중상" /></a> </figure> <div class="card_body"> <strong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9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4">고양 음식점서 살인사건…흉기 찔린 여성 1명 사망, 1명 중상</a> </strong> </div> </li> <li class="card col_lg20">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3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5"><img width="216" height="12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14c6a7c4-9c7f-4b1c-bf7f-12c5809fad45.jpg.thumb.jpg/_ir_432x244_/ttt.jpg" alt="이지아, 조부 친일 논란에 &quot;부모와 연 끊어…재산 환수돼야&quot;" /></a> </figure> <div class="card_body"> <strong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3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전체 검색 팝업" data-evnt-lbl="많이 본 기사_5">이지아, 조부 친일 논란에 &quot;부모와 연 끊어…재산 환수돼야&quot;</a> </strong> </div> </li> </ul> </div> </div> <div class="chain_wrap" id="searchPaidArea"></div> </div> </div> </div> </header> <main role="main" id="container"> <section class="contents"> <header id="sticky" class="section_header_wrap header_swiper "> <div class="header_area"> <h1 class="section_title">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 data-evnt-ctg="header navigation" data-evnt-act="click: 팩플"> 팩플 </a> </h1> <nav class="header_nav jswiper jaswiper_controller linear edge_state detect_active observe"> <ul class="nav jaswiper_wrap"> <li class="nav_item "> <strong>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new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상단-서브메뉴" data-evnt-lbl="뉴스" target=""> 뉴스 </a> </strong> </li> <li class="nav_item "> <strong>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let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상단-서브메뉴" data-evnt-lbl="오리지널 리포트" target=""> 오리지널 리포트 </a> </strong> </li> <li class="nav_item "> <strong>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interview"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상단-서브메뉴" data-evnt-lbl="인터뷰&" target=""> 인터뷰& </a> </strong> </li> <li class="nav_item "> <strong>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erson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30 상단-서브메뉴" data-evnt-lbl="퍼스널" target=""> 퍼스널 </a> </strong> </li> </ul> </nav> </div> </header> <div class="row"> <div class="col_lg9"> <section class="showcase_general"> <div class="card row flex_row_reverse"> <figure class="card_image col_lg56">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쇼케이스" data-evnt-lbl="1" target="_self" class="img_thumbnail"> <img width="483" height="271"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f62b2c22-2775-4c31-b0f7-1fd124dfc74e.jpg/_ir_966x542_/" alt="&#91;팩플&#93; 원하는 물질 실험 없이 만들 수 있다&hellip;MS, 새로운 양자 컴퓨터 칩 공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col_lg44"> <h2 class="headline fs_lg32">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쇼케이스" data-evnt-lbl="1" target="_self"> &#91;팩플&#93; 원하는 물질 실험 없이 만들 수 있다&hellip;MS, 새로운 양자 컴퓨터 칩 공개</a> </h2> <p class="description"> IBM, 구글 등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에 이어 양자 컴퓨터 분야에서도 기술 개발 속도를 끌어 올리고 있다. 일반적인 초전도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를 이용한 기존 양자 컴퓨터 칩과 달리 차세대 초전도 큐비트로 꼽히는 &lsquo;위상적(topological&middot;모양이 변해도 본질이 변하지 않는 특성) 큐비트&rsquo;로 만든게 특징이다. MS는 &quot;균열을 스스로 복구하는 건축 자재, 지속 가능한 농업, 더 안전한 화학 물질 발견과 같은 혁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quot;며 &quot;현재는 수십억 달러가 들어가는 실험&middot;연구가 필요하지만, 양자 컴퓨터를 통해 계산만으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quot;이라고 밝혔다. </p> </div> </div> </section> <section id="recom_article_list" class="chain_wrap">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 { if($('#recom_article_list').find('.card_group.photo_list1.row').children().length <= 0){ $('#recom_article_list').hide(); } }); </script> <header class="title_wrap"> <div class="title_area"> <strong class="title">추천 기사</strong> </div> </header> <div class="photo_list_area"> <ul class="card_group photo_list1 row"> <li class="card col_lg4">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1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추천 기사" data-evnt-lbl="1" target="_self"> <img width="278" height="156"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9/e6439e47-15bb-4447-af14-a608a94b0f13.jpg/_ir_556x312_/" alt="&ldquo;안중근은 테러리스트야?&rdquo; KT가 &lsquo;한국적 AI&rsquo; 만드는 이유">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1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추천 기사" data-evnt-lbl="1" target="_self"> &ldquo;안중근은 테러리스트야?&rdquo; KT가 &lsquo;한국적 AI&rsquo; 만드는 이유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div> </li> <li class="card col_lg4">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5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추천 기사" data-evnt-lbl="2" target="_self"> <img width="278" height="156"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8/1bd4bcf7-8c30-4343-b45d-e3153485cee3.jpg/_ir_556x312_/" alt="세로본능이 가로본능 밀었다, 日망가 뒤엎은 K웹툰 필살기">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5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추천 기사" data-evnt-lbl="2" target="_self"> 세로본능이 가로본능 밀었다, 日망가 뒤엎은 K웹툰 필살기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div> </li> <li class="card col_lg4">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80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추천 기사" data-evnt-lbl="3" target="_self"> <img width="278" height="156"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8/fcbbb9a2-be6e-4671-843b-3c849b683d2f.jpg/_ir_556x312_/" alt="네이버&middot;카카오, 한경협 합류한다&hellip;AI 경쟁력 &#39;팀코리아&#39;로 극복 &#91;팩플&#93;">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80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추천 기사" data-evnt-lbl="3" target="_self"> 네이버&middot;카카오, 한경협 합류한다&hellip;AI 경쟁력 &#39;팀코리아&#39;로 극복 &#91;팩플&#93; </a> </h2> </div> </li> </ul> </div> </section> <div class="info_wrap about_wrap"> <div class="info_area"> <strong class="title">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02" targe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구독배너" data-evnt-lbl="1"> 팩플 Future of Business </a> </strong> <p class="description">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02" targe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구독배너" data-evnt-lbl="1"> 혁신기업의 전략을 심층 취재한 팩플의 오리지널 리포트, 혁신 기업 리더들과의 팩플 인터뷰를 보시려면 The JoongAng Plus를 구독하세요. </a> </p> </div>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102" class="btn btn_outline_orange" targe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E-팩플-구독배너" data-evnt-lbl="1"> <span class="visually_hidden">팩플 Future of Business</span>자세히 보기 </a> </div> </div> <div class="aside col_lg3"> <section class="chain_wrap"> <header class="title_wrap bdr_lg_hidden"> <div class="title_area"> <strong class="title">팩플 많이 본 기사</strong> <button type="button" class="btn_info ml_auto" onclick="openLayer(this, mostviewed);" aria-label="정보"> <i class="ico_info"></i> </button> <div class="layer_popup hide layer_info" id="mostviewed"> <div class="layer_body"> <p>팩플 기사 중 조회수가 높은 기사를 제공합니다. </p> <p class="date"> <span data-format="mostviewedInfo" data-gap="-1d">2025.02.22 03:54</span> ~ <span data-format="mostviewedInfo">2025.02.22 03:54</span> 기준 </p>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title="Close"><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닫기</span></button> </div> </div> </header> <ul class="card_right_list rank_list"> <li class="card">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5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1"> <img width="72" height="7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dbca8705-2378-4850-82a3-77db7b04a55c.jpg/_ir_144x144_/ttt.jpg" alt="[팩플]“장 본거 정리해줘”했더니 로봇이 냉장·상온 분류…피규어, 새 로봇용 AI 공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em class="rank_count ico_num1">1</em>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5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1">[팩플]“장 본거 정리해줘”했더니 로봇이 냉장·상온 분류…피규어, 새 로봇용 AI 공개</a> </h2>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1 16:06</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658"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2"> <img width="72" height="7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532193c4-8416-45d9-9eb5-8cc7c6561763.jpg/_ir_144x144_/ttt.jpg" alt="[팩플] 세계 최고 AI 모델 개발하는 ‘AI 국대팀’ 선발…정부 &apos;AI 3대 강국&apos; 목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em class="rank_count ico_num2">2</em>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2">[팩플] 세계 최고 AI 모델 개발하는 ‘AI 국대팀’ 선발…정부 &apos;AI 3대 강국&apos; 목표</a> </h2>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18:04</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441"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3"> <img width="72" height="7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f62b2c22-2775-4c31-b0f7-1fd124dfc74e.jpg/_ir_144x144_/ttt.jpg" alt="[팩플] 원하는 물질 실험 없이 만들 수 있다…MS, 새로운 양자 컴퓨터 칩 공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em class="rank_count ico_num3">3</em>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3">[팩플] 원하는 물질 실험 없이 만들 수 있다…MS, 새로운 양자 컴퓨터 칩 공개</a> </h2>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01:00</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244"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97"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4"> <img width="72" height="7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de95e0cd-173e-42e0-bc92-822f8055b2fd.jpg/_ir_144x144_/ttt.jpg" alt="[팩플] 보안 우려 없이 딥시크 쓴다…프렌들리AI &apos;딥시크 API&apos; 출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em class="rank_count ico_num4">4</em>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97"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4">[팩플] 보안 우려 없이 딥시크 쓴다…프렌들리AI &apos;딥시크 API&apos; 출시</a> </h2>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16:19</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397"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309"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5"> <img width="72" height="72"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6/34c28526-0772-4678-9c99-c23ea21c13dc.jpg/_ir_144x144_/ttt.jpg" alt="[단독] 타다, ‘콜 차단 논란’ 카카오모빌리티 상대 100억원 손배소 | 팩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em class="rank_count ico_num5">5</em>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309"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커스텀-A-팩플홈-많이 본 기사" data-evnt-lbl="5">[단독] 타다, ‘콜 차단 논란’ 카카오모빌리티 상대 100억원 손배소 | 팩플</a> </h2>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6 17:08</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4309"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ul> </section> </div> <div class="col_lg9"> <section class="chain_wrap"> <header class="title_wrap"> <div class="title_area"> <strong class="title">최신기사</strong> </div> </header> <ul class="story_list">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5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dbca8705-2378-4850-82a3-77db7b04a55c.jpg/_ir_410x230_/" alt="[팩플]“장 본거 정리해줘”했더니 로봇이 냉장·상온 분류…피규어, 새 로봇용 AI 공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658"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 [팩플]“장 본거 정리해줘”했더니 로봇이 냉장·상온 분류…피규어, 새 로봇용 AI 공개 </a> </h2> <p class="description"> 피규어가 발표한 휴머노이드 로봇 &apos;피규어 02&apos;. 사진 피규어   인간의 일상 언어를 이해하고 요청 사항을 파악해 상반신을 연속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이 나왔다. 로봇의 쓰임새가 산업용을 너머 가정으로 확산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  무슨일이야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는 20일(현지시간) 로봇용 인공지능(AI) 모델 ‘헬릭스’를 공개했다. 헬릭스는 로봇이 보고, 이해하고, 행동하는 걸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비전언어동작(VLA) 모델이다. 피규어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사람이 “이 물건들이 어디 있을지 생각하고 정리해줘”라고 말하자 휴머노이드 로봇 두 대가 협업해 상온에 놓을 것과 냉장고에 넣을 걸 분류해 정리했다. 냉장 보관해야하는 캐첩은 냉장고 문에 정리할 정도로 정교하게 판단, 실행했다. 하드웨어도 피규어가 지난해 공개한 ‘피규어 02’였다.   이날 발표에서 중요한 건 로봇이 기존에 학습하지 않은 자연어를 이해해 처음 보는 물건을 정리하고, 손목·손가락·머리·몸통 등 상반신을 한꺼번에 정밀하게 제어했다는 점이다. 또 두 대 이상의 로봇이 서로 협력했다는 점도 중요한 발전으로 꼽힌다. 기존 로봇이 사전에 입력한 명령어대로 특정 작업만 수행했다면, 헬릭스를 탑재한 로봇은 스스로 판단해 필요한 작업이 뭔지 알아채고 수행한다. 예를들어 “냉장고에서 음료수를 가져다줘”라고 명령하면 미리 프로그래밍 된 대로 움직이는 기존 로봇은 예상 위치에 냉장고와 컵이 없으면 오류로 명령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VLA가 적용된 로봇은 음료를 찾고(vision) ‘음료 꺼내기’라는 명령을 이해(language)한 뒤 실제 팔을 움직여 음료를 가져오는(action) 행위까지 스스로 연결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로봇의 상반신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VLA 기술은 피규어가 가장 독보적인 기술을 가진 것으로 꼽힌다.    ━  피규어는 어떤 회사?   ◦ 1년만에 기업가치 15배: 2022년 미국에서 창업한 피규어는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율형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목표로 한다. 지난해 시리즈B 투자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엔비디아, 제프 베이조스 등이 모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현재는 기업 가치 약 395억 달러(약 56조원)를 기준으로 투자 라운드를 진행 중이다. 1년 만에 기업 가치가 15배 뛰었다.   ◦ 오픈AI와는 왜 갈라섰나: 피규어는 오픈AI와 차세대 휴머노이드용 AI 모델 개발을 위한 협력을 맺었다. 그러다 지난 5일 브렛 애드콕 피규어 최고경영자(CEO)가 돌연 오픈AI와의 협력 관계를 종료하겠다고 발표했다. 오픈 AI의 AI 모델이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하기에는 너무 일반적이라는 이유. 애드콕 CEO는 그러면서 “로봇 AI 시스템에서 ‘주요 돌파구’를 달성했다”고 주장했는데, 이날 발표한 헬릭스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오픈AI의 기술과는 관계 없이 피규어가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오픈AI도 지난달 자체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  휴머노이드 상용화는 언제쯤    헬릭스의 공개로 실험실 수준에 그쳤던 로봇이 실제 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다. 로봇이 고성능 연산을 수행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면서다.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헬릭스는 저전력 소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실행하는 최초의 VLA로, 즉시 상용화에 적합하다”고 밝혔다.     가능성은 확인했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 실제 가정에 투입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거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 IT 매체 테크 크런치는 “피규어가 공개한 영상을 만들기 위해 위해 뒤에서 많은 작업이 이뤄진다는 점을 알아야한다”고 분석했다.   ■ 더중앙플러스 : 팩플 「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네 답변은 10점 만점에 4점” 똑똑한 챗GPT 만들 조련법 [생성AI 실전팁 ① 마케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7596   실버타운·헬스장 다 통한다, ‘한국판 아이언맨’ 노림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2851   무인 전쟁이 무한 전쟁 된다…‘55만원 터미네이터’의 등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3488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1 16:06</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658"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532193c4-8416-45d9-9eb5-8cc7c6561763.jpg/_ir_410x230_/" alt="[팩플] 세계 최고 AI 모델 개발하는 ‘AI 국대팀’ 선발…정부 &apos;AI 3대 강국&apos; 목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 [팩플] 세계 최고 AI 모델 개발하는 ‘AI 국대팀’ 선발…정부 &apos;AI 3대 강국&apos; 목표 </a> </h2> <p class="description"> 정부가 ‘인공지능(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한다. 한정된 자원을 집중 투자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미국, 중국 등이 대규모 투자를 통해 강력한 인공지능(AI) 모델을 빠르게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뒤처지지 않기 위해 만든 정부 차원 대응 전략이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apos;제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apos;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  무슨 일이야    20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3차 회의를 열고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최 대행은 “국가 AI 역량을 빠르게 강화해야할 시점”이라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엔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 13명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 민간위원 24명이 참석했다.    ━  이게 왜 중요해   최근 AI 모델 개발 경쟁은 기업 단위를 넘어 국가 대항전 차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미국은 올초 AI 기술·인프라에 5000억 달러(약 730조원) 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프랑스는 2월 초 자국에서 개최한 파리 AI 정상회의에서 1090억 유로(약 163조원)의 민간투자를 약속했다. 이 같은 경쟁 구도는 중국이 지난달 저비용 고효율 생성 AI 딥시크를 공개하면서 더 치열해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국내 AI 투자 규모 및 개발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 따르면 미국과 AI 기술 격차는 중국이 0.9년 유럽이 1년, 한국이 1.3년이다.     차준홍 기자  ━  경쟁력 어떻게 키우나    이날 발표한 정부의 AI 역량 강화 방안의 핵심은 크게 세 가지다. 세계 수준의 국내 AI 모델 개발·AI 컴퓨팅 인프라 확충·AI 학습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이다.     ①‘인공지능(AI) 국가대표 정예팀’ 선발=먼저 정부는 한국형 챗GPT를 목표로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인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세계 최고 수준 LLM 개발이 목표다. 이를 위해 국가대표 인공지능 정예팀을 선발한다. 정예팀엔 데이터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핵심 인프라를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브리핑에서 “팀 선발 관련 구체적인 계획은 준비 중”이라면서 “가능한 1년 이내 LLM 모델을 개발해 기대에 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재 모집을 위해선 국내외 대규모 경진대회인 ‘글로벌 AI 챌린지’를 연다. 세계적인 AI 분야 석학들과 대국민 평가 등을 통해 최고 인재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입상자는 창업 지원 등 인센티브를 받는다.   ②AI 인프라 확충=AI 인재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게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낸다. 내년 상반기까지 1만 8000장 규모의 첨단 GPU 확보가 목표다. 국가 AI 컴퓨팅센터 중심으로 1만장을 확보하고 8000장은 수퍼컴퓨터 6호기 구축을 통해 들여온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 2030년까지 국가 AI 컴퓨팅 센터 내 국산 AI 반도체 비중을 50%로 끌어올려 AI 반도체 경쟁력도 높인다.   ③AI 학습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정부는 AI 학습을 위한 공공·민간 데이터도 대폭 개방한다. 그동안 자율주행 분야에만 허용했던 비정형 원본데이터(CCTV 영상 등)를 산업에서 필요한 분야로 확대한다. 구체적으로 지자체 216곳이 통합해 운영하는 약 65만대의 CCTV에 찍힌 사고·재난·재해 같은 영상을 AI 학습용 데이터베이스(DB)에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관련 법령과 시스템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준비하고 있다.    ━  AI 업계에선   국내 AI 업계에선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반기는 모습이다. 하지만 각론에 있어선 아직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다. 특히 AI 인재 확보에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IT 플랫폼 관계자는 “현재는 뛰어난 AI 인재들이 국내 AI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면서 “GPU 확보 뿐만 아니라 AI 인재에 대한 인센티브, AI 기업에 대한 전력·입지 지원을 위한 종합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인프라 중심 대책에 대한 아쉬움도 나왔다. AI 비즈니스는 인프라·모델·서비스 삼박자가 맞아야 하는데, 이번 대책엔 서비스 이야기는 빠졌다. 한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인프라도 확충해야 하지만 스타트업의 AI 소프트웨어(SW) 서비스 육성 방안이 없다”며 “AI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큰 그림을 바라보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더중앙플러스 : 팩플 「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AI 미래는 ‘추론 맛집’ 경쟁…‘전성비’ 칩 회사들 돈 번다 [딥시크 스톰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842 」 문상혁 기자 moon.sanghyeok@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18:04</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441"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1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3">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5bd9decc-1fb8-48d0-aedb-0f68268a6093.jpg/_ir_410x230_/" alt="용돈 드리기? 당근 깔아드리기…딸아, 임영웅 포카 득템했다">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41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3"> 용돈 드리기? 당근 깔아드리기…딸아, 임영웅 포카 득템했다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p class="description">   ■ ➕내일IT (내 일상을 위한 IT) 「 택시 부르기, 유명 맛집 예약하기, 스마트폰으로 송금하기, 모두 다 앱으로 가능한 세상. IT 기술이 바꾼 일상의 변화, 두려우신가요? 써보고 싶었지만 막상 해보니 쉽지 않았던 모바일 앱들, 주변에 묻기도 민망하고, 인터넷에서 찾아봐도 따라하기 어려웠던 부분들, 팩플이 가장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립니다. 기초부터 숨은 기능까지 싹 다 모았습니다. 저장해 놓고 두고두고 읽는다면, 모바일 앱 사용 더 이상 두렵지 않습니다!   ① 택시 호출 ② 식당 예약 ③ 송금 결제 ④ 중고 거래 」  Today’s Personal Topic팔면 돈 되는데…아직도 버리기만 하세요?내일IT ④중고거래 앱   “당근이세요?” 주택가나 지하철역 인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 맞습니다. 중고거래 현장이죠. 당근·중고나라·번개장터 등 IT기술로 중고거래를 편하고 믿을 만하게 만든 앱들 덕분에 중고거래는 전 국민의 취미생활이자 용돈벌이가 됐습니다. 한두 번 입고 놔둔 겨울 코트부터 사놓고 쓰지 않던 커피포트까지 이젠 쓰레기통 대신 중고거래 앱으로 향합니다. 그뿐인가요? 이번에 나온 임영웅 한정판 굿즈, 꼭 갖고 싶은데 주변에선 도저히 구할 수 없을 때 중고거래 앱을 둘러보면 ‘득템’도 가능합니다. 요즘 중고거래 앱은 거래를 넘어 지역 커뮤니티 역할도 합니다. 집 근처에 칼국수집이 새로 생겼는데 맛있는지 궁금하다면, 주말마다 강아지 산책시킬 사람 구하고 싶다면 중고거래 앱에서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앱 사용이 어렵다면, 딸·아들에게 ‘이것 좀 해달라’고 부탁해야 합니다. 언제까지 부탁만 할 순 없죠! 그래서 팩플이 준비했습니다. 중고거래 기초부터 ‘빌런’을 피해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고급 기술까지 골고루 담았습니다. ‘중고거래 독립’ 기술의 모든 것.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앱 사용 어려워 중고거래 못 하셨던 분 ✔️빌런 피해 평화롭게 중고거래 하고 싶으신 분 ✔️중고거래 고수의 비법이 궁금하신 분     ■ 💬목차 「 1. 📱중고거래, 동네를 파고들다 2. 👶기초: 중고거래 앱 시작하기 3. 👩‍🎓중급 구매자 편: 확인, 또 확인 4. 🧑‍🎓중급 판매자 편: 빌런 피하는 법 5. ❌이런 점은 주의해요: 안전한 거래를 위해 」  김혜미 디자이너    ━  1. 📱중고거래, 동네를 파고들다     전 국민 중고거래 시대: 중고거래, 이제 특별한 일이 아닙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4조원 수준이던 국내 중고거래 시장 규모는 지난해 35조원으로 성장했습니다. 1위 플랫폼 당근만 해도 지난해 11월 누적 가입자 수가 40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3플랫폼 3색: 이 시장 절대 강자 당근은 ‘당신 근처’라는 어원답게 주로 근거리 직거래에 유용합니다. 중고거래 외에도 즐길 수 있는 ‘동네생활(커뮤니티)’ ‘동네알바(아르바이트 구인)’ 같은 콘텐트들이 많습니다. 번개장터와 중고나라는 택배 거래 위주입니다. 그중에서도 번개장터는 ‘덕질’ 굿즈라는 틈새시장을 파고들었는데요. 아이돌 포토카드나 응원봉이 많이 올라와 있습니다. 임영웅 한정판 굿즈를 구하고 싶으시다면 번개장터 둘러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중고나라는 네이버 카페에서 시작해 앱까지 출시한 전통 플랫폼입니다. 물건 업로드와 연락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편입니다.   거래에서 커뮤니티로: 『중고나라 선녀님』이라는 소설 아시나요? 재벌집 사모님이 중고거래 시작 후 이웃들과 마음을 나누고 상처를 치유해가는 내용인데요. 소설까지 나올 정도로 중고거래 플랫폼은 이웃 간 교류하는 커뮤니티로 역할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2. 👶기초: 중고거래 앱 시작하기   이 단계만 따라가면 물건을 사고파는 건 마스터할 수 있게 A부터 Z까지 알려드립니다.   ①당근에서 거래하기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중고거래 앱, 당근부터 소개합니다. 사용자 수가 가장 많고, 주로 근거리에서 거래가 이뤄져 택배 발송에 대한 부담이 비교적 적습니다.   1단계 앱 설치하기: 갤럭시 같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쓰신다면 휴대전화 앱 중 ‘구글 플레이’, 아이폰 사용자라면 ‘앱스토어’에 들어가 ‘당근’을 검색해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당근 그림이 그려진 그 앱, 맞습니다.   2단계 내 동네 설정: 당근은 근거리 기반이라고 말씀드렸죠. 그러기 위해선 내 위치를 앱에 알려줘야 합니다. 앱에서 ‘시작하기’를 누르면 위치 정보에 접근하겠다는 알림이 뜨는데, ‘앱 사용 중에만 허용’을 눌러주세요. 다음은 ‘내 동네’를 설정해야 합니다. 집이나 회사처럼 주로 생활하는 동네를 검색해 선택해주세요. 상단의 ‘현재 위치로 찾기’를 누르면 자동으로 근처에 있는 동네 목록을 보여줍니다. 이 중 한 곳을 눌러주세요. 당근에 가입하기 위해선 본인인증이 필요합니다. 이름·주민등록번호·전화번호를 차례로 입력하고 휴대전화 메시지로 받은 인증번호도 입력해주세요.   3단계 검색하기: 홈 화면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목록들은 내 동네의 다른 사람들이 판매하고 있는 품목들입니다. 원하는 특정 물건이 있다면 우측 상단 돋보기 모양을 누르고 이름을 써넣습니다. 가령 ‘전기포트’라고 입력하면 중고거래, 동네생활, 동네업체 등 다양한 탭의 글들이 보이는데, ‘중고거래 더보기’를 눌러 판매 상품들을 둘러봅니다. 위쪽에서 설정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OO동 외 XXX’라고 쓰인 동네 범위를 클릭하면 나와 가까운 동네의 물건만 볼지, 넓은 범위에서 판매되는 물건까지 볼지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옆에 있는 ‘가격’을 클릭해 최소 금액과 최대 금액을 입력하면 원하는 가격대 물건만 골라 볼 수도 있습니다. 만약 특정한 물건이 아니라 어떤 물건들이 올라와 있는지 구경하고 싶다면 홈 화면 우측 상단의 ‘가로줄 세 개’ 모양을 누르고 ‘중고거래’를 누른 뒤 ‘생활/주방’ ‘스포츠/레저’ 등 원하는 카테고리를 눌러보세요.   4단계 구매하기: 사고 싶은 물건을 클릭하면 판매자가 써놓은 상세 설명과 사진이 나옵니다. 구매하고 싶다면 오른쪽 아래 ‘채팅하기’를 눌러 상대방에게 말을 걸 수 있습니다. 판매자에게 자세한 물건 상태를 묻거나 약속 장소와 시간을 정하면 됩니다.   5단계 판매하기: 물건을 판매하고 싶다면 앱에 접속하기 전에 팔고 싶은 물건 사진을 먼저 찍어주세요. 여러 장 찍는다면 판매할 때 더 도움이 되겠죠. 이후 당근 앱에 접속해 홈 화면 오른쪽 아래에 있는 ‘글쓰기’를 눌러주세요. 물건 여러 개를 한꺼번에 올리고 싶다면 ‘여러 물건 팔기’, 한 가지만 올리는 경우라면 ‘내 물건 팔기’를 누릅니다. 맨 위에 있는 카메라 그림을 누르면 사진과 동영상 접근 권한 허용 알림이 나올 텐데, ‘모두 허용’을 눌러주세요. 그런 뒤 나오는 앨범에서 사진을 선택한 뒤 오른쪽 위 ‘완료’를 누릅니다. 제목과 가격, 자세한 설명을 입력하고, 거래를 희망하는 특정한 장소가 있다면 ‘거래 희망 장소’를 눌러 지도에 표시해주세요. 설명 아래 칸에 있는 ‘자주 쓰는 문구’를 눌러서 ‘디지털미디어시티역 9번 출구 앞에서 거래하고 싶어요’ 같은 문구를 추가해놓으면 다음번에 같은 문구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나눔도 있어요: 돈 받고 팔 정도는 아니지만 다른 사람이 더 잘 쓸 수 있는 물건은 무상으로 나눔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거래 방식에서 ‘나눔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보통 나눔하는 물건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아 글을 올리면 동시에 채팅이 쏟아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래 ‘나눔 신청받기’를 체크하면 상대방이 먼저 신청하고 내가 나눔할 상대를 선택해 채팅을 걸 수 있습니다.   정근영 디자이너   ②번개장터·중고나라 이용하기 지역 커뮤니티 기능도 함께 운영하는 당근과 달리 번개장터와 중고나라는 중고거래에 집중합니다. 전국의 물건을 모두 볼 수 있는 만큼 종류도 훨씬 많고 그만큼 앱 화면도 복잡합니다. 중고거래 할 때 꼭 알아야 하는 부분만 추렸습니다. 번개장터와 중고나라는 앱 디자인이 유사해 한꺼번에 소개합니다.   번개장터에서 &apos;임영웅&apos;을 검색했을 때 나오는 화면. 번개장터 캡처   1단계 앱 설치하기: 앱 설치 방법은 당근과 동일합니다. 번개 모양(번개장터)과 알파벳 J(중고나라)가 그려진 앱입니다.   2단계 회원가입: 휴대전화 번호나 e메일 또는 네이버·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당근과 마찬가지로 본인인증이 필요하니 이름·생년월일과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통신사 인증 등 필요한 과정을 마무리해주세요.   3단계 구매하기: 홈 화면에서 다양한 상품과 브랜드별 분류가 나옵니다. 원하는 물건을 찾는 방법은 당근과 다르지 않습니다. 우측 상단 돋보기 모양(중고나라는 상단 검색바)을 누르고 검색어를 입력하면 원하는 물건을 둘러볼 수 있습니다. 상단에서 설정을 변경해 원하는 브랜드·가격·상품상태 등만 골라서 볼 수도 있습니다.   4단계 판매하기: 홈 화면 아래쪽 가운데의 ‘등록’을 누르고, 사진을 등록한 뒤 제품명·카테고리·제품 설명·가격을 입력하고 배송비 포함 여부, 직거래 가능 지역 등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정근영 디자이너    ━  3. 👩‍🎓중급 구매자 편 : 확인 또 확인     물건 나오면 바로 알림: 당근에서 상품이 마음에 들긴 하지만 당장 필요한 건 아니거나 좀더 낮은 가격에 사고 싶다면 ‘관심목록’에 넣어둘 수도 있습니다. 관심목록에 있는 물건 가격이 내려갔을 때 알림이 옵니다. 반대로 정말 가지고 싶은 물건이 있을 때는 당근에 해당 물건이 올라올 때 알림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상단 돋보기 모양을 눌러 키워드를 검색하고, 바로 밑에 있는 ‘OOO 알림 받기’ 버튼을 누르면 앞으로 그 키워드가 포함된 글이 올라오면 알림을 줍니다.   믿을 만한가? 궁금하면: 이 사람 믿어도 될까, 의심된다면 상대방의 ‘매너온도’를 참고하세요. 당근의 매너온도는 최근 3년간 활동을 반영한 일종의 매너 지표입니다. 36.5도에서 시작해 좋은 후기를 받으면 받을수록 올라가고, 혹여나 안 좋은 평가를 받는다면 내려가기도 합니다. 참고로 지난해 말까지 매너온도 99도를 보유한 사람은 1만5000명 정도, 전체 사용자의 0.03%라고 하네요!   당근에서는 매너온도를 통해 상대방이 받은 평가 등을 알 수 있다.   물건은 확실한가요?: 다른 플랫폼에도 같은 물건을 검색해보세요. 시세보다 너무 낮게 파는 경우는 물건에 문제는 없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주세요. 충전기나 설명서 등 구성품이 완전히 갖춰졌는지도 확인하면 좋습니다. 특히 택배 거래를 한다면 배송 상태에 대한 책임 소재를 확실히 하기 위해 받은 물건을 개봉할 때부터 촬영해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  4. 🧑‍🎓중급 판매자 편: 빌런 피하는 법     판매글은 이렇게: 물건 사진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고, 의류라면 착용 사진이 있으면 좋습니다. 사용한 제품이라면 사용감을 보여주는 부분(실밥·안감·얼룩 등)을 정확히 찍어주세요. 이 부분을 감췄다가 환불 요구 등 혹여나 나중에 분쟁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요. 정직하게 보여주는 게 중요합니다. 미개봉 상품이라면 구매 내역이나 정품 인증서를 함께 찍어서 올리면 좋습니다.   이런 거래는 피하세요: 매너온도 50도 이상 당근 고수들에게 각자의 ‘빌런 피하는 방법’ 팁을 물었습니다. 일단 나눔할 땐 상대방 프로필을 주의깊게 본다고 합니다. 판매글은 별로 없는데 매너 온도가 높은 사람은 일단 경계할 때가 많습니다. 중고거래 앱 사용자 중엔 괜찮은 나눔 상품을 가져다 다른 사람에게 되파는 경우도 있는데요. 나눔을 받았을 때 받은 좋은 후기도 매너온도에 반영되기 때문에 매너온도가 높더라도 판매 이력이 너무 없다면 경계한다고 합니다. 당근에선 한 번 당근으로 구매한 물건을 부득이하게 ‘재당근’할 경우, 자신이 구매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할 것을 권유합니다. 게시글에 나와 있는 내용을 반복해 질문하는 경우도 주의하세요. 몇 개월 사용했다거나 왜 사용하지 않는지 등 내용을 게시글에 잘 적어놨는데도 반복해서 질문한다면 이 거래에 크게 관심 없이 ‘찔러보는’ 것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같은 팁은 주관적인 내용일 수 있으니 참고만 부탁드려요.   배송비 4000원 아까운데…: 택배 비용이 아깝다면 편의점 택배를 이용해보세요. 편의점에서 접수한 택배를 다른 편의점으로 배송해주는 서비스입니다. GS25·CU·세븐일레븐 등 대부분 편의점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장 가벼운 무게(350g) 기준 1800원으로, 최소 4000원부터 시작하는 우체국 택배와 비교해 반 이상 저렴합니다. GS25의 자체 조사 결과 반값 택배 이용 고객의 72%는 중고거래 목적으로 이용한다고 답할 정도로 중고거래와 편의점 택배는 찰떡 궁합입니다.     ■ 📝 당근도 귀찮다면 「 지금까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중고거래 앱을 소개해드렸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일일이 물건의 사진을 찍어 올리고 구매자들과 직접 채팅해 거래하는 과정이 아무래도 귀찮다면 아래 앱들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ㆍ옷장 정리는 이렇게: 한국소비자원의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중고거래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품목은 가전·의류·생활용품 등입니다. 차란은 비교적 품질 좋은 옷을 일괄 수거해서 위탁판매를 해줍니다. 수수료를 떼고 판매대금을 돌려주니 판매할 옷이나 잡화가 많은데 일일이 사진 찍기 어렵다면 한 번에 맡길 수도 있습니다. 많은 옷을 맡길수록 수수료가 적어지는 구조니 한 번에 많은 옷을 정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고려해볼 만한 선택지입니다. 리클은 의류를 ㎏당 200~350원 정도에 매입(일부 의류는 한 벌 단위로 매입)해 자체 플랫폼에서 재판매합니다. 런드리고·세탁특공대 같은 세탁 앱들도 세탁물을 맡길 때 헌옷도 함께 수거해 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세는 ㎏당 300원 정도로 비슷합니다.   차란과 리클 의류를 한꺼번에 수거해 대신 판매해주는 대표적인 플랫폼들이다. 차란·리클 캡처 ㆍ명품도 한꺼번에 리셀: 당근에서 고가의 명품, 심지어는 부동산도 거래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하지만 이런 명품, 고가인 만큼 거래에 애로사항도 많습니다. 사용감이나 수요에 따라 가격 책정하는 것도 개인에게는 쉽지 않고, 정품 인증도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구구스·번개장터 내 하이엔드 코너 등을 이용하면 검수부터 사진 촬영, 판매까지 플랫폼에서 맡아 진행합니다. 」   ━  5. ❌이런 점은 주의해요     이런 품목은 안 돼요: 현행법상 중고거래를 하면 안 되는 물품들은 주의해주세요. ‘이런 것도 안 되나?’ 하는 의외의 품목들이 있습니다. 한약이나 위고비 같은 다이어트 약, 콘택트 렌즈와 도수 있는 안경, 화장품 샘플, 종량제 봉투, 통신사 데이터 등이 있습니다. 이 물품들은 법적으로 개인 간 거래가 금지돼 있고, 플랫폼에서도 자동으로 판매글을 차단하니 유의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은 각 플랫폼 공지사항에도 잘 나와 있습니다.   안전 금고: 앱에 마련돼 있는 안전결제 시스템 이용을 추천합니다. 당근페이·번개페이·중고나라페이 등 각각의 안전결제 시스템은 구매자가 지불한 결제대금을 일단 플랫폼이 가지고 있다가 거래가 이상 없이 이뤄진 게 확인된 후에 판매자에게 지불합니다. 직접 상대방 계좌로 돈을 이체할 경우 거래에 문제가 생겼을 때 환불 받기가 어렵습니다. 번개장터는 지난해 8월부터 모든 거래에 이 안전결제를 의무화했습니다.   사기가 걱정된다면: 상대방이 안전결제 대신 계좌 이체를 요구한다면, 계좌나 연락처가 사기에 이용된 전력은 없는지 확인해보세요. ‘더치트’ 앱을 다운받고 계좌나 연락처를 입력하면 해당 계좌나 연락처가 범죄 관련 신고가 들어왔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경찰청도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해 네이버 등 포탈에서 ‘사기 (계좌)번호 조회’를 검색하고 전화번호나 계좌번호 등을 입력하면 이상이 있는 계좌(최근 3개월 동안 3회 이상 신고 접수)인지 알려줍니다.   ■ 💢분쟁이 생겼다면 「 사람 간 거래다 보니 때론 다툼이 생길 수도 있는데요. 돈을 받고 물건을 보내지 않거나 고장난 물건을 보내는 경우 같은 명백한 사기 행위일 경우, 사건은 수사기관으로 향합니다. 하지만 늘 애매한 상황이 문제입니다. 중고 물품에 있는 하자를 이유로 환불을 요청하는 구매자 같은 경우요.   이럴 때를 대비해 당근·번개장터·중고나라 모두 분쟁 발생 시 플랫폼에서 조정하는 절차를 가지고 있습니다. 번개장터나 중고나라는 각각 플랫폼에서 요구하는 자료를 준비해 1:1 문의로 분쟁을 접수하면 담당자가 처리 결과를 통지합니다. 당근의 경우, 채팅창에서 ‘분쟁조정’ 또는 ‘당근조정을 신청합니다’라고 입력하면 조정 안내 메시지가 보내지고, 서로가 원하는 방안을 말하도록 안내됩니다. 대화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시 ‘당근조정을 신청합니다’라는 문구를 포함해 사용자를 신고하면 조정안을 안내합니다. 다만 이 해결이 민·형사상 분쟁을 대신하는 법적 효력이 있는 건 아니니 유의하세요!   2023년 11월 열린 당근 분쟁조정센터 출범식. 뉴스1   」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16:54</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411"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97"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4">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de95e0cd-173e-42e0-bc92-822f8055b2fd.jpg/_ir_410x230_/" alt="[팩플] 보안 우려 없이 딥시크 쓴다…프렌들리AI &apos;딥시크 API&apos; 출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397"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4"> [팩플] 보안 우려 없이 딥시크 쓴다…프렌들리AI &apos;딥시크 API&apos; 출시 </a> </h2> <p class="description"> 국내 AI 스타트업이 보안 우려 없이 딥시크 추론 모델 R1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내놨다.     ━  무슨 일이야     전병곤 프렌들리AI 대표. 사진 프렌들리AI   국내 AI 가속화 플랫폼 스타트업 프렌들리AI는 20일 자사 제품 ‘프렌들리 서버리스 엔드포인트’를 통해 딥시크 추론 모델 R1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서버리스 엔드포인트는 클라우드 개념으로 AI 모델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프렌들리AI 관계자는 “(고객이) 딥시크 R1 모델을 API 형태로 요청하면 답변을 보내주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며 “딥시크 AI 모델을 자체 서버에서 안전하게 관리하기 때문에 기업 정보가 딥시크의 중국 서버로 넘어가는 등 개인정보 유출 관련 문제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프렌들리AI는 마이크로소프트 수석과학자 출신 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설립한 회사다.    ━  개인정보 우려는   딥시크는 현재 우리나라 앱 마켓에서 신규 다운로드가 차단된 상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프록시 서버(인터넷 중계 서버)로 통신 기록을 분석해 보니 사용자가 딥시크에 접속하면 딥시크뿐만 아니라 바이트댄스로도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고 있었다”면서 15일 18시부로 국내 사용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개인정보 유출 위험은 딥시크가 직접 운영하는 챗봇 서비스(앱) 및 기업용 API에서만 포착됐다. 딥시크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R1 모델에 대해선 개인정보위 측도 “별다른 우려 사항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딥시크 진행상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가 지난 15일 18시부터 잠정 중단 되었으며, 국내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안이 이루어진 후에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뉴스1   프렌들리 AI가 제공한다고 밝힌 R1 API 역시 오픈소스에 기반한 제품이다. 회사 측은 “오픈소스 모델을 자체 서버에 가둬놓은 데다, 기존에 운영하던 표준 보안 조치를 동일하게 적용해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프렌들리AI는 세계 최고 수준의 추론 모델 가속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R1 모델을 기존보다 빠르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했다고 밝혔다.    ━  해외에선     오픈소스 R1 모델은 추론 능력이 뛰어나 미국 회사들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도 R1 모델을 자체 클라우드 서버 AWS 베드록에서 API로 제공하고 있다. 프렌들리AI의 글로벌 경쟁사인 미국 AI 유니콘 파이어웍스AI, 투게더AI 등도 자체 서버에 R1 모델을 구축해 API로 제공한다. 기업 자체 서비스에 오픈소스 R1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기업 데이터 제공 업체 줌인포는 자사 AI 모델을 오픈AI o1에서 R1으로 바꿨는데, 특정 AI 비용을 3분의 2 수준까지 줄였다고 밝혔다. 구글 대항마로 떠오르는 AI 검색 엔진 퍼플렉시티도 사용자들에게 R1 사용 옵션을 제공한다.   ■ 더중앙플러스 : 팩플 「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AI 미래는 ‘추론 맛집’ 경쟁…‘전성비’ 칩 회사들 돈 번다 [딥시크 스톰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84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16:19</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397"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5">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0/f62b2c22-2775-4c31-b0f7-1fd124dfc74e.jpg/_ir_410x230_/" alt="[팩플] 원하는 물질 실험 없이 만들 수 있다…MS, 새로운 양자 컴퓨터 칩 공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24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5"> [팩플] 원하는 물질 실험 없이 만들 수 있다…MS, 새로운 양자 컴퓨터 칩 공개 </a> </h2> <p class="description"> 로이터=연합뉴스   손바닥 하나에 쏙 들어가는 칩이 인류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 마이크로소프트(MS)가 ‘꿈의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 컴퓨터를 수년 내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을 공개했다. IBM, 구글 등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에 이어 양자 컴퓨터 분야에서도 기술 개발 속도를 끌어 올리고 있다.    ━  무슨일이야   MS는 19일(현지시간) 양자 컴퓨터 칩 ‘마요라나(Majorana)1’을 공개했다. 일반적인 초전도 큐비트(양자컴퓨터 기본 연산 단위)를 이용한 기존 양자 컴퓨터 칩과 달리 차세대 초전도 큐비트로 꼽히는 ‘위상적(topological·모양이 변해도 본질이 변하지 않는 특성) 큐비트’로 만든게 특징이다. 위상적 큐비트는 그간 이론적으로만 존재했는데 MS는 이를 실제 칩 형태로 제작하고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시켰다. 기존의 초전도 큐비트가 초가집이라면, 위상적 큐비트는 벽돌집처럼 훨씬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MS는 위상전도체(Topoconductor)라는 신소재를 개발해 위상적 큐비트를 구현했다. 위상전도체는 위상적 큐비트라는 건물을 만들기 위한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체탄 나약 MS 퀀텀 하드웨어 부문 부사장은 “우리는 거의 한 세기 동안 교과서 안에만 존재하던 물질인 위상전도체를 원하는대로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19일(현지시간) 공개한 토폴로지적 큐비트 기반 양자 프로세서(QPU). 위상전도체(Topoconductor)라는 새로운 물질을 이용한 게 특징이다. 사진 마이크로소프트    ━  이게 왜 중요해   양자 컴퓨터는 양자 중첩·얽힘·간섭 등 양자물리학 현상을 활용해 기존 수퍼컴퓨터가 풀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컴퓨터다. 이론 적으로 기존 수퍼 컴퓨터의 30조 배, 일반 컴퓨터의 1경배 이상 빨리 연산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꿈의 기술로만 불렸다. 온도·전자기파 등 외부 환경 변화에 양자 상태가 깨져 쉽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서다. 이 때문에 ‘꿈의 기술’로 불렸지만, 상용화까진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월 “양자 컴퓨터가 상용화 되기까지 수십 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MS가 개발한 위상전도체 기술을 활용하면 전자 흐름이 깨지지 않아 안정적인 양자 컴퓨팅이 가능해진다. 마티아스 트로이어 MS 테크니컬 펠로우는 마요라나1에 대해 “단순한 연구가 아닌 실제 산업에 영향을 미칠 양자 컴퓨터를 만들기 위한 칩”이라고 설명했다. MS는 “오늘 발표한 내용은 양자 컴퓨터 상용화가 수십 년이 아니라 수년 내에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앞선 젠슨 황 CEO의 부정적 전망에 대한 정면 반박으로 해석된다.   양자 정보는 위상적(topological) 상태에서 보호, 저장된다. 사진 마이크로소프트    ━  미래에 어떤 영향?   ①AI+양자 혁명 일어날까 MS는 AI와 양자 컴퓨터가 결합하면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문제 해결이 가능해진다고 강조했다. 양자 컴퓨터가 구현 된다면, 그래픽처리장치(GPU) 부족 등 현재 AI가 겪는 인프라의 한계가 사라질 수 있다. MS는 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터 플랫폼인 애저 퀀텀을 통해 AI와 양자 컴퓨팅을 통합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신소재, 신약, 환경 문제 등 현실의 난제도 해결 가능하다. 실제 세계에서 물질이 작동하는 방식을 직접 연산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 없이 이론만으로도 원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어서다. MS는 “균열을 스스로 복구하는 건축 자재, 지속 가능한 농업, 더 안전한 화학 물질 발견과 같은 혁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며 “현재는 수십억 달러가 들어가는 실험·연구가 필요하지만, 양자 컴퓨터를 통해 계산만으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②AI 다음 전장은 양자? AWS(아마존웹서비스), IBM, 구글 등도 양자 기술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IBM은 1970년대부터 양자컴퓨터를 연구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12월 큐비트 수를 늘리면서도 오류율을 기하급수적으로 줄이는 기술을 구현한 양자 칩 ‘윌로우’를 발표했다. 이들은 모두 기존 초전도체 기반의 양자 컴퓨팅을 고도화하는 전략을 택했다.   MS가 새로운 방식으로 판을 흔들어놓은 가운데, 향후 위상적 큐비트가 업계 표준이 될지 관심이 모인다. MS는 “MS가 수년 전 위상적 큐비트 설계를 선택한 것이 옳았음을 증명했다”며 “이 기술이 확장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 더중앙플러스: 팩플 「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엔비디아 잡을 &apos;에지 반도체&apos;…이 기업들, 개인AI 시대 연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2724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AI 미래는 ‘추론 맛집’ 경쟁…‘전성비’ 칩 회사들 돈 번다 [딥시크 스톰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84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20 01:00</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244"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1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6">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e6439e47-15bb-4447-af14-a608a94b0f13.jpg/_ir_410x230_/" alt="“안중근은 테러리스트야?” KT가 ‘한국적 AI’ 만드는 이유">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1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6"> “안중근은 테러리스트야?” KT가 ‘한국적 AI’ 만드는 이유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p class="description"> Today’s InterviewMS와 ‘한국적 AI’ 만드는 KT윤경아 KT 에이전틱 AI랩장    KT는 인공지능(AI)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 2023년 10월 자체 개발 거대언어모델(LLM) ‘믿음’을 선보였던 KT는 불과 1년 뒤, 마이크로소프트(MS)와 AI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당시만 해도 자체 AI 개발이 대세로 여겨졌던 상황. 하지만 통신 맏형 KT는 급격한 노선 전환을 결정했고, 시장은 술렁거렸다. 빅테크와의 협업이 잘될까? 협업이라 쓰고 ‘종속’이라고 읽히지 않을까? 자체 기술은 그럼 필요 없는 건가? MS와 KT의 협업 발표는 다양한 궁금증을 남겼다.   팩플은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에서 윤경아 KT 에이전틱 AI랩장(Agentic AI Lab·이하 랩장)을 만나 이 같은 시장의 궁금증에 대해 직접 물었다. 윤 랩장은 SK텔레콤, 현대카드를 거쳐 2023년 말 KT에 합류한 AI·빅데이터 전문가다. 에이전틱 AI랩은 AI퓨처랩, 젠(Gen)AI랩과 함께 KT의 AI비즈니스를 이끄는 조직이다. KT의 AI 전략 피벗(pivot·사업 방향 전환) 소용돌이 중심에 있는 그에게 왜 KT는 방향을 바꿨는지부터 MS와의 협업을 통해 만드는 ‘한국적 AI’의 개발 과정과 실체, 그래서 KT는 AI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는지까지 샅샅이 물었다.     ■ 🗨️목차 「 1. 잘나가는 美 빅테크와 동침 2. KT+MS=한국적 AI=소버린 AI? 3. AI 갈라파고스가 안 되려면 4. KT가 준비하는 AI 에이전트 」  김혜미 디자이너, 김경록 기자    ━  1. 잘나가는 美 빅테크와 동침   자체 개발 AI로는 경쟁력이 없었나. 왜 전략을 바꿨나. 경쟁력 있는 고성능 LLM을 만드는 데 천문학적 투자 비용이 들어간다. 오픈AI 등 초반에 시장을 선점한 빅플레이어들과 격차를 좁힐 수 있는 시기는 이미 지났다고 판단했다. 또 모든 AI 서비스 개발에 LLM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소형언어모델(SLM)도 비용 대비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멀티 LLM 전략으로 다양한 모델 선택지를 확보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KT의 멀티 LLM 전략엔 어떤 모델이 들어가나. 먼저 MS와 협력해 현존하는 최고 성능의 LLM ‘GPT-4o’(오픈AI)를 기반으로 최적화하는 ‘한국적 AI 모델’(가칭)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자체 개발한 믿음, 오픈소스 모델 라마(메타)를 기반으로 만든 SLM(소형언어모델)까지 갖췄다. 총 세 가지 라인업 모델들을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맞는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지난해 10월 기자간담회에서 “AI에서 규모의 경쟁 게임은 이미 끝났다고 본다. 이미 수백조 원 이상을 쏟은 구글, 아마존웹서비스 등 빅테크를 제칠 순 없다”며 “KT는 MS와 협업을 진행하고, 자체 언어모델 믿음은 SLM으로 특화해 시장에서 승부를 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오픈AI의 최대 투자자인 MS는 AI 기술 개발을 위한 인프라와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적 AI는 무엇인가. “한국의 사상·윤리·가치관·이념 등 정체성을 잘 담은 AI 모델을 말한다. 이런 정체성을 우리는 가치(value)라고 정의했다. 이를 표현하는 것이 방식(style)인데, 언어와 문화가 있다. 언어는 높임말, 반말 등이 있고 문화에는 종교, 음악, 미술, 문학 등이 있다. KT는 큰 비용을 주고 데이터들을 사들였고, AI에 학습시키며 튜닝 중이다. 이런 데이터들은 결국 믿음이나 라마 기반 KT 모델에도 부을 예정이라 KT AI의 근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성능만큼 가치, 방식이 중요하다 보는 건가. 우린 AI 모델에서 기술만큼 중요한 것이 모델의 철학과 방향성이라 생각한다. 일례로 ‘안중근은 테러리스트야?’라는 질문에 GPT, 딥시크, 클로드 등 모델마다 답변이 다 다르다. 그것이 각 모델이 가진 철학이다. 한국적 AI를 만들 때 ‘사고의 다양성을 반영할 것인가’ 아니면 ‘한국적 정서에 맞는 답변만을 해줄 것인가’라는 꾸준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다. 그래서 개발 중인 모델 평가를 할 때마다 외부 전문가의 조언도 함께 듣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오른쪽)가 지난해 9월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 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서 열린 AI·클라우드·IT 분야 사업 협력 및 역량 공유를 위한 5개년 파트너십 체결식에서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 KT    ━  2. KT+MS=한국적 AI=소버린 AI?   최근 중국산 생성AI 딥시크로 인해 안보 전략 차원에서 소버린 AI(자국 내 AI 개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었던 AI 서비스의 국적이 중요해지는 상황. 빅테크와의 협업을 통해 만드는 AI는 어떻게 봐야 할까.   MS와 함께 만드는 한국적 AI를 ‘소버린 AI’라고 할 수 있나. 무엇을 AI 주권(sovereignty)이라고 할 수 있을까. 소버린 AI라고 하는 개념에 대해 KT도 내부적으로 많은 토론을 거쳤다. 저희 결론은 반드시 자체 모델이나 자체 기술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나라 정체성과 또 그 나라 안에서 안전하게 쓸 수 있는 환경을 담은 AI 모델을 소버린 AI로 정의했다. 외국산 중에서도 가장 성능이 좋은 모델을 가져와 우리 국민이 쓸 수 있게 한국적인 내용을 안전하게 입혀서 공개하는 것이 우리 목표가 됐다.   한국적 AI 개발에서 KT는 어떤 주도권을 가지고 갈 수 있나. 모델 방향성에 있어 큰 틀을 정하고, 관련 데이터를 만들고 가공하고 적용하는 부분은 우리가 주도하고 있다. MS 측은 GPT-4o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 모델을 지금처럼 튜닝하거나 특수 목적으로 만들어 본 경험이 풍부하다. 그래서 모델을 활용하기 위해 준비하는 사상, 철학 등 제반적 데이터들은 우리가 가이드를 주고, 이에 따라 기술적으로 적용해 결과를 함께 보는 식으로 작업한다.   기술 종속이라는 우려도 있는데. 기술 종속이라는 말에는 어폐가 있다. LLM을 만드는 아키텍처 등 제반 기술부터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인프라까지 다 미국산이다. 어디까지가 기술 종속인지를 되묻고 싶다. 중요한 것은 열린 마음으로 발전된 기술을 받아들여 개선하고, 잘하는 것에 집중해 개발하는 것이다. 폐쇄적으로 임하다 보면, ‘AI 갈라파고스’가 될 수 있다.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에서 본지와 인터뷰 중인 윤경아 KT 에이전틱 AI랩장. 김경록 기자  ━  3. AI 갈라파고스가 안 되려면    남아메리카 대륙에서 1000㎞ 떨어진 고립된 섬, 갈라파고스. 외부와 교류 단절이 불러온 경쟁력 저하를 상징하는 단어다. 윤 랩장은 MS와의 협력이 AI 갈라파고스에서 빠져나오는 길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MS와의 협업을 통해 배우는 점이 많다”며 “자체 개발만 해서는 어디에서도 배우지 못할 값진 경험”이라고 말했다.   MS와 협업을 통해 얻은 것은. “모델 개발뿐 아니라 데이터 관리 및 정제, 그리고 책임감 있는(responsible) AI 관련 정책에 대해서도 먼저 시작한 회사이다 보니 배울 게 많았다. KT 내부적으로 개발하던 기술들을 공유하면, 우리가 잘하는 부분에서는 (MS 측이) ‘우리도 똑같이 하고 있다’며 공감대를 이뤘고, 그 밖에 궁금한 부분을 물어보거나 크로스체크(교차확인)도 하고 있다.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지난해에 워크숍을 몇 번 같이 했는데, 이미 AI 중심으로 많이 전환된 MS의 모습에 굉장히 충격받았다. 한국은 LLM을 가져와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혹은 기업 간 거래(B2B) 시장을 어떻게 장악할 것인가 차원에서만 고민하는데, MS는 이미 회사 내부 여러 문제를 AI를 활용해 풀어보려고 시도하고 있더라. AI 서비스들을 직원들이 직접 쓰면서 무엇이 좋고 나쁜지 공유하고 정확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오랫동안 고민한다. ‘우리도 빨리 저렇게 해야 한다’는 경각심이 들었다.   당시 받은 충격은 KT의 일하는 방식의 혁신 노력으로 이어졌다. KT는 올해부터 MS의 AI 모델 코파일럿(Copilot)을 전 직원을 대상으로 도입해 업무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AI를 활용한다. 직원들이 유용한 프롬프트(명령어)를 사내에 공유하는 플랫폼 ‘크롬프트 버디’도 이르면 다음 달 전사적으로 공개한다.   KT는 올해부터 MS의 AI 모델 코파일럿(Copilot)을 전 직원 대상으로 도입해 업무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AI를 활용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딥시크 사태는 어떻게 보나. 딥시크가 사용한 강화학습이라는 것은 그쪽에서 처음 고안했다기보단 이미 나온 방식을 빨리 잘 적용해서 내놓은 것이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언어나 번역 분야보다는 명쾌한 답과 풀이가 있는 수학과 코딩 쪽에서 두각을 보인 거라 ‘딥시크 공포’로 겁먹을 필요는 없는 것 같다. 다만, 시사점은 있다. 알고리즘으로 이렇게 비용을 낮추고 성능을 향상할 방법도 있었구나. 한 번쯤 고민해 볼 수 있었던 접근법이라 GPU 등 인프라에만 의존해 온 기존의 관성적인 방식에 대해 반성도 했다.    ━  4. KT가 선보일 AI 에이전트    KAIST 전산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고, SK텔레콤에서 근무하던 윤경아 랩장은 잠시 통신업계를 떠나 3년 가까이 현대카드 AI센터에서 일했다. 2023년 말 KT를 통해 다시 통신업계에 돌아왔다.   약 3년 만에 통신업계에 돌아왔다. “통신업계는 AI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져 왔다. 다만 예전과 달라진 부분은 이제 통신사가 통신만 하는 것이 아니라 AI도 당연히 해야 하는 분야가 됐다는 점이다. 예전엔 데이터 수집, GPU나 클라우드 사용 관련 ‘작게 작게’ ‘시작해 보자’ 수준의 분위기였다면, 이제는 통신 3사 모두 당연히 양질의 데이터를 모으고, GPU 등 인프라 투자도 확실히 하는 등 AI 기술을 잘 활용하기 위한 재료들을 확보하는 이해도가 훨씬 높아졌다.   김영옥 기자   그가 이끄는 조직 ‘에이전틱 AI랩’은 말 그대로 AI 에이전트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이다. 모델 개발이 AI 기반을 다지는 차원이라면, 에이전트는 모델을 기반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중요한 서비스다. 지난해 에이닷(SK텔레콤), 익시오(LG유플러스) 등 경쟁사 에이전트 서비스들이 이미 속속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KT는 아직 제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통신 3사 중 KT만 AI 에이전트가 안 나왔다. 통신사뿐 아니라 카카오, 삼성전자 등 다양한 회사에서 에이전트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나온 서비스들은 날씨를 알려주고, 일정 확인해 주고, 예약해 주는 수준의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 같다. 이렇게 남들이 다 하는 서비스를 또 만들어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크다.   왜 다들 에이전트를 개발하나. 기본적으로 AI는 인간을 흉내내는 기술이다. 인간이 사고하고, 말하고, 생활하는 모든 것을 학습하는 형태여서다. 특히 생성AI라는 기술은 인간 뇌를 잘 투영하는 기술이다. 결국은 단순히 조력자를 넘어 사람을 대체할 수 있는 대리자 시스템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이 AI라고 할 수 있다. 에이전트를 왜 만드느냐가 아닌, 에이전트를 만들기 위해 AI라는 기술이 생겨났다고 생각한다.   KT는 어떤 에이전트를 만들려고 하나. 정말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기존 고객 서비스를 잘 개선해 고객의 로열티를 높이는 쪽에 방점을 찍는 방향이 하나 있을 것이다. 그걸 하면서 동시에 새롭고, 참신한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내부에서 최종적으로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이다.   그럼 AI로 돈은 어떻게 벌 건가. 가장 중요한 것은 에이전트의 브레인(뇌)에 해당하는 모델이다. 모델을 잘 다져두면, 에이전트나 서비스 기능에 따라 우리가 갖춘 모델 라인업(믿음·라마·GPT-4o)을 사이즈별로, 버티컬별로 다양하게 가져다 쓸 수 있다. 통신사를 이용하는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B2C 에이전트뿐 아니라 여러 분야 기업 고객층이 모델을 가져가서 튜닝해서 맞춤형 에이전트로 쓰게 하거나(B2B), 정부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모델(B2G)까지 만드는 게 우리의 큰 구상이다.   AI 개발에 있어 올해 전망은. 지난해에는 MS와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회사의 방향성이 크게 바뀐 만큼 체질적으로 AICT 회사로서 바꾸려는 노력과 진통이 안팎으로 있었다. 상반기에 GPT-4o를 기반으로 개발한 한국적 AI를 발표하는 등 올해는 지난해 준비한 것들을 본격 실행하는 해가 될 거다.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9 17:00</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113"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02"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7">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9/ca296e31-a325-4f36-a219-436a0ff2e673.jpg/_ir_410x230_/" alt="아이폰, 올 하반기부터 갤럭시폰과 채팅·대용량 파일전송 가능해진다">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102"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7"> 아이폰, 올 하반기부터 갤럭시폰과 채팅·대용량 파일전송 가능해진다 </a> </h2> <p class="description"> 지난해 9월 출시된 애플의 스마트폰 &apos;아이폰 16&apos; 시리즈. 뉴스1   올 하반기부터 애플 아이폰 이용자들도 갤럭시 스마트폰 이용자들과 채팅 형식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대용량 파일 전송도 가능해진다.   19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에 대해 ‘아이폰에 차세대 메시지 전송 서비스(RCS) 도입을 권고하는 행정지도를 했다’고 밝혔다. RCS는 기존 이동통신사의 단문(SMS) 또는 장문(MMS) 문자 메시지보다 발전된 형태의 문자 서비스다. 대용량 파일 전송이나 ‘작성 중’, ‘읽음’ 표시 등의 채팅 기능을 지원한다. 현재는 갤럭시 스마트폰 이용자 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이날 방통위는 애플에 올 상반기 내 이동통신 3사가 RCS 기능을 점검할 수 있게 베타(beta·시범) 버전의 아이폰용 운영체제(iOS)를 배포할 것을 권고했다. 또 최대 300MB까지 대용량 파일 전송 기능을 지원하고, 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이동통신 3사와 지속적인 협의를 추진할 도록 했다. 애플은 이용자 편익 증진을 위해 이번 방통위의 권고사항들을 준수하기로 했다. 올 하반기까지 국내 아이폰 이용자들이 RCS를 이용할 수 있게 조치할 계획이다.   아이폰에서 RCS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 아이폰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최대 300MB의 대용량 파일 전송이 가능해진다. 기존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파일 전송을 할 경우, 최대 용량 1MB인 장문 메시지로만 구동 가능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애플에 대해 아이폰에 RCS(차세대 메시지 전송 서비스) 도입을 권고하는 행정지도를 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앞서 방통위는 지난해 3월 아이폰과 갤럭시 스마트폰 간 미디어 파일을 전송할 때 품질이 떨어진다는 신고를 접수했고, 이후 실태 점검을 진행했다. 이번에 아이폰의 RCS 도입으로 모바일 기기 간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어환희 기자 eo.hwanhee@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9 16:44</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102"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09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8">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9/85e5d6b9-9b43-4101-babf-29995f0a3997.jpg/_ir_410x230_/" alt="“좋은 축구 선수 많아도 뛸 운동장 없다”…수퍼컴·양자컴 인프라 구축하는 KISTI 이식 원장">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509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8"> “좋은 축구 선수 많아도 뛸 운동장 없다”…수퍼컴·양자컴 인프라 구축하는 KISTI 이식 원장 </a> </h2> <p class="description"> “아무리 좋은 축구 선수가 있어도, 연습시킬 체육관도 운동장도 없는 상황이다.”   이식 KISTI 원장이 17일 대전 유성구 본원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이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원장은 17일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중국산 생성 AI 딥시크 출시 이후 자국 AI 경쟁력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국내 AI 기반시설(인프라)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우려에서다. 이 원장은 “AI 연구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있다고 모두 다 연구를 잘하는 건 아니다”라며 “하지만 이런 인프라가 없으면 아예 연구를 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KISTI는 국내 AI 인프라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정부출연연구원과 대학에 수퍼컴퓨터 등 연구용 연산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중앙처리장치(CPU) 기반 수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에 이어 내년 초엔 AI 연산에 특화한 GPU 기반 수퍼컴퓨터 6호기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급증하는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 원장은 수퍼컴퓨터 분야 전문가로 잘 알려져 있다. 2000년 KISTI에 입사해 원장 취임 전까지 국가수퍼컴퓨팅본부장을 약 4년 동안 지냈다. 수퍼컴퓨터 6호기 운영이 본격화하면 이 원장은 “AI 연구자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8000대 규모 GPU가 담길 수퍼컴퓨터 6호기는 올해 말까지 장비를 설치해 내년 상반기 시범 서비스를 할 예정이다.   KISTI는 양자컴퓨터 소프트웨어(SW) 생태계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양자컴퓨터는 특정 연산 분야에서 수퍼컴퓨터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갖추고 있다. 신약·신소재 등 미래 성장동력이 될 주력 산업의 연구개발(R&D) 분야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이식 원장은 “국내 양자컴퓨터 하드웨어는 아직 개발 중”이라며 “KISTI에선 수퍼컴퓨터를 가상의 양자컴퓨터처럼 만들어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연구도 함께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KISTI는 최근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특히 AI 모델 개발에 핵심인 데이터 확보를 위해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를 확대 개편했다. 이식 원장은 “KISTI가 정부 R&D 연구 자료를 모두 모아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를 운영하는 만큼 AI 학습 관련 데이터 구축과 플랫폼 개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ISTI는 지난해 9월부터 시작한 ‘한-아세안(ASEAN)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사업도 올해 본격화 할 예정이다. 아세안 국가들은 AI 연구개발에 필요한 고성능컴퓨팅(HPC) 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KISTI가 HPC 하드웨어 구축과 활용 노하우를 전수해 이런 문제를 해소하고 아세안 국가의 AI 인재 양성을 돕겠다는 구상이다. 문상혁 기자 moon.sanghyeok@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9 16:21</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5095"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86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9">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8/48e8c944-7506-470c-97b2-fb7aab562cbd.jpg/_ir_410x230_/" alt="머스크 닮은 AI 챗봇 ‘그록3’ 공개…딥시크 논란 가운데 AI 챗봇 전쟁 격화 [팩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86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9"> 머스크 닮은 AI 챗봇 ‘그록3’ 공개…딥시크 논란 가운데 AI 챗봇 전쟁 격화 [팩플] </a> </h2> <p class="description">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17일(현지시간) AI 챗봇 ‘그록(Grok)3’를 공개했다. 중국산 생성 AI 딥시크가 과도한 정보 수집 논란으로 주춤한 가운데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과 AI 시장을 놓고 본격적인 패권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일론 머스크(오른쪽)의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18일 오후 1시쯤 xAI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새 AI 챗봇 모델 &apos;그록(Grok)3&apos; 공개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사진 xAI  ━  무슨 일이야   xAI는 17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의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시연회를 열고 새 AI 모델을 적용한 챗봇 서비스 ‘그록(Grok)3’를 선보였다. 머스크는 시연회에서 “그록3는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며 “오픈AI의 GPT-4o뿐만 아니라 앤스로픽·구글·딥시크 등 경쟁 모델을 넘어섰다”고 주장했다. xAI는 근거로 수학·과학·코딩 분야 AI 벤치마크(AI 모델 성능 측정 시험) 점수를 공개했다. 2024년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 문제를 각 AI 모델에 풀게 한 결과 그록3는 52점으로 GPT-4o(9점), 딥시크의 V3(39점)에 비해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GPT-4o는 2024년 5월에 공개된 모델이다.   그록3 AI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사진 xAI  ━  그록 3, 뭐가 특별해?   xAI는 그록 3에 기존에 없던 ‘딥서치(DeepSearch)’ 기능을 새로 추가했다. 인터넷과 X에 올라온 게시글 등을 분석해 사용자 질문에 대한 요약 답변을 제공하는 AI 기반 심층 검색 기능이다. 오픈AI의 ‘챗 GPT 서치’와 유사한 기능이다. 머스크는 “딥서치는 사용자가 30분에서 1시간 동안 검색해야 할 내용을 대신 조사해, 10분 만에 정리된 결과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AI 업계에선 그록3의 ‘선 넘는 모드(Unhinged Mode)’에 주목하고 있다. 경쟁 서비스들의 경우 윤리적 기준을 내세워 답하지 않았던 민감한 질문에도 일부 답변을 제공한다. 예컨대 불법 약물 제조 방법 물어보면 챗GPT의 경우 답변을 제공하지 않지만 그록3는 제조법을 설명하는 척하다 “농담”이라며 제조하지 말라고 답하는 식이다.    ━  이게 왜 중요해   AI 챗봇 서비스는 각 기업들이 향후 AI 산업 패권을 잡기위해 공들이고 있는 최전선 분야로 꼽힌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해야만, AI모델 성능을 개선하는데 필수인 데이터를 원활하게 수급할 수 있어서다. 중국 딥시크가 각국에서 차단 될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무리하게 키보드 입력 패턴 등 과도한 이용자 정보를 수집한 이유도 데이터 확보 차원이라는 해석이 많다. 또 챗봇은 생성 AI로 돈을 벌 수 있는 현 시점 몇 안되는 비즈니스 모델이기도 하다.   그록3도 과도한 데이터 수집 문제에선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다. X는 지난해 11월부터 X 내 모든 콘텐트를 AI 학습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용약관을 개정했다. 덕분에 xAI는 지난해 8월 그록2를 선보인 이후 6개월 만에 그록3를 출시할 수 있었다. 현재 X 사용자는 월 3억명에 달한다. xAI는 이 가운데 AI 학습에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  앞으로는   AI업계에선 그록3가 기존 AI 서비스와 차별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경쟁사 AI 챗봇에 비해 자유롭게 답변하는 건 장점이지만, 그만큼 생성한 답변이나 이미지 부분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제기될 위험이 있어서다. 더구나 자타공인 글로벌 1위 AI 회사인 오픈AI도 조만간 최신 AI 모델인 ‘GPT-4.5’를 출시할 예정이다.   그록 3는 현재 X의 ‘프리미엄+’ 유료 구독자들에게 먼저 공개됐다. 무제한 이미지 생성, 추가 추론 등 추가 기능은 xAI가 새롭게 도입한 유료 서비스인 ‘수퍼그록(SuperGrok)’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문상혁 기자 moon.sanghyeok@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8 18:16</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4861"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80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0">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8/fcbbb9a2-be6e-4671-843b-3c849b683d2f.jpg/_ir_410x230_/" alt="[단독] 네이버·카카오, 한국경제인협회 합류한다 [팩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80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0"> [단독] 네이버·카카오, 한국경제인협회 합류한다 [팩플] </a> </h2> <p class="description"> 국내 양대 플랫폼 기업 네이버·카카오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합류하기로 했다. 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집권 이후 녹록지 않은 대외 여건과 국가 간 인공지능(AI) 등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 간 공동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8일 IT 업계에 따르면 한경협은 20일 정기총회를 열고 신규 회원사 가입 안건을 승인할 방침이다. 이번에 가입 신청서를 낸 기업에는 네이버·카카오를 비롯한 국내 IT 회사와 하이브, 두나무 등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전경련에서 한경협으로 교체된 표지석. 연합뉴스  ━  이게 왜 중요해    국내 420여개 기업을 회원사로 두고 있는 한경협은 올해 주요 IT 기업들까지 포섭하며 한층 더 젊어지려 하고 있다. 한경협은 2023년부터 네이버·카카오 등 소위 ‘젊은’ IT 기업들에 가입 러브콜을 보내왔다. 한경협 탄생 배경에 그 이유가 있다. 한경협의 전신인 전경련(전국경제인연합회)은 2017년 국정농단 사건 때 정경유착 논란에 휘말려 회원사들이 줄줄이 탈퇴한 바 있다. 현재는 모두 복귀했지만, 당시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이 모두 빠져나가면서 재계 단체의 ‘맏형’ 역할을 해온 전경련의 위상은 급격히 떨어졌다.   2023년 전경련은 55년간 유지했던 협회명을 ‘한국경제인협회’로 교체하고 대대적인 이미지 쇄신에 나섰다. 당시 김병준 회장직무대행은 ▶싱크탱크 기능 강화 ▶윤리경영위원회 설치 등 혁신안을 발표하며 “포털(네이버·카카오) 같은 신생 대기업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젊은 층을 많이 끌어들이겠다”고 밝혔다. 같은 해 네이버·카카오 등 IT 기업에 회원가입 요청 공문을 보내며 외연 확장에 공을 들여왔다. 지난해 2월에도 한경협은 포스코홀딩스·매일유업·아모레퍼시픽 등 다양한 분야의 신규 회원사들을 유치한 바 있다.    ━  네이버·카카오는 왜   네이버·카카오는 한경협의 가입 요청에 1년 반 넘게 시간을 두며 ‘검토 중’이라는 입장 정도만 밝혀왔다. 그랬던 이들이 약 1년여 만에 가입을 결정한 데는 갈수록 급변하는 대내외 산업 환경 영향이 컸던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내부적으론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온플법) 등 규제의 주요 타깃이 되고, 외부적으론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으로 무장한 글로벌 빅테크를 경쟁 상대로 맞이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업 활동과 목소리에 힘을 실어줄 창구가 필요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 의견을 내는 유일한 창구였던 한국인터넷기업협회 규모가 시가총액 각각 35조원(네이버), 17조원(카카오) 규모로 커진 두 회사의 몸집에 비해 작기도 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AI로 글로벌 산업 트렌드가 이동하고, 트럼프 행정부 재집권 이후 정책 변화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국내 기업들의 협력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 더중앙플러스 : 팩플 「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트럼프·탄핵뿐만이 아니다…“전멸 위기” IT업계 4가지 악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4435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 홍상지·윤정민 기자 hongsam@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8 15:52</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4806"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5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1">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21/1bd4bcf7-8c30-4343-b45d-e3153485cee3.jpg/_ir_410x230_/" alt="세로본능이 가로본능 밀었다, 日망가 뒤엎은 K웹툰 필살기">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54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1"> 세로본능이 가로본능 밀었다, 日망가 뒤엎은 K웹툰 필살기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p class="description"> Today’s Topic‘망가의 나라’ 日 스크롤로 접수웹툰 필살기로 시즌2 연 K플랫폼   지난 11일 일본 도쿄 시부야 라인 프렌즈 스퀘어. 한국 웹툰 ‘입학용병’ 팝업 스토어가 열린 이곳에 일본 팬 수백명이 몰렸다. 스토어에서 만난 한 대학생 만화 팬은 작품 주인공의 학생증과 직원증 등 카드를 여러 장 사면서 “보자마자 ‘무조건 사야 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7일 개장한 이 스토어에는 한 번에 7만 엔(약 66만원)어치를 구매하는 팬부터, 멀리 떨어진 오사카·시즈오카에서 원정 온 팬까지 다양한 이들이 방문했다.   한국산 웹툰이 철옹성 같았던 일본 만화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 출판 만화 중심 일본시장에 웹툰이란 새 장르로 뿌리를 내렸고, 이제 애니메이션 등으로 지식재산(IP)을 확산하는 시즌 2로 넘어가고 있다. 도쿄에서 기업체를 운영하는 이요한(44)씨는 “일본 사람들에게 망가(漫画·만화)는 옆으로 한 장 씩 넘겨보는 책 개념이었는데, 스마트폰에선 망가를 스크롤해서 내려볼 수도 있다는 혁신을 알려준게 한국 플랫폼”이라며 “한국 콘텐트가 이젠 메이저리그로 올라선 걸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웹툰, 어떻게 일본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웠을까. 가로로만 읽던 망가를 세로 스크롤로 바꾼 K웹툰의 필살기는? 라인망가부터 픽코마까지 일본 시장에서 직접 확인한 한국 만화 플랫폼의 경쟁력 뜯어보기, 스타트!     ■ 목차 「 1. K웹툰, 日 상륙작전 10년 2. 망가의 나라 뚫은 필살기 3. 닮은 듯 다른 日 전략 4. 계속 잘할까? 」    김혜미 디자이너  ━  1. K웹툰, 日 상륙작전 10년   망가의 나라 일본에 한국산 만화 플랫폼이 진출한지 10여년. 일본 만화 플랫폼 역사는 한국 만화 플랫폼 일본 진출의 역사와 정확히 궤를 같이한다. 라인망가(네이버웹툰)와 픽코마(카카오)의 일본 내 누적 다운로드 건수는 9500만건 이상. 이들은 ‘맨 땅에 헤딩’하며 존재감을 키웠다.   박경민 기자 개척자, 라인망가: 국내 IT 기업이 일본에서 만화 중심 플랫폼 사업을 시작한 건 2013년 4월의 일. 당시 글로벌 메신저 앱 라인으로 일본에 안착한 네이버가 만화 서비스 앱 ‘라인망가’를 출시했다. 처음엔 일본 만화를 전자책(ePub) 형태로 만들어 모바일로 유통하는 ‘모바일 만화 오픈마켓’ 형태였다. 네이버는 일본 최대 출판사인 코단샤 및 쇼가쿠칸과 업무제휴를 맺어 콘텐트를 공급받으며 플랫폼을 키웠다. 출시 2년째가 됐을 때 50곳 이상 출판사 만화 8만 900개와 웹소설 6000개 등 총 약 9만 5000개 작품을 서비스하게 됐다. NHN도 비슷한 시기 만화 플랫폼 ‘코미코’를 일본에 출시했다.   추격자, 픽코마: 카카오는 2016년 4월 만화 플랫폼 픽코마로 일본시장에 진출했다. 당시 만나는 출판사마다 “너무 늦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스마툰’이라고 부른 모바일 웹툰을 앞세워 빠르게 성장했다. 단행본 만화 한 권을 에피소드에 따라 ‘1화, 2화…’로 분절해 제공하는 ‘화(話) 분절’ 서비스, 일정 시간을 기다리면 1개 회차를 무료로 보게 해주는 ‘기다리면 무료(待てば0¥·마떼바제로엔)’ 등 한국 웹툰의 유료화 문법을 적극 접목했다. 이후 한국시장에서 검증된 ‘이태원 클라쓰’, ‘사내맞선’, ‘나 혼자만 레벨업’ 같은 수퍼 IP를 일본에 유통하기 시작했고 초고속 성장이 이어졌다. 2020년엔 팬데믹이 겹치면서 거래금액이 전년 대비 180.4% 성장했다. 당시 픽코마 웹툰 작품의 약 79%가 한국 IP였다. 픽코마는 2023년과 2024년 일본 양대 앱 마켓에서 2년 연속 매출 1위(데이터닷에이아이 집계)를 차지했다. 신종환 카카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13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픽코마의 2024년 연간 거래액은 (2023년에 이어) 1000억엔(약 9480억원)을 다시 한번 돌파했다. 심화되고 있는 경쟁 환경 속에서도 플랫폼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역전, 재역전: 픽코마의 성장세를 지켜본 라인망가는 2021년 플랫폼을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라인망가 운영사 라인디지털프론티어(LDF) 김신배 대표는 “우리 플랫폼 단행본 독자들이 웹툰 연재형 작품까지 읽을 수 있게 제품을 개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자 인당 열람 작품 수와 유료 결제액이 크게 늘었다. 2024년 5월 픽코마를 제치고 양대 앱마켓 매출 1위에 올랐고, 2024년 하반기에도 매출 1위를 차지했다. LDF에 따르면 라인망가의 앱 마켓 점유율은 지난해 1월 31%에서 올해 1월 51%로 뛰어올랐다.     ■ 🎌일본에는 왜? 「 한국 IT 회사들은 왜 일제히 일본 만화 시장에 진출했을까. 미국 코믹스도 일본 망가 못지 않게 큰 시장을 갖췄고, 거리나 인구 수를 따졌을 땐 중국이나 동남아도 거점으로 모자랄 것 없다. 하지만 하나 하나 따졌을 땐 일본만큼 매력적인 시장이 없다는데.   ◦사이즈가 된다: 만화를 대하는 진심에서부터 일본은 다른 나라와 비교 불가다. 12세기 헤이안 시대 제작된 ‘조수인물희화’가 기원으로 꼽힐만큼 망가의 역사부터가 길다. ‘원피스’, ‘드래곤볼’ 등 글로벌 메가히트 IP가 즐비하다. 일본 만화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6937억엔(약 6조5700억원)으로 전 세계 만화 시장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한국저작권위원회)다. 일본에서 한번 주목받는 것만으로도 그 작품, 그 플랫폼의 성공 가능성이 국내와 비교할 수 없을만큼 커진다는 얘기다.    박경민 기자 ◦디지털은 블루오션: 국내 플랫폼들이 막 일본 시장에 진출했던 2015년엔 시장 대세가 단행본(점유율 47.4%), 잡지(26.3%) 중심의 종이만화(73.7%)였다. 디지털의 자리가 비어있었다. 당시 점유율 26.3%에 불과했던 일본 디지털만화는 픽코마, 라인망가 등이 대세가 된 2023년 69.6%로 커졌다. 하지만 여전히 만화 독자들은 스크롤로 내려 읽은 웹툰 문법에 낯설어 하는 이들이 많다. 국내 플랫폼들은 아직도 기회가 남아있다고 본다.   ◦더 큰 시장 애니: 일본에서 성공한 만화 IP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다. 2022년 기준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 총 수익은 2조 9277억 엔(약 27조 7440억원). 같은 기간 만화 시장(6770억엔)의 4.3배다. 게다가 애니메이션 수익의 절반은 해외에서 온다. 일본에서 성공적인 웹툰으로 만화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면, 이후 애니메이션으로 글로벌 히트를 노릴 수 있는 구조다. 일본 웹툰 스튜디오 넘버나인의 고바야시 대표는 “일본 웹툰이 폭발적으로 커지는 중요한 터닝포인트는 일본 웹툰의 애니메이션 제작이 본격화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며 “드래곤볼로 따지면 프리저에게 두번의 변신이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  2. 망가의 나라 뚫은 필살기   라인망가와 픽코마는 단행본 만화와 웹소설까지 담은 종합 콘텐트 플랫폼이다. 하지만 이들을 일본 시장에 안착시킨건 디지털에 최적화된 ‘웹툰’이라는 필살기였다. 웹툰에 새 비즈니스 모델(BM), 생태계 조성이라는 방법론을 붙여 시장을 키웠다.   &apos;착붙&apos; BM: 기다리면 웹툰을 무료로 볼 수 있게 해준다고? 한국에서 성공한 BM을 처음 일본 내 콘텐트 유통에 접목하려 했을때 일본 출판업계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일본 독자들은 유료 콘텐트 수용도가 높기 때문에 굳이 그럴 필요 없다는게 공통의 정서였다. 하지만 카카오는 이 BM이 웹툰같은 디지털 콘텐트에 잘 통할 거라는 걸 확신했다. 이진수 전 카카오페이지 대표는 ‘기다리면 무료 BM’에 대해 2020년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게임 애니팡은 기다리기만 하면 무료 이용권이 충전되는데, 사람들은 그 잠깐을 기다리지 않고 이용권을 샀다. 사람들은 시간을 아끼는 데에 돈을 낸다. 우리는 2014년 이걸 세계 최초로 웹툰·웹소설에 도입했다. 하루나 이틀 기다리면 무료로 볼 수 있지만, 먼저 보고 싶은 사람에게 유료 결제라는 선택권을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픽코마는 설득 끝에 ‘텐 프리즘’이라는 작품에 기다리면 무료 BM을 붙였다. 정체됐던 지표가 그때부터 꿈틀대기 시작했고, 지금의 픽코마를 만드는 기틀이 됐다. 지금은 거의 모든 일본 내 만화 플랫폼이 이 BM을 쓴다.   12일 일본 웹툰 스튜디오 넘버나인의 도쿄시 시나가와구 사무실에서 웹툰을 제작하고 있는 작가. 사진 네이버웹툰 생태계를 만들어라: 가로 방식 출판 만화에 익숙한 현지 창작자들에게 세로 스크롤 방식 웹툰은 제작 문법부터 완전 다른 생소한  분야다. 기존 작가들 유입이 더딜 수 밖에 없다. 라인망가는 새 장르인만큼 작가를 키워 생태계를 새로 만드는 전략을 택했다. 라인망가 인기작 ’신혈의 구세주‘를 만든 스튜디오 넘버나인 고바야시 대표는 “일본 출판 만화 시장에선 아무리 노력해도 ‘쇼슈코(쇼가쿠칸·슈에이샤·코단샤)’ 출판사를 이길 수 없었다. 그런데 웹툰은 완전히 새로운 엔터테인먼트이기 때문에 노력하면 1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라인망가에 ‘선배는 남자아이’라는 작품으로 데뷔해 애니메이션 제작까지 이뤄낸 일본 작가 pom은 “라인망가와 독자들 덕분에 꿈꿔왔던 애니메이션 제작이 현실이 됐다”고 말했다.    ━  3. 닮은 듯 다른 日 전략     박경민 기자 카카오의 픽코마와 네이버의 라인망가는 5년째 일본 시장에서 엎치락 뒤치락하고 있다. 당초 라인망가가 일본 최대 플랫폼이었는데, 2020년 픽코마가 이를 뒤집었다. 한동안 픽코마 천하가 이어졌으나 2024년 5월 라인망가가 이를 다시 한번 뒤집었다. 일본 만화 플랫폼으로 1위를 하겠다는 두 회사의 목표는 같지만, 그 전략은 달랐다.   ① 생태계 내세운 네이버   라인망가 일본 오리지널 웹툰 ‘신혈의 구세주’와 ‘선배는 남자아이’ 포스터. 라인망가는 신혈의 구세주 제작사인 스튜디오 넘버나인에 최근 지분 투자했고, 자체 아마추어 창작 공간 ‘인디즈(indies)’에서 탄생한 선배는 남자아이를 애니메이션화하는 등 일본 현지 창작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웹툰 6000명 작가 키웠다: 라인망가는 뿌리부터 현지화를 시도했다. 처음 앱을 출시했을 때부터 전자책을 서비스하는 일본 출판 업계 트렌드를 따랐다. 2021년 웹툰 중심 대대적 개편 이후엔 일본 내 창작 생태계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제작사에 지분을 투자하거나, 아마추어 발굴 프로그램 ‘인디즈(indies)’를 운영하는 것도 현지 창작 생태계 구축의 일환이다. 라인망가에는 일본 작가가 만든 웹툰이 577건(2023년 12월 기준)으로 전체 웹툰 중 33%다. 일본 작가 수도 6000명 안팎이다.   IP비즈니스로 확장: 단순 유통(플랫폼)을 넘어 본격적인 IP 비즈니즈에 나서는 것도 라인망가의 주요 전략이다. 자체 창작 생태계를 통해 IP를 쌓은 덕에, 이를 활용해 애니메이션·드라마·MD 등 확장이 보다 자유롭다. 지난 7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일본 현지에서 처음으로 웹툰(입학용병) 팝업 스토어를 연 것도 그 일환이다. 입학용병은 2023년과 2024년 연간 인기 랭킹 1위를 차지하면서 일본 내 6억 페이지뷰(PV)를 달성했다. 100종 이상 MD 제품을 마련해뒀고, 목표 매출(5000만엔)은 한국 아이돌 팝업 스토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설정했다.   ② 웹툰 수출 주력 카카오   픽코마를 대표하는 한국 지식재산권(IP) 작품이자 일본에 웹툰을 알린 &apos;나 혼자만 레벨업&apos;과 픽코마 산하 한국 자회사 ‘스튜디오 원픽’이 제작한 ‘용사 파티 때려치웁니다’ 포스터. 사진 카카오픽코마 한국서 검증, 글로벌 수출: 픽코마는 한국에서 검증한 수퍼 IP를 현지화해 일본에 이식하는데 보다 적극적이었다. 픽코마 독점 연재로 큰 성공을 거둔 ‘나 혼자만 레벨업’이 대표적이다. 2020년 픽코마에서 월간 1억 엔(약 9억4800만원) 매출을 기록했고, 2024년 연간 베스트 1위로까지 꼽혔다.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돼 일본 아마존 프라임, 넷플릭스에서 방영되기도 했다. IP 발굴 작업은 픽코마와 한국의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협업해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엔터 관계자는 “일본에 대한 역사·문화적 이해가 높아야 일본 시장 타깃 작품을 적절히 골라낼 수 있다”며 “힘 있는 작품의 공급과 적극적인 마케팅, 현지화 등 차별화된 IP 전략이 맞물려 성과를 이뤘다”고 말했다.   수출 통로가 만든 선순환: 국내 제작진이 만든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로 방영돼 글로벌 히트 상품이 됐듯이, 일본 내 한국 만화 플랫폼은 국내 웹툰의 수출 통로가 되고 있다. 이영훈 한국콘텐츠진흥원 부장은 “국내 개별 작가가 자기 작품을 글로벌로 판매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건 아니지 않나. 하지만 카카오페이지, 네이버웹툰에 작품을 연재하게 되면 픽코마, 라인망가를 통한 수출을 기대할 수 있고, 그렇다보니 작가들도 가급적 그 두 개 플랫폼에 연재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통계에서도 그 효과는 드러난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국내 만화 산업 일본 수출액은 2020년 1590만 달러에서 2022년 3280만 달러로 두 배 넘게 성장했다. 같은 시점 이렇게 성장한 다른 국가·대륙은 없었다.   박경민 기자  ━  4. 계속 잘할까?     일본 디지털 만화 시장엔 도전자가 계속 등장하고 있다. 세계 최대 만화 시장인데다 성장 가능성까지 크다보니 일본 정통 출판사부터 인터넷 기업, 미국 빅테크까지 모두 달려들었다. K 만화 플랫폼 앞으로도 괜찮을까?   日美 반격 : 웹툰이 일본 시장에서 인기를 끌자 종이 만화 강자였던 ‘쇼슈코’ 등 일본 출판사들 발등엔 불이 떨어졌다. 쇼슈코는 각각 ‘망가왕’, ‘소년점프+’, ‘마가포케’ 등 디지털 만화 플랫폼을 만들어 반격에 나섰다. 일본 인터넷 기업들도 자극받았다. 일본 대표 전자상거래업체 라쿠텐은 지난해 1월 만화 앱 ‘R-툰’을 출시했고, 아마지아(Amazia)의 ‘망가BANG!’, 디엔에이(DeNA)의 ‘망가UP!’ 등도 경쟁 레이스에 가세했다. 미국 빅테크도 적극적이다. 애플은 2023년 4월 일본에서 자사 모바일 앱 애플북스에 웹툰 서비스를 추가했고, 아마존도 2024년 4월 아마존 재팬에 ‘플립툰’ 코너를 신설했다. 아마존 재팬은 플립툰 출시 이듬해 ‘아마존 플립툰 다테요미망가(세로 읽기 만화) 대상’ 공모전을 열어 총 상금으로 1억엔을 지급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김신배 라인디지털프론티어 대표이사가 지난 12일 일본 도쿄 LDF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네이버웹툰 유통만? NO! : 라인망가는 새로운 경쟁자들과는 차별화돼 있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구사한 덕분에 유통 플랫폼 기능을 넘어 콘텐트 제작으로까지 영향력을 확대했기 때문이다. 김신배 LDF 대표는 “우리는 단순히 만화를 유통해 매출을 내는 회사가 아니라, 계속해서 콘텐트에 투자해 좋은 작품이 탄생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고 그 콘텐트가 스토어 안에서 더 잘되게 하고, 이것이 IP 비즈니스로 발전되는 생태계를 만드는 회사다”라며 “콘텐트에서 시작해 독자로 끝나는 관점으로 접근한다는 측면에서 경쟁사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10년 대계는?: 라인망가는 지난 4년 간 ‘웹툰 중심 앱 개편 - 현지 콘텐트 확보 - 콘텐트 마케팅 - 비즈니스 모델 고도화’ 등 단계적 생태계 구축에 힘써왔다. 그동안엔 1년에 1~2개 작품을 영상화하는 데 그쳤다면 지난해엔 12개 작품을 영상화했고, 올해는 20개 작품의 애니메이션 작업 착수가 목표다.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 영상물 라인업이 갖춰지면 더 큰 시장을 열 수 있다. 김신배 대표는 “일본의 MD 사업은 애니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강하다. 결국 애니를 만들어 애니 팬덤을 구축하면, 그 팬덤을 활용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유통채널이 열린다”며 “일본 아마추어 창작 생태계를 만들고, 만화 작가들이 우리 플랫폼에서 활동하고, 성공 사례를 만들어낼 때까지 계속해서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픽코마는 최근 ‘콘텐트 라이브러리’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출판사·웹툰 스튜디오 등과 협업해 원천 IP를 최대한 확보한다.   일본 만화 팬들이 일본 도쿄도 시부야구에 위치한 라인프렌즈스퀘어에서 지난 7일부터 오는 25일까지 열리는 &apos;입학용병&apos; 팝업 스토어를 구경하는 모습. 사진 네이버웹툰 기술이 새 기회 만든다: 끊임없는 기술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LDF의 한국 본사 격인 네이버웹툰은 2022년 2월 AI 조직인 ‘AI&데이터’를 별도로 분리했고, 자동 채색 툴 ‘AI페인터’와 이미지 전환 툴 ‘웹툰미’ 등을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김신배 대표는 “단행본과 웹툰 추천이 병행돼야 하고, 무료로 작품을 읽는 것과 유료로 전환해서 매출을 만드는 것이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작품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AI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AI&데이터 전략실’을 신설한 카카오엔터는 AI 추천 서비스 ‘헬릭스 큐레이션’을 출시해 첫 화면 클릭률을 대폭 증가시켰다. 팩플피드백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7 16:26</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4541"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49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2">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7/99867761-34dc-4b0b-937c-c50adad87dc2.jpg/_ir_410x230_/" alt="[팩플] 거래 영역 확장하는 두나무…악보 플랫폼 엠피에이지 인수">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49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2"> [팩플] 거래 영역 확장하는 두나무…악보 플랫폼 엠피에이지 인수 </a> </h2> <p class="description"> 엠피에이지가 운영 중인 글로벌 악보 플랫폼 &apos;마이뮤직시트&apos;의 서비스 화면. 사진 두나무   블록체인·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거래 대상을 콘텐트 영역까지 확장한다. 가상자산 거래 중개를 넘어 글로벌 거래 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는 목표다.   두나무는 지난해 11월 글로벌 디지털 악보 플랫폼 운영사 엠피에이지(MPAG)를 인수하고 자회사로 편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엠피에이지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 디지털 악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작곡가·뮤지션 등이 플랫폼에서 다양한 장르 악보를 업로드하고 판매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누적 1만 명 이상 음악 크리에이터와 400만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  이게 왜 중요해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와 비상장 주식 거래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 등을 운영중인 두나무는 거래 영역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2021년 혁신 성장 로드맵을 발표하며 “거래 대상을 확장하는 글로벌 플랫폼이 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플랫폼 인수로 콘텐트 거래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려 한다.   2022년 중고 명품 시계 소비자 간 거래(C2C) 플랫폼 바이버를 선보인 것도 실물 거래까지 영역을 확장하기 위함이었다. 3년 간 두나무가 바이버에 투자한 누적 금액은 200억원에 달한다. 거래에 최대한 개입하지 않는 다른 C2C 플랫폼과 달리 상품을 업로드 하기 전 전문 엔지니어들이 정·가품 여부를 판별하는 게 특징이다. 지난해엔 월 거래액이 100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  앞으로는   엠피에이지는 매출에서 해외 비중이 약 70%를 차지한다. 두나무는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엠피에이지 인수는 디지털 악보 및 교육 시장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7 13:22</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4493"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309"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3">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6/34c28526-0772-4678-9c99-c23ea21c13dc.jpg/_ir_410x230_/" alt="[단독] 타다, ‘콜 차단 논란’ 카카오모빌리티 상대 100억원 손배소 | 팩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4309"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3"> [단독] 타다, ‘콜 차단 논란’ 카카오모빌리티 상대 100억원 손배소 | 팩플 </a> </h2> <p class="description">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운영사 VCNC)가 카카오모빌리티(카모·카카오T 운영)에 약 100억원을 손해배상하라며 소송을 냈다. 업계 안팎에선 사업 분야가 겹치는 모 회사인 토스(비바리퍼블리카)와 카카오 사이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자회사 간 대리전이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타다의 대형택시 서비스 &apos;타다 넥스트&apos;의 모습. 사진 타다    ━  타다는 왜?   16일 타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콜 차단’과 ‘콜 몰아주기’로 입은 손해를 배상하라”며 카모를 상대로 수원지법 성남지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회사 측은 “카모의 콜 차단·몰아주기 정책 때문에 2020년 선보인 중형 가맹택시 서비스 ‘타다 라이트’가 매출 감소, 기사·고객 이탈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현재는 사실상 서비스가 종료됐다”며 “손해배상 청구액은 약 100억원이지만, 실제 손해금액은 최대 63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타다는 카모의 콜 차단과 콜 몰아주기 정책이 공정한 경쟁을 저해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콜 차단은 ‘우버·타다 등 타 가맹택시가 카모와 제휴계약을 맺지 않을 경우 카카오T에 들어온 일반 호출(콜)을 해당 택시에 배정하지 않는 정책’을 말한다. 콜 중복·반복적 배차 거절(골라잡기) 등을 막기 위한 목적이라곤 하지만, 국내 택시 호출 점유율 90% 이상인 카카오T 호출을 받지 못하게 될 경우 영업에 지장이 컸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를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한 행위로 보고 지난해 12월 151억원의 과징금을 확정했다. ‘콜 몰아주기’는 카모가 자사 가맹택시 카카오T 블루에 콜을 많이 주기 위해 배차 알고리즘을 손봤다는 의혹이다. 공정위는 2023년 2월 카모에 과징금 271억원을 부과했다. 두 건 모두 공정위가 카모를 검찰에 고발해 서울 남부지검이 수사중이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해 10월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콜 차단)에 대한 제재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공정위는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을 부과했고, 카모를 검찰에 고발했다. 연합뉴스    ━  카모 입장은?   카모 측은 “아직 소장을 받지 못해 공식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콜 차단에 대해선 공정위 제재 당시 “2019년 가맹택시 서비스 출범 이후 정부 정책 및 협의에 의해 자사 가맹택시와 일반적인 비가맹 택시, 타사 가맹택시 등으로 서비스 대상을 세분화됐고 이를 토대로 기사의 일방적인 콜 취소, 브랜드 혼동 등 서비스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 타사 가맹택시와 플랫폼 제휴 계약을 추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콜 몰아주기에 대해선 “택시 기사가 좋은 콜을 골라잡아 생기는 승차거부를 줄일 목적으로 배차 알고리즘에 배차수락률을 반영했다”며 “가맹 택시 우대가 아닌 사용자 편익 증대를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한 바 있다. 카모는 또 “2020년 인공지능(AI) 기반 배차 시스템을 도입해 가맹·비가맹 택시 차별 없이 배차 받을 수 있게 됐고, 공정위가 제제 근거로 내세운 행위들은 AI 배차 도입 이전 서비스 연구·개발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시도해 본 수십가지 테스트 중 일부 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카모는 현재 두 건의 제재 모두에 대해 불복하고, 행정 소송을 진행 중이다.   이른바 ‘타다금지법’으로 불렸던 ‘여객자동차법’ 개정안이 시행된 지난 2021년 4월 8일 서울역 인근에서 카카오T 택시가 이동하고 있다. 뉴스1    ━  이걸 알아야 해   갈길 바쁜 두 회사가 법적다툼까지 벌이게 된 이유에 대해 업계에선 카모와 타다 간 얽히고 설킨 사연에 주목하기도 한다. 카모는 2015년 카카오택시를 선보인 이후 자타공인 국내 1위 모빌리티 플랫폼 자리를 유지해왔다. 타다는 2018년 말 렌터카 기반 승차 공유 서비스 타다 베이직을 선보이며 카모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급부상했다. 하지만 이른바 ‘타다 금지법’이 2020년 초 국회를 통과한 뒤 내리막길을 걸었고 2021년 토스에 인수됐다. 당시 모빌리티 업계에선 타다 금지법의 가장 큰 수혜자가 카모라는 얘기도 나왔다. 모 회사간 갈등도 법적 다툼의 원인이라는 해석도 있다. 토스는 최근 “토스 이벤트의 카카오톡 공유하기 기능을 카카오가 경쟁사라는 이유로, 부당하게 제한했다”며 공정위 신고 등 또 다른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타다의 어려움을 내부 혁신이나 서비스 개선 노력 대신, 외부 원인을 찾는 것으로 해소하려한다는 시선도 일부 있다”며 “법적 다툼과 이후 두 회사 간 경쟁이 택시시장 구도를 어떻게 바꿀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더중앙플러스 : 팩플 「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3조 퍼붓고 5년 잃어버렸다…“카카오, 동아리 같은 회사”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1114   세상에 공짜는 없답니다…배민·카카오T ‘혁신의 배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3071   트럼프·탄핵뿐만이 아니다…“전멸 위기” IT업계 4가지 악몽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4435    한국에는 레벨4 기술 없다? “그게 더 쉽다”는 K스타트업 [넥스트 빅씽, 자율주행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4038 」 관련기사 [단독] 카카오∙토스 한판 붙나…이벤트 공유 제한 논란 [팩플] [단독] &quot;다른 앱 수수료 왜 받나&quot; 공정위, 카카오택시 또 제재 추진 카카오 매출 7조8738억원…&quot;오픈AI와 만든 AI 비서, 카나나 올해 출시&quot;[팩플] 혁신이었던 &apos;카카오T블루&apos;가 위기 자초했다…검찰로 넘어간 &apos;카모&apos; [팩플] &quot;카카오 택시 불러주세요&quot;…02-114에 전화걸자 생긴 일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6 17:08</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4309"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82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4">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4/75047f71-36d7-4ffc-9f00-3524fff75b9d.jpg/_ir_410x230_/" alt="[팩플] 넥슨, 韓 게임사 최초 연 매출 4조원 달성">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82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4"> [팩플] 넥슨, 韓 게임사 최초 연 매출 4조원 달성 </a> </h2> <p class="description"> 넥슨이 국내 게임사 최초로 연 매출 4조원을 달성했다.    ━  무슨 일이야   &apos;던전앤파이터 모바일&apos; 게임 캐릭터의 모습. 사진 넥슨   넥슨(일본 도쿄 증시 상장)은 지난해 매출이 약 4조 91억원(4462억엔)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5% 증가한 수치다. 한국 게임사가 연간 기준 매출 4조원을 넘긴 건 넥슨이 처음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1조1157억원(1242억엔)으로 8% 감소했다.   매출 4조원 달성 원동력은 대표 지식재산(IP)으로 꼽히는 ‘던전앤파이터’(던파)였다. 지난해 5월 중국 시장에 출시한 던파 모바일 버전이 흥행하면서, 던파 IP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53% 증가했다. 올해 서비스 20주년을 맞았음에도 여전히 강력한 매출원이다. 또 던파와 메이플스토리, 그리고 FC모바일까지 3대 주력 IP가 매출의 74%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10% 매출 성장을 이뤘다. 출시 온라인 게임을 업데이트해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라이브 서비스 역량’이 힘을 발휘했다. 메이플스토리는 3·4분기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 연속으로 최고 매출을 경신했고, 연간 해외 매출이 전년 대비 24% 증가하며 글로벌 시장 개척에 있어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신작도 힘을 보탰다. 지난해 7월 출시한 루트슈터(슈팅게임에 롤플레잉 요소가 더해진 장르)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는 초반 흥행에 성공했다. 넥슨은 다음달에도 AAA급(대규모 개발비를 투자해 수백만장 판매를 목표로 하는 작품) 게임 ‘퍼스트버서커:카잔’의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있다. 대표 IP 중 하나인 ‘마비노기’ 시리즈의 신작 ‘마비노기 모바일’ 역시 같은 달 출시한다.   이정헌 넥슨 대표. 사진 넥슨   올해 예상 실적도 공개했다. 올 1분기 약 1조165억~1조1296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넥슨은 전망했다. 신작 흥행 여부에 따라선 연 매출 5조원도 노려볼 수 있는 숫자다. 넥슨은 앞서 2027년까지 매출 7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정헌 넥슨 대표는 “넥슨의 강력한 IP들의 사업성 확장을 위한 전략적 연구와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  더 알아두면 좋은 점   한편 이날 법원은 2021년부터 이어진 넥슨코리아(원고)와 아이언메이스(피고) 간 민사 소송에 대해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넥슨은 “내부 프로젝트 ‘P3’ 개발 팀장으로 일하던 최모씨가 소스코드와 데이터 등 바밀자료를 외부 서버로 유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회사(아이언메이스)를 차린 뒤 게임 다크앤다커를 만들었다”며 영업비밀 및 저작권 침해금지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63부는 영업비밀을 빼돌린 행위에 대해 “최씨 등은 넥슨에 85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저작권 침해와 관련해선 “최씨 등이 ‘다크앤다커’ 게임을 복제·배포·대여하거나 송신하는 행위는 넥슨의 2021년 6월 30일자 ‘P3’ 게임에 대한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음을 확인한다”고 밝혔다. 영업비밀을 부당하게 유출한 행위는 인정돼 손해배상을 해야 하지만, 다크앤다커가 넥슨 작품의 저작권을 침해한 건 아니므로 게임 개발·판매엔 문제가 없다는 취지다. 양측 모두 ‘반쪽 승리’를 거둔 셈이다.   넥슨의 주력 지식재산(IP) &apos;던전앤파이터&apos;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신작 &apos;퍼스트버저커:카잔&apos; 포스터. 다음달 출시를 앞두고 있다. 사진 넥슨   넥슨은 이날 “시장경쟁질서를 저해하는 불법 침해 행위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액 85억원을 전액 인정한 것에 의미가 있다. 또 민사와 별개로 아이언메이스 일부 직원들에 대한 수사는 계속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아이언메이스는 “법원의 판단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 더중앙플러스 : 팩플 「 📌 한국 게임산업의 변화,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20년차 ‘노장’들이 버텼다, 넥슨을 지옥에서 구한 그들 [넥슨연구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136   “400억 베팅 정말 후달렸다” 5조 넥슨 만든 김정주 승부수 [넥슨연구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84735   주가 반토막 어쩔 거냐고? ‘배그’ 그 회사가 믿는 구석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6591   ‘다크앤다커’ 누구 자식이야? 판교 뒤흔든 친자확인 전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4301             」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3 18:35</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825"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812"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5">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3/f8c28a56-3466-4623-8c84-2c70c0914d18.jpg/_ir_410x230_/" alt="[팩플] 美 법원 “AI 학습에 콘텐트 무단 이용, 불법”…한국 소송 결과도 관심">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812"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5"> [팩플] 美 법원 “AI 학습에 콘텐트 무단 이용, 불법”…한국 소송 결과도 관심 </a> </h2> <p class="description"> 로이터=연합뉴스   인공지능(AI) 개발사가 저작물을 무단으로 학습하는 게 저작권법 위반이라는 미국 법원 판결이 나왔다. 향후 상급 법원 판단에 따라 AI 기업들이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무슨일이야   11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웨어주 연방지방법원은 톰슨 로이터가 로스 인텔리전스를 상대로 낸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로스 인텔리전스는 AI 기반 법률 검색엔진 스타트업이다. 톰슨 로이터는 로스 인텔리전스가 자신들의 법률 서비스인 웨스트로우(Westlaw)의 데이터를 동의 없이 AI 학습에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로스 인텔리전스는 “헤드노트(법원 판결문에서 핵심적인 법률 원칙과 쟁점을 요약한 문장으로, 웨스트로우의 주요 기능)를 AI 훈련용 데이터로 사용했으므로 ‘공정 이용’(fair use)에 해당한다”고 반박했지만, 법원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공정 이용이란 저작권 보호 콘텐트를 저작권자 허락 없이도 언론보도, 교육 목적 등 특정 조건 하에 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는 원칙이다. 법원은 “로스 인텔리전스가 만든 AI 기반 법률 검색엔진이 웨스트로우와 직접 경쟁하는 서비스이고, 대량의 웨스트로우의 데이터를 변형 없이 학습한 로스 인텔리전스 서비스가 시장에서 직접적인 대체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공정 이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톰슨 로이터 대 로스 인텔리전스 소송에 대한 연방 지방법원 판결문. 사진 본문 캡처    ━  이게 왜 중요해   이 판결은 AI 성능 향상을 위한 데이터 학습과 저작권법 공정 이용 원칙 사이 관계를 다룬 최초의 주요 판례라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AI 모델은 주로 책·기사·웹사이트 등 저작권이 있는 콘텐트를 학습에 사용하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를 피해가기 어렵다. 이 때문에 AI 학습 데이터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자, AI 개발사들이 전가의 보도처럼 내세운 논리가 ‘공정 이용’이다. 미국 IT 매체 와이어드는 “이번 판결이 다른 사례에도 인용된다면 AI 기업에 매우 불리한 결과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법원에서 톰슨 로이터가 ‘잠재적 시장’을 개척할 기회를 로스 인텔리전스가 침해했다고 판단한 부분에도 관심이 쏠린다. 톰슨 로이터가 법률 데이터를 활용해 AI 모델을 훈련하거나, AI 기업에 데이터를 판매하는 사업을 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 기회를 침해했다는 것. 최경진 가천대 법학과 교수(한국인공지능법학회장)는 “데이터 판매 등 새로운 시장에 대해 법원이 간접적으로 인정했다고 볼 수 있다”며 “저작권 시장을 기존 시장의 의미보다 넓게 본거라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로스 인텔리전스 측이 항소해 연방 항소법원에서 공정 이용 여부에 대해 한 번 더 다투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판결에서 다룬 로스 인텔리전스 기술은 비(非) 생성 AI지만, 향후 생성 AI 관련 소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뉴욕타임스(NYT)는 오픈AI에, 미국의 주요 일간지 8곳은 마이크로소프트(MS)에 저작권 침해 소송을 낸 상태다.    ━  한국에 미칠 영향은   국내에서도 지난달 지상파 3사가 네이버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네이버가 생성 AI인 하이퍼클로바와 하이퍼클로바X를 학습 시킬 때 방송사 기사를 무단으로 활용했다는 주장이다. 앞으로 이어질 미국 법원 항소심 결과가 국내 판결에도 일정부분 참고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경진 교수는 “2000년대 이후 국내 저작권법 해석은 미국의 영향을 받아 왔기 때문에, 국내 소송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AI 개발에 있어) 저작물에 대한 새로운 보상 체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3 17:42</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812"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76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6">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4/d08137f4-0b66-40f9-b68f-30cdc9c1efcc.jpg/_ir_410x230_/" alt="우울하니? ‘퉤퉤퉤퉤’ 해봐…‘머리띠 명의’가 고쳐줄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76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6"> 우울하니? ‘퉤퉤퉤퉤’ 해봐…‘머리띠 명의’가 고쳐줄게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p class="description"> Today’s Topic 침만 뱉어도 우울증 진단 가능? VR, 전자약까지 진화한 ‘우울 Tech’   넷플릭스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서 주인공 정다은(박보영)은 정신병동 간호사지만 우울증을 겪는 환자이기도 하다. 다은은 우울증이 알려지면 사회생활이 어려워질까 두려워 진단 및 치료를 거부한다. 증상은 갈수록 심각해져 침대 밖에 나오기도 힘들어한다. 그런데 집에서도 우울증을 진단받을 수 있다면? 침만 뱉으면 AI가 인간 의사처럼 정확하게 우울증 여부를 알려준다면? 현실의 수많은 ‘다은’들도 침대 밖에 나올 수 있지 않을까. 국내 10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우울증 환자에게 손을 내밀고 있는 ‘우울 테크’의 미래를 짚었다.     ■ 💬목차 「 1. 당신의 우울을 아는 사소한 것들 (feat. 침, 음성, 심박수) 2. 기술이 마음도 치료할 수 있을까? 3. 우울 테크가 시장이 되려면   4. 정신병동에 아침이 온다면 」    김혜미 디자이너  ━  1. 당신의 우울을 아는 사소한 것들   의사 앞에서 솔직한 사람, 얼마나 될까. 정신질환 환자도 우울증 증상을 축소하거나 과장하는 일이 드물지 않다. 문제는 숨기거나 피해서 진단이 늦어질수록 치료도 힘들어진다는 것. 우울 테크 스타트업이 먼저 주목한 페인 포인트(pain point·고객이 불편을 느끼는 지점)도 여기에 있다. 신체의 사소한 반응만 보고 우울증을 알아차리는 기술에 집중하는 것.   차준홍 기자   침 한 방울로 우울증 진단: 요즘따라 기분이 울적하고, 좀처럼 힘이 나지 않는다면? 하루 네 번 침만 뱉으면 우울증인지 아닌지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 중인 스타트업이 있다. 정신건강 스타트업 ‘마인즈에이아이’는 이용자가 신청하면 택배로 4개의 타액 수집 용기를 보내준다. 취침 전과 후, 기상 후 30분, 한 시간에 적정 용량의 침을 뱉고 용기를 다시 보내면 일주일 뒤 결과지를 받아볼 수 있다.   마인즈내비 결과지 샘플. 사진 마인즈에이아이.   결과지엔 정상, 관심, 경계, 위험 등 네 가지 세부 지표가 표시된다. 스트레스가 급성인지, 만성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 마인즈에이아이는 우울증 위험집단이 아침에 일어난 뒤 뱉은 침 속의 코르티솔 양이 비위험 집단보다 유의하게 적었다는 연구결과에서 착안해 우울증 진단 소프트웨어 솔루션 ‘마인즈내비’를 개발했다. 코르티솔은 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분비량이 증가해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불린다. 창업자 석정호(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대표는 “보통 학계에선 의사의 우울증 진단 정확도를 85% 정도로 보고 있다”며 “2030 우울증 환자는 의사의 진단보다 바이오마커(혈액·체액에서 특정 질환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더 신뢰하기 때문에 기술 유용성이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인즈내비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확증 임상 보고서를 최종 제출했고, 현재 의료기기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지금 떨고 있니’ 심박수가 알려주는 우울증: 하루 24시간, 스마트워치를 착용하면 내일의 기분과 우울증 증상을 예측할 수 있는 솔루션도 나왔다. KAIST 뇌인지과학과 김대욱 교수는 미국 미시간대 수학과 연구진과 협업해 스마트워치로 심박수와 활동량을 측정해 우울증을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지금도 생체시계를 측정할 수는 있지만, 전날 밤 병원에 입원해 검사하고 다음 날 아침 기상 후 약 두 시간 간격으로 30분씩 짧은 수면검사를 4~5회 반복해야 한다. 김 교수는 관련 기술을 담은 ‘소셜 리듬’(가칭) 앱을 개발하고 있다. 인간의 평균 일(24시간)주기 리듬(하루 동안의 신체 변화)과 생체시계를 비교해 얼마 정도 차이가 나는지 알려주는 식. 그 차이가 크면 우울증 증상을 경고하는 알람을 보낸다. 기술은 갤럭시 워치, 애플 워치, 구글 핏 등 대부분의 스마트워치에 적용할 수 있다.   AI는 당신의 목소리를 기억한다: 현재 우울증은 앞서 언급했듯 의사가 환자와의 내담을 통해 판단한다. 의사 역시 환자의 표정과 목소리를 들어야 우울증을 확인할 수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환자의 통화 목소리 패턴을 활용해 우울증을 진단할 수 있지 않을까. 대다수 국민의 문자와 음성 데이터를 확보한 통신사가 ‘우울증 진단’ 영역에 최근 뛰어드는 이유다. SKT는 지난해 9월 통화 음성과 영상 속 얼굴 표정을 분석해 우울증 징후를 탐지하는 AI 멘털케어 서비스 기술 개발을 시작했다. 멘털케어 전문기업인 유쾌한프로젝트, 튜링바이오, 이몰로지와 협업해 음성 데이터만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탐지하고 맞춤형 케어까지 제공하는 게 목표다. 아직은 개발 초기 단계라 진단 정확도 등 기술 완성도를 논하긴 어렵다. SKT 관계자는 “티맵에서도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등 관련 기술은 충분히 연구해 왔다. 우울증 진단 등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시장도 커지면서 뛰어들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  2. 기술이 마음도 치료할 수 있을까?     기술이 우리 몸 곳곳의 신호를 포착해 우울증 진단은 내릴 수 있어도 곪은 마음까지 치료할 수 있을까. 테크 기업들은 “그렇다”고 한다. 우울할수록 사람을 만나야 한다는 정신건강의학계의 정설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을까.   친구에게도 말 못할 고민, 수요 있는 AI상담: ‘비대면’만 장점이던 챗봇에 AI를 접목해 ‘사람처럼’ 대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비대면 멘털케어 앱 트로스트의 운영사 휴마트컴퍼니가 운영하는 자연어처리(NLP) 기반 AI 챗봇 ‘티티’가 대표적이다. 김동현 트로스트 대표는 “2019년 국내 최초의 ‘멘털케어’ 챗봇으로 출시한 뒤 6년 동안 가장 많은 심리, 감정 데이트를 학습해 기초 상담도 가능할 정도로 성능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티티는 딥러닝과 자연어처리 기술을 적용해 사람처럼 대화가 가능하다. 2025년 1월 기준 트로스트 가입자는 70만 명이고, 유료 상담자는 약 30만 명이다.   우울증 치료 솔루션 &apos;마인드체어&apos; 사진 메디트릭스. 머리로 먹는 약? 가상현실(VR): 우울증을 완치하려면 현재 두 가지 방법을 환자에게 맞게 처방한다. 항우울제 복용 등 약물치료와 인지행동교정 등 정신치료다. 가상현실(VR) 기기를 이용한 치료는 후자에 속한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가 창업한 메디트릭스는 VR 치료 기기 ‘마인드체어’를 개발했다. 지난달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안마의자처럼 생긴 의자에 앉아 VR 기기를 착용하면 실시간으로 심박수와 뇌파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해 증상에 알맞은 VR 치료 영상을 볼 수 있다. 총 15분 길이 영상을 보면서 긴장과 불안, 우울감을 완화하는 훈련을 하는 식이다. 20년 넘게 우울증 환자를 치료하고 있는 전 교수는 “우울 장애를 겪는 환자의 기억과 감정을 좋은 기억으로 덮어 자연스럽게 망각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우울증 전자약 &apos;마인드스팀&apos;. 사진 와이브레인 전자약, 우울증 치료 ‘게임 체인저’ 될까: 헤어밴드만 착용하면 미세 전류를 두피에 흘려 우울증 증상을 완화하는 기기도 된다. 와이브레인이 개발한 전자약 마인드스팀은 우울증 환자 대다수가 전두엽 활동이 저하됐다는 점에 착안한 의료기기다. 국내 재택 임상 결과 6주 동안 마인드스팀을 매일 30분씩 사용할 때 우울증 관해율(증상이 감소된 비율)은 62.8%로 기존 항우울제의 관해율보다 12.8%포인트 높았다. 항우울제 복용 시 우려되는 위장 장애, 성기능 장애 등 부작용도 피할 수 있다. 전자약은 우리 뇌와 신경에 전기, 자기장, 초음파를 흘리거나 보내 치료 효과를 내는 의료기기다. 한국에선 아직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의약품 시장인 OTC(Over-the-Counter), 약사와 상담을 거쳐 조제할 수 있는 BTC(Behind-the-counter) 시장에 나오지 않아 생소한 분야다. 하지만 의사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 시장에선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는 “4년 전, 세계 최초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을 출시한 이후 올해 1월까지 14만 건 이상 처방했고, 삼성서울병원 등 상급종합병원 12곳을 포함해 149곳 병의원에서 처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  3. 우울 테크가 시장이 되려면     이제 막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우울 테크. 성장의 걸림돌은 없을까.   디지털 거부감 느끼는 의사들: 업계에선 항우울제 복용이나 인지행동치료 등 전통적인 우울증 치료 방법과 다른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거부감을 ‘디지털 순응도 문제’라 부른다. 환자뿐 아니라 이를 처방하는 의사들도 마찬가지로 거부감을 느낀다. 한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의사들은 치료 효과보다 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먼저 생각하게 된다”고 말했다. 아직 안전성에 대한 의심이 있기 때문. 의료 현장에서 디지털 치료제가 기존 치료를 보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의사들의 순응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시장 확장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문제는 우울증 인식이야: 그렇다면 환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모델은 어떨까. 집에서 간편히 우울증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고 하면 조금만 우울해도 활용하지 않을까. 관련 법률상 직접 환자에게 판매해도 문제는 없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B2C를 여전히 망설인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는 “마인드스팀은 ‘내 손 안의 반창고’로 홍보할 만큼 재택 치료 용도에 맞게 개발했다. 하지만 전자약 치료에 대한 인식이 아직 보수적이라고 판단해 병원 시장부터 먼저 접근했다”고 말했다. 아직 환자들이 처음 사용하는 의료기기보다 의사들을 더 믿을 것이란 판단이다. 더구나 우울증을 ‘치료 대상’으로 보지 않는 시각도 여전하다. 한국은 2022년 기준 평생 정신질환이 있는 10명 중 1명만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상담할 정도로 거부감이 크다. 최근 이 비율이 20%까진 늘었지만, 그래도 캐나다나 미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차준홍 기자 급여 or 비급여?: 지난해 11월 식약처는 올해 하반기부터 ‘시장 즉시진입 가능 의료기술’ 제도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의료기술이면 식약처 허가 후 별도 절차 없이 즉시 3년 동안 비급여로 의료현장에서 쓸 수 있게 하는 정책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엔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비급여로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17년 세계 최초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한 페어테라퓨틱스 사례를 참고할 만하다. 한국보다 6배 큰 미국 시장에서 나온 페어테라퓨틱스는 급여 적용 없이 일반의약품(OTC) 시장 공략에 주력했지만 2023년 파산했다. 파산 신청을 하기까지 약 6년 동안 공보험 적용률이 9%에 그쳐 보험시장 진입에 실패한 것이 파산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  4. 정신병동에 아침이 온다면     아직 해결할 문제가 많은, 동트기 직전인 우울 테크. 하지만 정신건강 관련 업계의 ‘메기’임을 의심하는 이는 많지 않다. 항우울제 부작용(소화, 성기능 장애)은 최소화하고, 인지행동 치료보다 효과가 빠르다는 장점 때문. 시간이 흘러 환자 거부감이 줄고 상용화까지 이어진다면 우울 테크의 아침은 어떤 모습일까.   정신병동은 ‘디지털 플랫폼’으로: 우울증 진단부터 검사 및 예후 관리까지. 관련 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수십 년간 정신병동에서 하던 일을 디지털 플랫폼으로 옮기는 작업이 현재 진행 중이다. 와이브레인은 우울증 증상 인지, 검사, 치료까지 가능한 플랫폼 ‘MINDD’를 3년째 운영 중이다. 병원 내원 환자들이 방문 전 카톡이나 문자로 보낸 문진표를 기입하면, 곧바로 병원 시스템에 반영하는 플랫폼이다. 이후 병원에서 필요하면 척도검사를 발송해 추가 진단도 가능하다. 플랫폼은 무료 구독제로 운영하고 있다. 현재 병의원 490곳에서 쓴다. 이기원 대표는 “병원의 환자 관리의 효율성도 높이고, 환자들도 정신건강의학과에 쉽게 접근하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오은영 선생님 대신 AI 선생님?: 과거 정신건강의학계에선 직감이 뛰어난 의사를 ‘명의’라고 불렀다. 환자를 보고 ‘이런 치료를 하는 게 좋겠다’는 경험적 판단이 중요했다. 앞으로는 달라질 수 있다. 개인별 데이터를 수집한 AI가 ‘감 좋은 의사’보다 정확한 심리치료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어서다. 한규만 고대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환자는 많고, 시간은 부족해 의사 대신 1대1 심리치료를 이끄는 AI를 개발했다. 하지만 아직은 AI에도 의사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는 “똑같이 디지털 앱으로 치료했더라도 치료자(의사)가 환자를 얼마나 성실히 지도하느냐에 따라 치료 효과가 크게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오은영 선생님 옆 AI 조수인 셈.   우울한 나라에도 아침은 온다: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히는 덴마크(행복지수 2위)에서도 국민 7명 중 1명이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 선진국으로 갈수록 정신건강을 중요하게 여기고, 신경 쓸 여유가 생기기 때문. 국내에서도 정신과에 대한 심리적 문턱만 낮춰지면 우울 테크의 성장성은 충분할 거란 관측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최윤범 DHP 대표는 “우울증은 선진국형 질환이다. 숨어 있는 환자가 밖을 나오든, 유병률이 높아지든 구조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어 시장 자체는 계속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AI 정신건강 시장이 2023년 9억2000만 달러에서 10년 뒤인 2033년엔 약 148억9000만 달러(약 21조6000억원) 규모로 16배 성장한다는 예측(마보 2025 명상백서)이 나오는 이유다.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3 15:58</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766"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659"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7">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3/73a82c99-2c14-457b-a0bb-e0f342a4295c.jpg/_ir_410x230_/" alt="[팩플] “라인망가 日 1위, 비결은 자체 창작 생태계”">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659"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7"> [팩플] “라인망가 日 1위, 비결은 자체 창작 생태계” </a> </h2> <p class="description"> “라인망가가 일본에서 지배적인 망가(만화) 서비스가 됐다.”  만화 플랫폼 ‘라인망가’를 운영하는 라인디지털프론티어(LDF) 김신배 대표이사(CGO)는 12일 일본 도쿄시 시나가와구 LDF 오피스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LDF는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 소유 일본 법인이다. 김 대표는 “2024년 5월 라인망가가 경쟁사를 제치고 1위를 탈환했고, 그 격차를 유지하다가 최근 더 큰 갭(차이)을 만들고 있다”며 그 비결로 창작 생태계를 꼽았다. 글로벌 모바일 시장 조사업체 데이터닷에이아이에 따르면 라인망가는 지난해 하반기와 올해 1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일본 비게임 앱 매출 1위에 올랐다.   12일 일본 도쿄시 시나가와구 라인디지털프론티어(LDF) 오피스에서 열린 기자단감회에서 김신배 대표이사(CGO)가 기자간담회 중인 모습. 사진 네이버웹툰   김 대표는 “지난해 1월 31% 정도였던 (일본 앱마켓) 점유율이 올해 1월 50%를 넘겼다”며 “유료 콘텐트, 광고, 그리고 지식재산(IP) 비즈니스 사업 영역이 모두 고르게 큰 폭으로 성장해서 (동일 환율 기준) 전년 대비 25% 매출 성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  어떻게 성장했나   성장 원동력은 LDF가 일본 내 구축한 창작 생태계다. 김 대표는 “4년 전부터 일본의 스튜디오 및 작가들과 공동 작업을 하는 등 일본에서 웹툰 작품을 만들고 공급받을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만들고 창작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생태계의 힘을 보여준 사례로는 일본 스튜디오 넘버나인의 웹툰 IP ‘신혈의 구세주’, 라인망가 아마추어 플랫폼을 통해 만들어져 TV 및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된 IP ‘선배는 남자아이’ 등을 꼽았다.   라인망가 아마추어 플랫폼을 통해 만들어져 TV 및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까지 제작된 IP ‘선배는 남자아이’의 애니메이션 포스터. 사진 ⓒpom·JOYNET/LINE Digital Frontier·&apos;선배는 남자아이&apos; 제작위원회 다양한 작품군을 갖추고, 앱 안에서 AI로 이를 마케팅한 점도 비결로 꼽았다. 김 대표는 “일본의 수많은 망가 (플랫폼) 서비스가 파편적인 장르층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우리는 과거에 일본에 없던 무협, 궁중로맨스 등 다양한 작품으로 확장해나가면서 팬덤을 구축하고 있다”며 “(다양한 작품으로) 학습된 AI 추천 모델들이 고도화되면서 새로운 사용자층을 끊임없이 데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  성장하는 최대시장     일본 만화 시장은 전 세계 만화 수익의 3분의 1을 점유(한국저작권위원회)한 최대 시장이다. 그러나 성장성이 여전히 크다는 게 김 대표의 주장이다. 그는 “일본은 1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독자층을 갖추고 있어 디지털에서 더 성장할 수 있다. 최근 2~3년 동안의 8~10% 수준 성장세가 앞으로도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장 성장세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우리가 시장을 키울 수 있다는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했다.   고바야시 타쿠마 주식회사 넘버나인 대표가 일본 도쿄시 시나가와구에 위치한 넘버나인 오피스에서 기자 간담회 중인 모습. 사진 네이버웹툰 일본 현지 제작사도 동일한 입장이다. 일본 스튜디오 넘버나인의 고바야시 타쿠마 대표는 이날 “10년 전만 해도 일본엔 스마트폰으로 만화를 읽는 문화가 없었으나, 라인망가와 카카오 픽코마 등 한국 플랫폼이 그런 문화를 정착시키면서 업계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며 “일본 만화 시장은 지금 성숙기가 아니고 성장기라고 생각한다. 스마트폰으로 웹툰을 접하면서 자란 어린 세대가 성장했을 때가 정말 기대된다”고 말했다.    ━  시간 걸려도 투자는 계속   앞으로 계획에 대해 김 대표는 “독자적인 생태계 구축에 10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우리가 만들고 있는 아마추어 플랫폼과 작가, 콘텐트에 대한 투자는 투자수익률(ROI)이 안 나오더라도 끊임없이 하겠다”며 “생태계와의 공생을 위해 기다리고 투자할 수 있는 이런 정신력과 재력이 (경쟁사 대비)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3 09:00</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659"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51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8">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2/ae0c5f8d-29ab-4545-8774-9a51a1dee2dc.jpg/_ir_410x230_/" alt="자꾸 샘 올트먼 긁는 머스크…AI판 &apos;사랑과 전쟁&apos;? [팩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514"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8"> 자꾸 샘 올트먼 긁는 머스크…AI판 &apos;사랑과 전쟁&apos;? [팩플] </a> </h2> <p class="description"> 만나고 싸우고, 헤어지고 다시 만나자한다. 인공지능(AI) 업계판 ‘사랑과 전쟁’일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오픈 AI를 인수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샘 올트먼 오픈 AI CEO가 강하게 반발하며 장외 설전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올트먼의 우군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와 새 우군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까지, 글로벌 빅테크 수장들간 복잡하게 얽힌 역학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오픈AI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  무슨 일이야   11일(현지시간) 올트먼은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머스크의 오픈AI 인수 제안에 대해 “오픈AI는 매각 대상이 아니다. 말도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같은 날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선 “머스크의 삶 전체가 불안에서 비롯된 것 같아 안타깝다”며 “그를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올트먼의 날 선 반응은 전날 머스크 측 법률 대리인이 오픈AI의 지배 지분을 974억달러(141조원)에 인수하고 싶다는 제안을 한 데 따른 것이다. 올트먼은 제안이 공개된 당일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에 “고맙지만 사양하겠다. 원한다면 우리가 (머스크가 소유한) 트위터를 97억4000만달러(약 14조원)에 사겠다&quot;라고 응수하기도했다.    ━  그간 맥락을 보면   김경진 기자 ①일론 머스크는: 머스크와 올트먼 갈등,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두 사람은 2015년 비영리단체인 오픈AI를 올트먼과 같이 설립한 창업 동지다. 하지만 머스크는 2018년 오픈AI를 떠났다. 결별 사유을 두고는 의견이 분분하다. 올트먼이 영리 사업을 시작하려고 해서 머스크가 떠났다는 설과, 머스크가 오픈AI를 지배하려 하자 이를 다른 창업자들이 막다가 떠났다는 설이 있다. 머스크는 지난해 오픈AI를 비판하며 자신의 AI기업 ‘xAI’를 세웠고, 챗GPT와 유사한 AI 챗봇 ‘그록’을 선보였다.   ②사티아 나델라는: 머스크가 떠난 뒤 올트먼은 2019년 오픈AI의 사업 법인을 만들었고, MS의 손을 잡았다. 새 동업자 나델라는 2022년 11월 오픈AI가 챗GPT를 내놓자 130억 달러 대규모 투자를 집행했고 MS는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MS의 대표 AI 상품 ‘코파일럿’이 나올 수 있었던 것도 오픈AI와 협력 덕분이다. 올트먼이 2023년 11월 CEO 자리에서 일시적으로 쫓겨났을 때도 나델라는 올트먼을 지지했고, 복귀에 결정적인 도움을 줬다. 그러나 MS가 지난해 3월 딥마인드 공동창업자였던 무스타파 술레이만을 AI 사업부 책임자로 영입하면서, 끈끈했던 관계가 점차 소원해졌다. AI업계에선 오픈AI가 MS 외 다른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게 MS에 요구하면서 사이가 틀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③손정의는: MS와 소원해진 자리를 채운 사람은 손정의 회장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오픈AI와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참여하는 ‘스타게이트’ 합작회사를 공개했다. 대규모 데이터센터 등 미국 내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오픈AI는 기술을, 오라클은 클라우드를, 소프트뱅크는 투자를 맡는 식. 이와 별개로 소프트뱅크는 오픈AI에 최소 150억 달러에서 최대 250억 달러를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논의가 현실화할 경우, MS 대신 소프트뱅크가 오픈AI 최대주주로 등극하게 된다.    ━  이게 왜 중요해   글로벌 빅테크 수장들의 만남과 헤어짐 이면엔 복잡한 손익계산법이 숨어 있다. 특히 이번 머스크의 인수 제안은 오픈AI 흔들기라는 분석이 많다. 현재 오픈AI는 비영리 법인 이사회가 사업 법인을 통제하는 형태다. 올트먼은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비영리 법인에 사업 법인 일정 지분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머스크의 제안으로 이 계획이 어그러질 수 있게 됐다. WSJ(월스트리트저널)은 “머스크가 제시한 974억 달러 규모 지분 인수 제안은 오픈AI의 가치를 재평가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즉 올트먼으로선 통제에서 벗어나는 대가로 더 많은 비용을 내야하는 상황이 된 셈이다. 이는 추가 투자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프트뱅크가 오픈AI가 영리법인으로 전환되면 일부 지분을 받는 방식으로 투자를 검토하고 있어서다. 올트먼이 “우리를 괴롭히려는 그(머스크)의 또 다른 전략”이라고 언급한 배경이다. 치열한 AI 경쟁에서 오픈AI의 발목을 잡는 게 머스크의 목표라는 평가.   ‘외통수’에 빠진 올트먼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할 지에 업계 시선이 주목되고 있다. 현재 오픈AI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추론 모델, AI 에이전트 등을 내놓으면서 딥시크 쇼크 와중에도 업계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사건은 실리콘밸리의 두 거물, 머스크와 올트먼 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 더중앙플러스: 다사다난 AI 업계, 더 깊게 알고 싶다면 「 ① 알파고 만든 AI 리더의 경고 “제발 AI 좀 억제하게 해달라” 딥마인드 공동창업자이자 이제 마이크로소프트(MS)의 AI를 이끌게 된 무스타파 술레이만, 그의 생각이 궁금하다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3312   ②올트먼 쫓아낸 주동자의 돌변…‘실패한 쿠데타’ 막전막후 샘 올트먼도 오픈AI에서 쫓겨난 적이 있다. 드라마보다 드라마 같은 사건의 이면을 보고 싶다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0425   ③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파란 고래를 로고로 내세운 인공지능(AI) 챗봇이 글로벌 앱스토어 1위를 휩쓸며 챗GPT를 위협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동명의 서비스 딥시크다. 최신 반도체도, 소프트웨어(SW)도 미국이 틀어쥐고 제재했는데 대체 어떻게? 중국엔 딥시크 같은 AI 기업이 4000개 이상 있다는데, 딥시크 이후의 AI 세계,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 김남영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2 17:37</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514"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44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9">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2/c0561dd5-50de-464a-9079-8adf3eab91c1.jpg/_ir_410x230_/" alt="“총대 멘 똑똑한 독재가 낫다” 피벗 1년, 그 CEO의 깨달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446"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19"> “총대 멘 똑똑한 독재가 낫다” 피벗 1년, 그 CEO의 깨달음 </a> <strong class="badge_plus"><span class="visually_hidden">유료 전용</span></strong> </h2> <p class="description">   ■ 스타트업 피벗의 기쁨과 슬픔🌆 「 시장은 생물이다. 거시경제 변수는 분초마다 바뀌고, 소비자의 니즈도 하루가 멀다 하고 변한다. 그때그때 자세를 바꿔잡을 줄 아는 기업만이 내일도 영업할 수 있다. 하물며 패기 하나 쥐고 막 태어난 스타트업이라면? 순간의 선택이 당장의 생사를 가르기 마련. 빠르고 정확한 피벗(pivot·사업 방향 전환)이 중요한 이유다.   투자시장의 먹구름이 좀처럼 가시지 않는 요즘 같은 시절, 피벗은 생존의 기본기다. 그러나 어디 쉬운 일인가? 한 스타트업이 생사의 갈림길에서 내린 피벗 결정은, 몸소 터득한 온갖 교훈의 결정체다. 저마다 피벗 경험을 공유하는 일은 그래서 귀하다. 팩플이 피벗을 경험한 국내 15개 이상 스타트업 임직원, 벤처캐피털(VC) 관계자, 전문가들을 만났다.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생생한 ‘현실판’ 피벗 경험담과 그 안에서 배운 것들. 진액만을 담아 3회에 걸쳐 전한다.   ① 망하기 전 택한 ‘피벗’의 기적 ② 고객에게 그 질문? 바보같네 ③ 5개의 피벗, 5개의 결정 인터뷰 」  Today’s Interview선택의 기로에 섰던 다섯 기업의 다섯 결정스타트업 피벗의 기쁨과 슬픔 ③   사업이 진퇴양난의 기로에 섰을 때 대표는 어느 길로, 언제, 어떻게 가야 할지 모두 선택해야 한다. 누군가는 이 과정에서 ‘독재자’를 자처해 신사업을 밀어붙이고, 또 다른 누군가는 팀원의 의견 하나하나에 귀를 기울인다. 활로를 찾는 데 왕도는 없다. n개의 기업이 있다면 n개의 피벗(사업방향 전환)이 있을 뿐. 그간 팩플이 ‘스타트업 피벗의 기쁨과 슬픔’ 시리즈에서 다룬 ‘피벗 유경험자’ 15개 스타트업 중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생존한 다섯 기업의 피벗 여정을 현미경을 대고 들여다봤다. 다섯 기업의 다섯 결정, 육성으로 전한다.     ■ 💬목차 「 1. 아이템 보물찾기, START 2. 피벗을 이끄는 리더십 필수요소 3. 방법은 달라도 통하는 건 있다 」  김혜미 디자이너    ━  1. 아이템 보물찾기, START   ‘이 길이 아닌가 봐’ 생각해도 피벗을 쉬이 결정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대안을 찾지 못해서다. 피벗을 경험한 기업들은 새로운 아이템, 그 귀한 ‘보물’은 어디서, 어떻게 찾았을까.   ① ‘테헤란로 바퀴벌레’의 4전5기 : 최완섭 채널코퍼레이션 CPO(최고제품책임자) 김경진 기자   고객관리 AI 메신저 ‘채널톡’을 서비스하고 있는 15년 차 스타트업 채널코퍼레이션은 업계에서 ‘테헤란로의 바퀴벌레’라고 불린다. 몇 번을 망해도 어떻게든 버티고 다시 일어선 이 기업의 근성을 보여주는 별명. 첫 아이템은 인플루언서 마케팅 솔루션이었다. 시장은 커졌지만 존재감은 키우지 못하고 고꾸라졌다. 대표가 빚을 내 직원 월급을 줘야 하는 상황까지 몰렸다.   ‘와르르’ 무너져내리기 일보직전. 살아 남으려면 ‘강제 피벗’해야 했다. 이번엔 스마트폰 신호로 오프라인 통행량을 파악해 매장에 방문객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 사업은 모바일 운영체제(OS) 보안 정책이 바뀌면 언제든 사업을 접어야 할 리스크가 컸다. 최완섭 CPO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최완섭 채널코퍼레이션 CPO. 사진 채널코퍼레이션 “정책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우리가 사용자 데이터를 많이 가지고 있어야 했어요. 그래서 ‘일단 무슨 앱이든 만들어서 사람이 많이 깔게 만들자’는 아이디어가 나왔죠. 그럼 앱을 다운로드받은 사람들을 저희가 특정할 수 있게 되니까요.”   그때 처음 시도한 게 영수증 관리 앱이었다. 일종의 스핀오프랄까. 하지만 고객은 굳이 앱에서 영수증을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또 접었다. ‘고객이 필요한 앱은 뭘까’ 고민하다 매장 리뷰 기반으로 고객과 사업주를 소통하게 만들어주는 아이템을 떠올렸다. 그즈음 회사 홈페이지에서 오래전부터 사용 중이던 한 서비스가 눈에 들어온 건 우연이었을까.   “회사 홈페이지에서 쓰고 있는 라이브챗 서비스(실시간 채팅상담)가 있었어요. 미국 ‘인터콤’ 서비스였는데 문득 관심이 가서 자료 조사를 좀 했죠. 이 과정에서 CX(고객 경험)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우리가 더 잘 만들어서 아시아 시장부터 선점해 나간다면 가능성이 있겠다 싶었습니다.”   등잔 밑에 보물이 있었다. 그렇게 2017년 출시한 ‘채널톡’에 대한 시장 반응은 이전과 달랐다. 시범 서비스 3개월 만에 고객사를 2000개 이상 잡았다. 현재 서비스 안에 AI 어시스턴트 ‘알프’, 문서작성 관리 기능 ‘도큐먼트’ 등을 붙여 나가며 사업을 키워나가고 있다. 올해 초 110억원 규모의 투자를 새로 유치하기도 했다.   원래 하려던 고객-사업주 소통 아이템은 어떻게 됐나. 접었다. 그 과정에서 ‘하던 거나 잘하자’ ‘이게 되겠냐’는 얘기도 많이 들었지만 최고의 설득은 새 서비스를 증명하는 것이었다. 기존 제품을 폐기한다는 아쉬움보단 훨씬 좋은 새 제품을 키워간다는 기대감이 더 컸다. 과거에 굳이 집착할 필요를 못 느꼈던 것 같다.   ② 두드려라, 보물이 열릴 것이다 : 박정현 비브리지 대표 김경진 기자   스타트업 대표가 피벗을 결정할 때 이해관계자는 보통 두 부류로 나뉜다. 첫 번째 이해관계자는 투자자, 두 번째 이해관계자는 내부 구성원들. 3년 전, 온라인 강의 필기와 동영상 AI 요약 서비스 등을 내놓고 야심차게 글로벌 진출까지 도모한 박정현 비브리지 대표는 고민에 빠졌다. AI 이용 비용은 크고, 비용 대비 시장 반응은 뜨뜻미지근했다. ‘이 길이 아닌가?’ 팀을 기존 사업팀과 신사업팀으로 나눠 새로운 먹거리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투자자들은 응원해 줬어요. 챗GPT 등장 이후 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때라 새 도전을 하는 게 맞다고 판단해 주신 거예요. 근데 팀원들 입장은 달랐습니다. 기존 사업팀은 ‘버린 제품을 맡으라고?’ 하며 불안해 했고, 신사업팀은 뭘 해야 할지 몰랐어요. 둘 다 붕 떠버렸죠.”   이 상황에서 대표가 할 수 있는 건 어디로든 나가서 ‘돈 되는 아이템’을 가지고 오는 것이었다. 당시 가장 잘나가는 유튜브 채널 중 한 곳이자 고객사였던 ‘삼프로TV’에 무작정 찾아갔다. 삼프로TV 김동환 의장과의 미팅에서 박 대표는 이런 제안을 던졌다.   박정현 비브리지 대표. 사진 비브리지 “우리는 기업간거래(B2B) 레퍼런스도 딱히 없고, 콘텐트 기업이 뭘 필요로 하는지도 잘 모릅니다. 대신 필요한 걸 알려주시면 갖고 있는 기술과 인력으로 만들어 드릴게요. 무료로요.”   제안은 받아들여졌고, 그렇게 얻게 된 ‘출입증’을 손에 들고 두 달 정도 매일 삼프로TV로 출근했다. PD 등 실무자들의 업무 환경을 지켜보며, 동영상을 요약해 숏폼, 또는 텍스트로 제공하는 등 기술적으로 지원했다. 이 과정에서 AI를 활용해 성우를 쓰지 않고도 외국어 더빙을 입힐 수 있는 기능을 개발했는데 이게 마침 실무진 수요와 딱 맞아떨어졌다. 이를 계기로 AI 더빙을 본격적으로 사업화했다.   고객 수요로부터 찾은 아이템은 확실히 달랐나? AI 더빙 서비스를 지난해 9월부터 했으니 이제 5개월 좀 넘었다. B2B이다 보니 고객 숫자가 확 늘어난 건 아닌데, 한 고객이 지불하는 액수가 커 매출이 전과는 확실히 달라졌다. 이제야 돈 버는 느낌이 들고 시장 수요가 있다는 확신을 하게 됐다.    ━  2. 피벗을 이끄는 리더십 필수요소   유연성과 리더십. 피벗을 결정할 때 그 회사 대표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이다. 지금까지 판단이 잘못됐다는 걸 인정하고, 시장의 변화를 받아들여 방향키를 다시 잡는 것. 말이 쉽지, 이 과정에서 동요하는 직원들을 안심시키고 기존 투자자들을 설득하는 일은 대표로서 넘어야 할 큰 산이다. 이 산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넘은 세 스타트업이 있다.   ① 도전하지 않으면 유죄 : 최혁준 화이트큐브 대표 김경진 기자   “내가 하는 말 중 90%는 헛소리야.” 2023년 습관 형성 앱에서 뷰티 커머스 앱으로 사업을 전환한 최혁준 화이트큐브 대표는 2년여간 피벗 과정에서 팀원에게 늘 이렇게 말하곤 했다. 겸손의 소리가 아닌, 진심으로 하는 말이었다. 2년 동안 만보기 앱, 건강수퍼 앱, 영양제 커머스 앱 등 자잘한 피벗 테스트를 100번은 해봤다. 하는 족족 실패였다.    “피벗 직전에 15억짜리 프로젝트 두 개를 연달아 실패했어요. 한 번 더 실패하면 다같이 집에 가야 하는 상황이었죠. 근데 실패할 기회가 있어야 뭐가 되는지도 알 거 아니에요. ‘작게 많이 실패하자’ ‘될 때까지 시도하자’며 달렸어요. 팀원들한테 그랬어요. 내 말이 좀 자주 틀려도 최대한 잘 해볼 테니 너무 멍청하게 보진 말아 달라고(웃음).”   최혁준 화이트큐브 대표   최 대표는 ‘실패하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 조직문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한다. 중요한 의사결정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고, 때로는 다수가 욕하는 결정이 옳을 때도 있다. 그렇게 대표를 포함해 팀원들도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의견을 나누는 문화를 만들려고 노력했다.   아이디어가 나오면 서비스를 만들지 않은 상태에서 앱 내 광고나 배너를 만들어 클릭 수나 리텐션(유지율) 등을 확인했다.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빠르게 쳐나가는 형태로 실패 비용을 낮췄다. 그렇게 다양한 실패를 경험한 후에야 지금 모습을 찾았다. 피벗 이후 최초로 연간 흑자 달성에 성공했고,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5배 성장했다.   피벗을 통해 어떤 리더십을 배웠나. 실패했을 때 그 결정을 한 사람에게 책임을 최대한 전가하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 것. 지금도 실패에 대한 책임보다는 도전하지 않았을 때 책임을 묻는 구조를 만드는 게 목표다. 물론 대표인 나는 지금보다 더 똑똑해져서 결정의 정확도를 높여야겠지만 말이다.   ② 더 이상의 질문은 받지 않는다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김경진 기자   1년. 서울로보틱스가 ‘완전한 피벗’을 결정하기까지 걸린 시간이다. 약 7년 전, 자율주행 차의 ‘눈’으로 불리는 라이다(LiDAR) 센서 데이터 분석 기술을 개발한 서울로보틱스는 이 기술을 차량 안에 넣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 하지만 자율주행 시장 성장 속도는 생각보다 더뎠고, 갖고 있는 기술은 상용화하기엔 불안정했다. 그러다 2019년 BMW로부터 제안이 하나 들어왔다. 자동차 제조 공장에서 출고된 새 차를 운반차량·배·기차에 싣기 전 구간에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해 달라는 거였다. 제안서를 훑어보던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갑자기 머리가 팽팽 돌아가기 시작했다.    “비즈니스 모델(BM)이 너무 깔끔한 거예요. 시스템이 들어갈 곳(공장)은 늘 사람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안고 있고, 우리가 만드는 시스템은 사람을 대체하는 시스템이라 가격 책정도 선명할 것 같았죠. ‘이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김경록 기자   당장 원래 하던 사업을 접고, BMW가 맡긴 일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팀원들의 생각은 달랐다. 신사업에만 집중하는 건 위험하다는 거였다. 설득은 쉽지 않았고, 결국 이렇게 하기로 했다. 1년간 모든 사업은 유지한다. 단, 1년 후 기존 사업과 신사업의 시장 사이즈와 구매율 등 ‘데이터를 까보고’ 다시 결정한다. 1년 뒤 ‘까본’ 데이터는 압도적으로 신사업 ‘승’이었다. 데이터를 손에 쥔 이 대표는 직원들에게 말했다.     “기존에 하던 비즈니스는 다 접습니다. 남은 건 물류센터 자율주행 사업 하나뿐이에요. 다같이 새롭게 주어진 문제를 잘 풀어봅시다. 더 이상의 질문은 받지 않겠습니다.”   피벗 과정에서 무엇을 잃고, 무엇을 얻었나 우리는 서로를 이해하려고 1년을 보냈다. 하지만 끝내 조율은 안 됐고 회사가 중구난방으로 흘러가는 게 보였다. 스타트업은 자유민주주의보다 똑똑한 독재가 낫다. 대표가 ‘잘 돼도 내 책임이고, 못 돼도 내 책임이야’ 하며 총대 메고 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내부 인력을 많이 잃기도 했지만, B2B(기업 간 거래) 자율주행 시장이라는 프로덕트 마켓 핏(PMF·제품과 시장 수요의 적합도)을 찾아냈다. 앞으로 항만, 공항으로까지 비즈니스를 확장해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다.   ③ 같은 페이지 속 대표·구성원 : 김진우 라이너 대표 김경진 기자   “미안하지만, 당분간 같이 방황해 주세요.” 3년 전, 지금도 매주 있는 타운홀 미팅에서 김진우 라이너 대표가 직원들에게 매주 했던 말이다. AI 검색 스타트업 라이너의 초기 모델은 2015년 웹에서 글을 읽다 중요한 내용이 나오면 이 내용을 수집하는 ‘하이라이팅’ 앱이었다. 2019년에는 사람들이 수집한 양질의 데이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초개인화된 정보탐색’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했다. 그러다 2022년 11월 오픈AI의 챗GPT가 나왔다. 온갖 데이터를 속속 흡수해 똑 부러지는 답변을 내놓는 AI 기술의 등장. 라이너에게는 위기이면서 곧 기회였다.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각 분야에 똑똑하게 접목해 활용할 수 있는 AI 기술은 우리가 지향하는 ‘정보 탐색 혁신’ 실현을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생각했어요. GPT의 API를 이용하면 이 목표를 보다 빠르게 구축할 수 있겠다는 판단이 섰죠.”   다만 고객과 인재, 자본시장 모두 불확실성으로 가득찬 환경 속에서 유효한 BM을 만들려면 ‘승부수’를 던져야 했다. 해보기 전까지 당분간은 ‘이건 좀 될 것 같다’는 믿음과 직관에 베팅해야 하는 상황. “우리가 이 길로 왜 가야 합니까?”라고 묻는 구성원의 질문을 명쾌하게 해소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했다.   원칙은 하나. ‘소통은 투명하게’였다. 김 대표는 CEO로서 자신이 얻는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전사에 전달했다. 명확한 답이 없는 상황에서 팀의 단합과 신뢰가 피벗의 성공을 좌우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현재 라이너의 테크 리드로 있는 허훈 리드는 직원들에게 주 단위로 기술 정보공유 세션을 열어 거대언어모델(LLM)이 갖는 의미와 우리가 AI로 나아가려는 방향에 대해 알렸다.   김진우 라이너 대표(오른쪽)와 허훈 테크 리드. 사진 라이너   피벗 과정에서 소통을 유독 강조한 것 같다. 위에서 하향식으로 ‘자, 이렇게 만드세요’ 해도 물건이 만들어지긴 한다. 그런데 만드는 사람들이 자신이 왜 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물건을 만들다 보면 디테일한 부분들이 빠지거나 틀어진다. 그런 것들이 쌓여 시장에서 경쟁력 없는 모델이 되는 거다. 직원과 내가 실시간까지는 아니라도, 어느 정도 비슷한 생각의 페이지에 와 있는 게 매우 중요하다. 어제 내린 결정이 오늘은 틀릴 수 있을 정도로 환경은 빠르게 변한다. 이 변화 속에서 기민하게 움직이려면 팀원들과 꾸준히 공감대를 쌓아나가야 한다.    ━  3. N개의 피벗 N개의 해법, 2개의 공통점      화이트큐브 직원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화이트큐브   시장이 원하는 것: 피벗 여정에서 이들이 선택한 방식은 다 달랐다. 하지만 팩플과 인터뷰한 다섯 기업은 항상 ‘시장 바라기’였다.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는 “‘우리 기업이 뭘 잘하느냐’보다 ‘시장이 무엇을 필요로 하냐’에 집중해야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완섭 채널코퍼레이션 CPO는 “이미 성공한 기업을 벤치마킹할 때도 그 기업이나 상품 자체보다는 ‘시장’, 그리고 ‘시장 상황에 대처한 경영 방식’ 중심으로 보려고 했다.    변화에 유연할 것: 애플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는 2005년 스탠퍼드대 졸업식 연설에서 ‘점의 연결(Connecting the Dots)’에 대해 이야기한다. 순간 순간의 결정이 점과 점처럼 당장은 연결되지 않는 것처럼 보여도 뒤돌아 보면 모두 합쳐져 의미 있는 길을 만든다는 메시지였다. 박정현 비브리지 대표는 이 연설을 인용하며 “처음부터 전략적으로 피벗 방향을 정했다기보다는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따라 그때그때 결정을 내렸을 뿐인데, 돌이켜보니 그 결정들이 모여 현재의 우리가 돼 있었다”고 회상했다. 김진우 라이너 대표도 “피벗은 철저히 계산하고 확신을 가진 상태에서의 결정이 아니다. 변화에 따른 방황은 기업 입장에선 필수적인 탐색과 탐험의 시간”이라고 짚었다.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2 15:07</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446"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43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0">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2/5b793926-ef24-4379-8606-82b1b994f8e7.jpg/_ir_410x230_/" alt="[팩플] 게임산업 요동친다…적자전환 엔씨, 최대실적 크래프톤">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43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0"> [팩플] 게임산업 요동친다…적자전환 엔씨, 최대실적 크래프톤 </a> </h2> <p class="description"> 게임업계가 지각변동을 맞고 있다. 한국 게임산업 부흥을 이끈, ‘3N’(넥슨·엔씨소프트·넷마블)의 한축 엔씨소프트의 성장세가 꺾이고, 후발주자 크래프톤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다. 업계에선 ‘NK’(넥슨·크래프톤) 시대로의 전환을 예측하고 있다.    ━  무슨 일이야   엔씨소프트의 대표작 리니지 시리즈 중 ‘리니지2M’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모습. 사진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엔씨)는 12일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지난해 매출 1조5781억원, 영업손실 109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간 실적이 적자로 전환한 건 26년만이며 2000년 상장 후 처음이다. 홍원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콘퍼런스콜에서 “그 어느 때보다 쉽지 않은 한해였다. 4분기 전사적인 조직 효율화를 진행하며 큰 규모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체질 개선의 일환이자 지속성장 기반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매출이 전년 대비 11.3% 줄었고 특히 모바일 게임 매출은 22% 감소했다. 엔씨 게임이 과거만큼 돈을 벌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크래프톤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 2조7098억원, 영업이익 1조182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1.8%, 54% 늘었다. 처음으로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13일 실적 발표를 앞둔 넷마블의 증권가 예상 매출액(2조6559억원)을 넘었다. 1위 넥슨에 이어 매출 기준 2~3위 게임사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가 지난 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오픈AI 비공개 워크숍 &apos;빌더랩&apos;에 참석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를 만나기 위해 이동 중인 모습. 연합뉴스   크래프톤과 함께 2K로 불린 카카오게임즈(카겜)도 부진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4% 감소한 7388억원, 영업이익은 92%줄어든 65억원이었다. 회사 측은 비게임 자회사 사업 철수 등을 중단영업손익으로 반영해 실적이 대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대형 신작을 내놓지 못한 것 역시 주요 이유로 꼽힌다.    ━  저물어가는 3N2K 시대   주요 게임사 실적을 한 줄로 요약하면, ‘3N2K 시대의 종언과 NK 시대의 본격 개막’이다. 업계에선 한국 게임사 최초의 매출 4조원 돌파가 확실시 되는 넥슨(13일 실적 발표)과 크래프톤이 한동안 톱2를 형성하고, 몇년간 실적 성장이 멈췄거나 내리막길인 넷마블과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등이 추격자 그룹을 형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3N만 따지면 10여년, 2K가 더해진 채 5년여를 이어온 경쟁구도가 완전히 깨졌다는 것.   엔씨소프트 창업자인 김택진 엔씨소프트 공동대표와 박병무 공동대표(왼쪽부터)가 지난해 3월 2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모습. 사진 엔씨소프트   K게임이 전반적인 침체기를 맞은 상황에서도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넥슨, 크래프톤의 공통점은 오래된 IP(지식재산)가 건재하고, 새로운 시장과 장르를 개척하며 제2, 제3의 전성기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넥슨 3대 주력 IP(던전앤파이터·메이플스토리·FC온라인)는 지난해 3분기까지만 해도 매출 합계가 전년 동기 대비 15% 늘었다. 크래프톤의 ‘PUBG: 배틀그라운드’(배그) 역시 서비스 8년차임에도 지난해 동시접속자 89만명으로 트래픽 상승세를 유지했고, 인도에 출시한 모바일 버전은 전년 대비 매출이 35.7% 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액션RPG(퍼스트버서커:카잔), 인생 시뮬레이션(인조이) 등 다양한 장르의 기대작이 곧 출시를 앞두고 있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2024년 &apos;더 게임 어워드&apos;(TGA) 시상식을 앞둔 지난해 12월 10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거리에 넥슨 신작 &apos;퍼스트 버서커:카잔&apos;의 대형 홍보물이 붙어있는 모습. 연합뉴스   엔씨는 핵심 IP인 ‘리니지’와 ‘블레이드&소울’의 흥행을 더 길게 이어가지 못하고 있는 점이 실적 하락의 원인이다. 몇차례 선보였던 새로운 대형 IP 개발 시도도 뚜렷한 존재감을 보이지 못했다. 카카오게임즈 역시 기존 주력 게임 ‘오딘:발할라 라이징’이 정점을 찍고 하락세인 상황에서 지난해 오딘을 이을만한 대형신작을 전혀 내놓지 못한 점이 실적 부진의 주 원인으로 꼽힌다.   다른 게임사도 상황은 비슷하다. 펄어비스는 대표작 ‘검은사막’ 업데이트로 4분기 적자폭을 줄이긴 했지만, 연간 기준 121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서비스 10년차인 검은사막 매출이 하락세인 상황에서 신작 ‘붉은사막’ 출시가 계속 미뤄진 탓. 허진영 펄어비스 대표는 “고품질 오픈월드 콘솔 시장에 도전하며 예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됐지만, 붉은사막이 높은 성과를 가져올 것을 자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앞으로는   크래프톤의 대표작 &apos;PUBG:배틀그라운드&apos; 캐릭터와 게임 속 배경. 사진 크래프톤   ‘대박 흥행’ 한번으로 운명이 바뀔 수 있는 게임업계지만, 당분간은 ‘NK’의 질주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넥슨은 2년 뒤 매출 7조원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크래프톤은 콘퍼런스콜을 통해 대형 IP를 꾸준히 확보해, 게임 부문에서만 5년 내 매출 7조원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반면 엔씨와 카겜 등은 반등이 목표다. 박병무 엔씨 공동대표는 “올해 상반기엔 재도약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설계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재도약하겠다. 새벽이 오기 전이 제일 어두운 것처럼, 실적 측면에선 지금이 그런 시기”라고 말했다.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2 14:46</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435"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370"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1">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2/32c2c096-d2f8-40d6-822b-97ba69c8d3a3.jpg/_ir_410x230_/" alt="[팩플] 시부야에 뜬 &apos;입학용병&apos;…韓 웹툰 日 팝업스토어 왜?">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370"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1"> [팩플] 시부야에 뜬 &apos;입학용병&apos;…韓 웹툰 日 팝업스토어 왜? </a> </h2> <p class="description"> ‘만화의 나라’ 일본에 한국 웹툰 팝업 스토어가 열렸다. 일본에서만 6억 조회수를 기록한, 웹툰 ‘입학용병’이 주인공이다.     ━  무슨 일이야     11일 오후 일본 도쿄 시부야 거리의 라인 프렌즈 스퀘어에 마련된 라인망가 웹툰 &apos;입학용병&apos; 팝업 스토어 모습. 사진 네이버웹툰   11일 오후 일본 도쿄 시부야 거리 중심가 라인 프렌즈 스퀘어 지하 1층에 일본 만화팬들이 속속 모여들었다. 지난 7일부터 이곳에서 운영 중인 입학용병 팝업스토어를 방문하기 위해서다. 입학용병은 어릴 적 비행기 추락 사고 후 외국에서 용병으로 길러진 주인공(한국명 유이진)이 고향으로 돌아와 고등학교에 입학한 뒤 겪는 에피소드로 구성된 웹툰이다. 2020년 11월 네이버웹툰에 처음 소개된 이후 큰 인기를 끌었고, 2021년 9월부터는 라인망가에도 연재를 시작했다. 라인망가는 네이버웹툰 모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 자회사다.   오는 25일까지 운영되는 팝업스토어는 입학용병의 하이라이트를 재생하는 ‘특별영상 재생관’과, 입학용병 속 캐릭터들이 착용한 의상과 아이템 같은 굿즈를 파는 상점으로 구성됐다. 팝업스토어를 기획한 다나카 타이키 라인프렌즈MD 겸 프로젝트매니저는 “관객들이 입구에서부터 작품 세계관에 몰입하고, 쇼핑 공간으로까지 연결되는 형태로 여기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쇼핑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준비했다”며 “목표 매출은 5000만엔으로, 한국 아이돌 팝업스토어와 비슷한 수준을 설정했다”고 말했다.    ━  입학용병은 왜 일본에?     11일 오후 일본 도쿄 시부야 거리의 라인 프렌즈 스퀘어에 마련된 라인망가 웹툰 &apos;입학용병&apos; 팝업 스토어 모습. 사진 네이버웹툰 입학용병은 한국 작가들이 만든 국내 지식재산권(IP) 웹툰이다. 하지만 등장인물 이름을 포함한 각종 요소를 철저히 현지화한 덕에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2023년엔 월 거래액 1억엔(약 9억 5000만원)을 돌파하며 그해 라인망가 단일 작품 기준 최대 실적을 올렸고, 2023년과 2024년 연간 인기 랭킹 1위를 차지했다. 이날 팝업스토어에서 만난 대학생 아미(21·여)씨는 “학교에서 강의 중간 중간에 친구들끼리 ‘너 요즘 라인망가 뭐 봐’ 이렇게 말하는 게 그냥 평범한 일상 대화”라며 “주인공이 점점 더 강한 적들을 만나고도 굴하지 않는 모습에서 감명을 받았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 만화 시장에선 한국 웹툰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본은 전 세계 만화 시장 수익의 3분의 1을 차지(한국저작권위원회)하는 큰 시장이지만, 몇년 전만 해도 디지털 만화 분야에선 영향력이 미미했다. 종이책, 잡지 등 전통 출판물의 영향력이 워낙 공고했던 탓이다. 그러나 NHN(코미코·2013년), 네이버웹툰(라인망가·2013년), 카카오(픽코마·2016년) 등 국내 회사들이 한국에서의 웹툰 서비스 경험을 무기로 현지에 디지털 만화 플랫폼을 만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2015년 26.3%에 불과했던 일본 만화시장 내 디지털만화 매출 비중은 2023년 69.6%로 크게 성장했다.    ━  핵심은 현지화, 다변화     11일 오후 일본 도쿄 시부야 거리의 라인 프렌즈 스퀘어에 마련된 라인망가 웹툰 &apos;입학용병&apos; 팝업 스토어 모습. 사진 네이버웹툰   최근엔 라인망가와 픽코마가 일본 디지털 만화 시장에서 1위 플랫폼 자리를 놓고 치열한 점유율 다툼을 벌이고 있다. 글로벌 모바일 시장 조사업체 데이터닷에이아이에 따르면 지난 1월 라인망가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 일본 비게임 전체 앱마켓 매출 1위를 기록했다. 같은 업체가 2024년 연간 조사를 했을 땐 픽코마가 비게임 앱 1위를 차지했다. 입학용병 같은 국내 IP 웹툰이 인기를 끌면서 일본 만화 시장의 디지털화, 국내 플랫폼의 영향력 확대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네이버웹툰은 현지에서 IP를 만들어낼 수 있는 창작자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동시에, 해당 IP를 굿즈·애니메이션·영화 등 2차 사업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역량을 키우고 있다. 지난달 일본 웹툰 스튜디오인 ‘넘버9(No.9)’ 지분을 매입하거나, 최근 입학용병 팝업스토어를 연 것도 그런 노력의 일환이다. 네이버웹툰 관계자는 “철저한 현지화 및 다변화를 통해 일본 웹툰 플랫폼 1위 지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2 09:00</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370"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21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2">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c94fbdf5-0d32-4260-ac54-aaeb4e86f95d.jpg/_ir_410x230_/" alt="[팩플] 부모가 관리하는 인스타그램 &apos;청소년 계정&apos; 효과 있을까">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215"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2"> [팩플] 부모가 관리하는 인스타그램 &apos;청소년 계정&apos; 효과 있을까 </a> </h2> <p class="description"> 인스타그램의 ‘청소년 계정’(10대 계정·teen account)은 청소년을 정말 보호할 수 있을까.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최고경영자(CEO)는 11일 “청소년 계정의 핵심은 청소년들을 자동으로 보호하면서, 부모가 이를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서울 역삼동에서 개최한 미디어 브리핑에 화상연결로 참여한 모세리는 “우리는 안전 보호 기능을 보다 일관성 있게 적용하고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만드는 방안을 찾았고, 그 결과물이 이번에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도입하게 된 청소년 계정”이라고 설명했다.   11일 오전 11시 인스타그램 한국 오피스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CEO가 화상 연결을 통해 청소년 계정의 취지와 기능 전반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 메타코리아  ━  무슨 기능이야   청소년 계정 기능은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한국 기준) 청소년들에게 인스타그램이 기본적으로 적용하는 기능이다. 미국에서 지난해 9월부터 적용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선 지난달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청소년 계정으로 분류되면 자동으로 비공개로 전환된다. 팔로워(계정 주인이 팔로우를 수락한 사람)가 아닌 사람은 해당 청소년 계정 콘텐트를 볼 수 없다. DM(개인 메시지)도 주고 받을 수 없고 태그와 멘션도 팔로워들만 가능하다. 또, 싸우는 장면이나 미용 시술 홍보 등 민감한 내용이 담긴 콘텐트는 추천되지 않는다. 오후 10시부터 오전 7시까지는 알림이 꺼지는 등 수면 모드도 적용된다.   만 17~18세는 이 기능을 스스로 끌 수 있지만, 만 14~16세 청소년들은 설정을 바꾸기 위해선 관리·감독하는 보호자 계정의 승인이 필요하다. 보호자 계정은 청소년의 앱 사용 시간을 관리하고, 청소년이 팔로우하거나 그를 팔로우하는 계정, 메시지를 주고받는 계정을 볼 수 있다. 다만 메시지 내용은 볼 수 없다. 모세리는 “제어 기능을 통해 자녀에게 가장 적절한 이용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부모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인스타그램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  이걸 알아야 해   보호장치가 없다시피 한 여타 SNS와 비교하면, 진일보한 조치다. 하지만 허점도 많다. 인스타그램은 회원가입 단계에서 처음 생년월일을 입력할 때는 별도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처음부터 나이를 가짜로 입력해 우회할 경우 이를 구별해낼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는 셈이다. 이에 대해 모세리는 “거짓말을 막기 위한 수많은 방법이 있다”며 “규제에 따라 다르지만, 의심되는 사람이 있으면 신분증을 업로드하도록 요청하거나 얼굴을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슬기 메타코리아 대외정책팀 이사는 “성인이라고 입력했음에도 그 계정이 14~15살 청소년 계정들과 주로 소통하는 등 실제 나이가 의심되는 사례가 있으면 어덜트 클래시파이어(adult classifier) 기능을 통해 파악하고 추가적인 인증을 요구하는 등 기술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세리는 보다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선 개별 앱뿐만 아니라 운영체제(OS)나 디바이스 운영사와의 협조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스타그램도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앱 차원에서 나이를 인증하는 건 어렵다. 애플이나 구글 등 OS나 디바이스 단계에서 나이를 인증하도록 하는 등 청소년을 보호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부모 계정이 청소년 계정에 온 메시지 내용은 볼 수 없게 막은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모세리는 “부모 경험도 고려해야 하지만 청소년의 경험도 고려해야 한다. 제한이 너무 많으면 10대들이 보호 조치를 우회하는 결과로 이어진다”며 “부모에게 권한을 주는 것과 청소년들이 우회하지 않도록 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다정 인스타그램 홍보 총괄은 “부모가 메시지 내용을 보는 등 과도하게 개입하면 10대들이 다른 플랫폼으로 옮겨갈 수 있다”며 “대신 부모는 자녀가 팔로우하는 사람만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민정 기자 kim.minjeong6@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1 17:28</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215"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13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3">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5f8dc73d-4caf-45e4-aeda-3e4fccf2aecf.jpg/_ir_410x230_/" alt="“직원들끼리 프롬프트 공유해 업무 혁신”…KT 전사적 AI 전환 추진">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13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3"> “직원들끼리 프롬프트 공유해 업무 혁신”…KT 전사적 AI 전환 추진 </a> </h2> <p class="description"> KT는 11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기자 설명회를 열고 “조직 문화와 업무 전반에 AI를 도입해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한 KT는 이후 전사 차원의 인공지능 전환(AX)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11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KT 기술혁신부문 테크전략TF 정명호 상무가 KT 일하는 방식 AX(AI 전환)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KT 제공   KT는 우선 MS의 코파일럿을 전 직원 대상으로 도입해 업무 환경에서 일상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직원들이 각자 활용 중인 유용한 프롬프트(명령어)를 사내에서 공유하고 확산할 수 있게 사내 프롬프트 공유 플랫폼 ‘크롬프트 버디’(Krompt Buddy)도 이르면 다음 달 공개할 예정이다.   KT는 누구나 쉽게 ‘AI 에이전트’를 활용할 수 있게 사내문서 검색 및 요약(RAG), 규정 준수 및 리스크 관리(CMP) 등 7종의 AI 에이전트를 만들었다. 김민지 KT AX 확산 담당 과장은 “모든 구성원이 스스로 에이전트를 만들어 업무를 혁신할 수 있는 체계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무용 PC를 클라우드 PC로 전환하는 작업도 병행 중이다.   KT는 앞으로 사내 AX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외부 고객 대상 AX도 확산할 계획이다. 또 현재 기업 고객이나 정부기관 등 고객사를 위한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산업별 특성과 고객 수요를 반영한 도메인 특화 AI 모델도 준비하고 있다. 정명호 KT 기술혁신부문 테크전략TF(태스크포스) 상무는 “기존의 DX 사업 역량을 AX로 확장해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서 실질적인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김남영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1 13:21</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133"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li class="card" data-li> <figure class="card_imag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06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4"> <img width="205" height="115" loading="lazy" src="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d42412aa-2145-44ac-9192-45146b70a5bc.jpg/_ir_410x230_/" alt="&quot;당신 심근경색&quot; 눈만 보고 다 안다, 6만원짜리 &apos;눈&apos;의 정체"> </a> </figure> <div class="card_body"> <h2 class="headline"> <a h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3063"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중앙섹션-A-최신기사-기본 스토리 리스트(검색엔진)" data-evnt-lbl="24"> &quot;당신 심근경색&quot; 눈만 보고 다 안다, 6만원짜리 &apos;눈&apos;의 정체 </a> </h2> <p class="description">   ■ 추천! 더중플 - 교육부터 의료까지 AI가 바꾼다 「 업무 생산성 향상에 치중됐던 생성 AI의 영향력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그간 AI 도입이 더뎠던 의료, 교육 분야에도 ‘챗GPT’ 모먼트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의 ‘추천! 더중플’에선 3년차에 접어든 생성 AI가 우리 사회를 얼마나 바꾸고 있는지 분석한 리포트를 모았습니다. 눈만 봐도, 심혈관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솔루션이 나온 의료계부터, 곧 AI 교과서 도입을 앞둔 교육계까지 우리 사회 AI 확산 현장을 대해부합니다. 무엇이 달라질지부터, 잘 활용하기 위한 방법까지 싹다 모았습니다. 팩플은 소비자·투자자 입장에서 알아야 할 혁신 기술과 비즈니스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룹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  김혜미 디자이너   생성 AI가 본격 확산한 지 벌써 3년. 이미 수년 전부터 대학병원에선 AI가 X선이나 MRI 판독을 하며 인간 의사를 보조하고 있었다. 주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주는, 진단 보조 역할을 하는 솔루션이다. 그런데 AI 기술이 점점 정교해지면서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AI로 하는 스타트업들이 늘고 있다. 인간 의사는 볼 수 없었던 것들을 AI가 찾기 시작하면서다. 벤처 투자자들 관심도 이쪽으로 몰린다.   국내 스타트업 메디웨일이 개발한 ‘닥터눈’은 망막 촬영을 통해 심혈관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머신러닝 기법으로 망막 이미지를 학습한 AI를 통해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 여부와 향후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 현재 신촌 세브란스병원 등 국내 60군데 병원에서 쓰이고 있다. 수십만원대 검사 가격에 방사선 노출 위험이 있는 관상동맥 석회화 CT 대신 6만~10만원(비급여)을 내면 이 검사를 할 수 있다.   의료 현장에 쓰이는 AI는 이뿐만 아니다. 건강검진 때마다, 매번 하는 심전도 검사 결과를 활용해 스마트폰으로 심근경색 등 10가지 질병을 찾아내고, 비싼 PET 검사 없이도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효과가 있을지도 판단해주고 있다. 환자 상태를 분석해 최적의 면역항암제를 찾아주는 등 맞춤형 의료 기술도 개발 중이다.   📌 최신 AI 의료계 접목 현장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내 눈을 바라봐, 심근경색 보인다…CT 없어도 AI가 다 해낸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7746   지난달 13일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 AI 디지털 교과서(AIDT) 수업 시연 현장. 학생들 책상 위엔 개인 컴퓨터(PC)가 하나씩 놓여 있다. 선생님이 수업의 시작을 알리는 방식은 달라졌다. ‘교과서 몇 쪽을 펼치라’는 말 대신 이렇게 지시한다. “자, 모두 참여하기 누르고 교실로 들어오세요.”   교과서 지위를 유지할지는 지켜봐야겠지만 학생들은 새 학기부터 AI 기술을 입힌 교과서, AIDT를 대면하게 됐다. 향후 학교 교실에서 AIDT의 존재감이 커지는 것은 사실상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많다. 모든 기술이 그렇듯 AIDT 역시 아는 만큼 잘 활용할 수 있다. AI 기술을 교과서에 입히면 뭐가 달라질까. 학생 입장에서 가장 큰 변화는 교실 앞에 선 인간 선생님 외에 화면 속 AI 튜터가 추가로 생긴다는 점이다. 과목 및 발행사 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다수의 AIDT는 AI 챗봇 기능을 갖추고 있다. 교실 앞에 선 인간 선생님 외에 화면 속 AI 튜터가 추가로 학습을 돕는다. 챗봇 기능은 빙산의 일각. AI는 학생의 수준을 정밀하게 분석해 개인별 맞춤형 자료를 제공하거나, 인간 선생님이 양질의 수업 구성을 할 수 있도록 보조교사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AIDT, 장밋빛 미래만 있나? 현시점,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요소 중 하나는 문해력 저하 문제다. 최근 국회에서 발표한 학부모 및 교사 대상 설문조사에서 ‘AIDT가 학생 문해력과 집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답변은 81.5%를 차지했다. 사회문제로 떠오른 청소년 디지털 기기 중독 문제도 부작용으로 언급된다.   사회 전 영역에 AI가 확산하는 시대. AIDT로 공부할 학생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디지털 문해력은 무엇이고, AIDT를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은 뭘까. AIDT만의 차별화된 기능부터 활용법, 2년 가까이 개발에 매달린 발행사들의 속내, AI 스마트 러닝의 걸림돌과 나아갈 길까지. AIDT를 둘러싼 정쟁의 소용돌이에서 빠져나와 기술과 산업 차원에서 AIDT의 미래를 분석했다.   📌 AI 교과서가 더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학생 한 명당 선생님도 한 명’ 그게 가능해? AI 교과서 해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6048     ■ 추천 더중플! - AI, 미래를 보다 「 ① 딥시크 쇼크? 4대천왕 더 있다…中 10년간의 ‘치밀한 빌드업’ [딥시크 스톰①] 파란 고래를 로고로 내세운 인공지능(AI) 챗봇이 글로벌 앱스토어 1위를 휩쓸며 챗GPT를 위협한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만든 동명의 서비스 딥시크다. 최신 반도체도, 소프트웨어(SW)도 미국이 틀어쥐고 제재했는데 대체 어떻게? 중국엔 딥시크 같은 AI 기업이 4000개 이상 있다는데, 딥시크 이후의 AI 세계,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92   ② “네 답변은 10점 만점에 4점” 똑똑한 챗GPT 만들 조련법 누구나 한 번쯤 챗GPT를 구독해 본 시대. 매달 구독료를 똑같이 내는데 옆자리 김대리는 왠지 나보다 더 잘 쓰는 것 같다면? 팩플이 업계에서 소문난 생성AI 실전 고수들을 직접 만나 들은 AI 실전 활용법을 모았다. 광고 카피 쓰기부터 시장조사 보고서 작성까지 생성AI 도움을 받아 뚝딱 일을 처리하는 AI 고수들의 노하우다. 마케터가 아닌 일반인도 활용 가능한 꿀팁도 꾹꾹 눌러 담았다. 이것만 읽으면 당신도 ‘생성AI 마케팅 고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97596   ③ Future of AI, 미래를 보다 2025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10일이면 AI가 변합니다. 쏟아지는 새 AI 트렌드 속에 길 잃고 헤매셨다면? AI 에이전트, AI 검색…, 올해 꼭 알아야 할 핵심 트렌드, PDF 북 한권에 정리해 드립니다. AI 용어 가이드북, AI 석학 앤드루 응 스탠퍼드대 교수 독점 인터뷰 전문도 함께 담았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pdf/1011   ④ ‘임장 빌런’ 될 필요 없다? 대신 발품 파는 부동산 AI 삶의 필수 조건인 의식주의 ‘주’와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투자’ 기능이 혼재된 부동산 시장. 이 시장의 해묵은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프롭테크(PropTech) 기업들이 들고나온 것은 AI·VR·디지털 트윈 등 각종 IT 기술이다. 발품 팔아야 하는 임장도, ‘호갱’ 되기 십상인 시세 정보도 IT 기술이 해결해 줄 수 있을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0919   ⑤ 中, 천재소년 프로젝트 일냈다…대졸 초봉 4억, 딥시크 생태계 싼 게 비지떡=빛 좋은 개살구=메이드 인 차이나. 아직도 이 공식에 익숙하다면 이번 리포트에 주목. 14억 인구 가운데 키워낸 4억 초봉 받는 ‘천재 소년’들부터, 중국 테크 기업의 인해전술 전략까지 싹 담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2118       」 어환희 기자 eo.hwanhee@joongang.co.kr </p> <div class="meta"> <p class="date">2025.02.11 05:00</p> <button type="button" class="btn_bookmark" data-cid="25313063" data-ctype="A" aria-label="북마크"> <i class="ico_bookmark"></i> </button> </div> </div> </li> </ul> <nav class="pagination_type02" aria-label="pagination"> <ul> <li class="page_first"> <a href="#" class="page_link" role="button" aria-disabled="true" aria-label="처음 페이지">처음</a> </li> <li class="page_prev"> <a href="#" class="page_link" role="button" aria-disabled="true" aria-label="이전 페이지"><i class="ico_arrow_left" aria-hidden="true"></i></a> </li> <li class="active">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1" class="page_link" aria-current="page" aria-label="1 페이지">1</a> </li> <li>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2" class="page_link" aria-label="2 페이지">2</a> </li> <li>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3" class="page_link" aria-label="3 페이지">3</a> </li> <li>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4" class="page_link" aria-label="4 페이지">4</a> </li> <li>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5" class="page_link" aria-label="5 페이지">5</a> </li> <li class="page_next">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2" class="page_link" role="button" aria-disabled="false" aria-label="다음 페이지"><i class="ico_arrow_right" aria-hidden="true"></i></a> </li> <li class="page_last"> <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page=105" class="page_link" role="button" aria-disabled="false" aria-label="마지막 페이지">마지막</a> </li> </ul> </nav> </section> </div> </div> </section> </main> <div id="footer" class="footer footer22"> <div class="footer_wrap"> <div class="logo lg_hidden"><a href="https://www.joongang.co.k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footer logo"><span class="visually_hidden">The JoongAng</span></a></div> <nav class="row sitemap accord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sm_hidden md_hidden"><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a></strong> <strong class="lg_hidden 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ontent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_콘텐트 탐색">콘텐트 탐색</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_시리즈별 보기">시리즈별 보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curat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_큐레이션 발견">큐레이션 발견</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urchase/mai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_이용권 구매">이용권 구매</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lus/guid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_서비스 활용 가이드">서비스 활용 가이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atoz/47"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플러스_이용안내">이용안내</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오피니언">오피니언</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editorialcolum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오피니언_사설칼럼">사설칼럼</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satiricalcarto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오피니언_만평">만평</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debatepolllis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오피니언_Hot Poll">Hot Poll</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resetkore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오피니언_리셋 코리아">리셋 코리아</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opinion/vo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오피니언_영상">영상</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정치</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gener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_정치일반">정치일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assemgov"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_국회정당">국회정당</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bluehous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_대통령실">대통령실</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diploma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_외교">외교</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_국방">국방</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olitics/northkore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정치_북한">북한</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경제</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gener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경제일반">경제일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economicpoli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경제정책">경제정책</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industr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산업">산업</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financ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금융증권">금융증권</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realestat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부동산">부동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scienc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IT・과학">IT・과학</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labo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고용노동">고용노동</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money/globaleconom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경제_글로벌경제">글로벌경제</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사회</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gener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사회일반">사회일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acciden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사건・사고">사건・사고</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law"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검찰・법원">검찰・법원</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educat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교육">교육</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welfar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복지">복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healthcar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보건・질병">보건・질병</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environmen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환경">환경</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traffic"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교통">교통</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ociety/nation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사회_전국">전국</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국제</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gener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_국제일반">국제일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northam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_미국">미국</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chin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_중국">중국</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japa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_일본">일본</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eu"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_유럽">유럽</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world/etc"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국제_기타">기타</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문화</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gener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문화일반">문화일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boo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책">책</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exhibit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미술・전시・문화재">미술・전시・문화재</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performanc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클래식・공연">클래식・공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so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가요">가요</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movi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영화">영화</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lture/broadcas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문화_방송">방송</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포츠">스포츠</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gener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포츠_스포츠일반">스포츠일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basebal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포츠_야구">야구</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socc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포츠_축구">축구</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golf"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포츠_골프">골프</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ports/basketvolle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포츠_농구・배구">농구・배구</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라이프">라이프</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fash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라이프_패션">패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tast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라이프_맛">맛</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beaut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라이프_뷰티">뷰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livi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라이프_리빙">리빙</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lifestyle/health"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라이프_건강">건강</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 <a href="https://www.joongang.co.kr/peopl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피플">피플</a> <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 </strong> <div class="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eople/room"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피플_사랑방">사랑방</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eople/personne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피플_인사">인사</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eople/death"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피플_부음">부음</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special accordion_item"> <strong class="accordion_header">스페셜<button type="button" class="button lg_hidden" aria-expanded="false" aria-label="서비스 더보기"><i class="ico ico_arrow" aria-hidden="true"><span class="visually_hidden">서비스 더보기</span></i></button></strong> <div class="special_list_box accordion_body">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factp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팩플">팩플</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bicnic"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비크닉">비크닉</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realestat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부동산">부동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ooki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COOKING">COOKING</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digitalspecia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디지털 스페셜">디지털 스페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ravel"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여행레저">여행레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더 북한">더 북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china"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더 차이나">더 차이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maum"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더,마음">더,마음</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highen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더 하이엔드">더 하이엔드</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lo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더,오래">더,오래</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hehealth"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스페셜_더 헬스">더 헬스</a></li> </ul> </div> </section> <section class="sm_hidden md_hidden"> <strong>패키지</strong>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bscript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패키지_구독패키지">구독패키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issu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패키지_이슈패키지">이슈패키지</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eri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패키지_연재패키지">연재패키지</a></li> </ul>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newslet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뉴스레터">뉴스레터</a></strong> </section> <section class="sm_hidden md_hidden"> <strong><strong>멀티미디어</strong></strong>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photo"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멀티미디어_포토">포토</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vo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멀티미디어_영상">영상</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jpo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멀티미디어_J팟">J팟</a></li> </ul> </section> <section class="sm_hidden md_hidden"> <strong><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중앙SUNDAY</a></strong>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new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뉴스">뉴스</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indepthstor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심층기획">심층기획</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specialreport"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스페셜리포트">스페셜리포트</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busines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비즈니스">비즈니스</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opinio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오피니언">오피니언</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serie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연재">연재</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pic"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포토・영상">포토・영상</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sunday/volume"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SUNDAY_호별보기">호별보기</a></li> </ul> </section> <section class="sm_hidden md_hidden"> <ul> <li><a href="https://www.joongang.co.kr/trend"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트렌드 뉴스">트렌드 뉴스</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brandnews"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브랜드뉴스">브랜드뉴스</a></li> <li><a href="https://weather.joongang.co.k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날씨">날씨</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repor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기자">기자</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jebo"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제보">제보</a></li> <li><a href="javascript:loginCh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지면보기">지면보기</a></li> <li><a href="https://subscribe.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신문 구독신청">신문 구독신청</a></li> <li><a href="https://jmembership.joins.com/"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중앙멤버십">중앙멤버십</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stomercen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고객센터">고객센터</a></li> <li><a href="https://www.joongang.co.kr/joongangai"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사이트맵" data-evnt-lbl="AI+ 중앙일보">AI+ 중앙일보</a></li> </ul> </section> </nav> </div> <footer> <div class="footer_wrap sm_hidden md_hidden"> <div class="policy_area"> <strong class="visually_hidden">중앙일보 정책 및 약관</strong> <ul class="policy">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stomercen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고객센터">고객센터</a></li> <li><a href="https://jebo.joonganggroup.com/main.do"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윤리경영">윤리경영</a></li> <li><a href="https://jad.joongang.co.kr/?cloc=joongang-home-footer"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광고 안내">광고 안내</a></li> <li><a href="https://digitalspecial.joongang.co.kr/special/2020/0715_marketing/" target="_blank"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디지털 광고문의">디지털 광고문의</a></li> <li><a href="mailto:digitalbiz@joongang.co.k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제휴문의">제휴문의</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poli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이용약관">이용약관</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priva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개인정보 처리방침"><strong>개인정보 처리방침</strong></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youthpoli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청소년 보호정책">청소년 보호정책</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sarangbang"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고충처리">고충처리</a></li> </ul> </div> <ul data-bind="promotion" class="promotion" style="align-items:center;"> <li><a rel="sponsored" href="https://kr.koreanair.com/" data-bind="link" target="_blank" title="대한항공"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대한항공"><img width="81" height="12" data-bind="image"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footer/korean_logo_v2.jpg" alt="대한항공" style="width:81px;height:12px;vertical-align:0;" loading="lazy"></a></li> <li><a rel="sponsored" href="https://www.samsung.com/" data-bind="link" target="_blank" title="삼성전자"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삼성전자"><img width="62" height="12" data-bind="image"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footer/samsung_logo.jpg" alt="삼성전자" style="width:62px;height:12px;vertical-align:0;" loading="lazy"></a></li> <li><a rel="sponsored" href="http://www.hanatourist.co.kr/" data-bind="link" target="_blank" title="하나투어리스트"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하나투어리스트"><img width="93" height="12" data-bind="image" src="https://img.joongang.co.kr/pubimg/banner/footer/hana_logo.jpg" alt="하나투어리스트" style="width:93px;height:12px;vertical-align:0;" loading="lazy"></a></li> </ul> </div> <div class="footer_info"> <div class="footer_wrap "> <ul class="btn_area lg_hidden"> <li><a class="btn_black login hide" href="javascript:jaLogin();" data-evnt-ctg="account" data-evnt-act="click: login">로그인</a></li> <li><a class="btn_black logout hide" href="javascript:jaLogout();" data-evnt-ctg="account" data-evnt-act="click: logout">로그아웃</a></li> <li><a class="btn_black" href="https://www.joongang.co.kr/sitemap/index">전체 서비스</a></li> </ul> <div class="logo sm_hidden md_hidden"><a href="https://www.joongang.co.k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footer logo"><span class="visually_hidden">중앙일보</span></a></div> <ul class="lg_hidden policy"> <li><a href="https://www.joongang.co.kr/customercenter"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고객센터">고객센터</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poli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이용약관">이용약관</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priva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개인정보 처리방침">개인정보 처리방침</a></li> <li><a href="https://bbs.joongang.co.kr/youthpolicy"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청소년 보호정책">청소년 보호정책</a></li> </ul> <div class="corp"> <p class="address"> <span>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우) 03909</span> <span>전화 : 02-751-5114</span> <span>등록번호 : 서울 아 01013</span> <span>등록일자 : 2009.11.2</span> <span>발행인 : 박장희</span> <span>편집인 : 고현곤</span> <a href="https://www.joongang.co.kr/sitemap/index" class="sm_hidden md_hidden"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전체 서비스">전체 서비스</a> </p> <p class="address"> <span>사업자명 : <a href="https://www.joongang.co.kr">중앙일보㈜</a></span> <span>사업자등록번호 : 110-81-00999</span> <span>대표자명 : 박장희</span> <em>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0-서울마포-3802</em> </p> <p class="info sm_hidden md_hidden">JoongAng Ilbo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a href="https://bbs.joongang.co.kr/customercenter/faq?boardSeq=1481" data-evnt-ctg="area:중앙|팩플" data-evnt-act="move:A40 푸터 태그" data-evnt-lbl="저작권 정책 및 콘텐트 문의">저작권 정책 및 콘텐트 문의</a>]</p> <p class="copyright"><strong>Copyright by JoongAng Ilbo Co., Ltd. All Rights Reserved</strong></p> </div> </div> </div> </footer> </div> <div class="full_popup letter_agree_popup hide" id="letter_agree_popup"><!--hide--> <div class="layer_item"> <div class="layer_header"> <strong class="title">뉴스레터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뉴스레터 메일 수신 동의가 필요합니다. 동의 하시겠어요?</strong> </div> <div class="layer_body"> <div class="box_wrap"> <strong class="title">뉴스레터 메일 수신</strong> <p>중앙일보는 뉴스레터, 기타 구독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거부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 하였을 경우 이메일을 수신할 수 없습니다. 구독 신청을 통해 발송된 메일의 수신 거부 기능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p> </div> </div> <div class="layer_footer"> <div class="btn_group">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_s btn_outline_black btn_cancel" onclick="closeLayer(this)" data-evnt-ctg="subscription" data-evnt-act="click: newsletter agreement" data-evnt-lbl="아니오">아니오</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_s btn_black btn_ok" data-evnt-ctg="subscription" data-evnt-act="click: newsletter agreement" data-evnt-lbl="네">네</button> </div>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title="Close"><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닫기</span></button> </div> </div> <script type="text/x-jquery-tmpl" id="widget_dsns_tmpl"> <div class="fb-page" data-href="${LINK}" data-height="70" data-small-header="true" data-adapt-container-width="true" data-hide-cover="true" data-show-facepile="false" data-show-posts="false"> <div class="fb-xfbml-parse-ignore"> <blockquote cite="${LINK}"><a href="${LINK}">중앙일보 ${TEXT}</a></blockquote> </div> </div> </script> <script type="text/x-jquery-tmpl" id="widget_dsns_tmpl2"><div class="fb-page" style="height:70px;" data-href="${LINK}" data-width="277" data-height="70" data-small-header="true" data-hide-cover="true" data-adapt-container-width="true" data-show-facepile="false"></div></script> <script type="text/x-jquery-tmpl" id="ico_new_tmpl"><i class="ico_new"><span class="visually_hidden">NEW</span></i></script> <script type="text/x-jquery-tmpl" id="ico_up_tmpl"><i class="ico_up"><span class="visually_hidden">UP</span></i></script> <div class="full_popup hide message_layer"> <div class="layer_popup layer_alert"> <div class="layer_body"><p class="pop_message"></p></div> <div class="layer_footer btn_yn"> <button class="btn btn_outline_black btn_cancel"></button> <button class="btn btn_black btn_ok"></button> </div>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title="Close"><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Close</span></button> </div> </div> <p class="layer_toast"></p> <div class="ad_wrap lg_hidden md_hidden fixed_bottom"> <button type="button" class="btn_close" title="Close"><i class="ico_close"></i><span class="visually_hidden">Close</span></button> <div id='div-gpt-ad-1672205753602-0' style='min-width: 320px; min-height: 50px;'> <script> window.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googletag.cmd.push(function() { googletag.display('div-gpt-ad-1672205753602-0'); }); }); </script> </div> </div> <script> var mokaScbs = { recentUD : '2024-08-26 11:10:07', unseId : '502', //recentUD : '2021-08-23 11:41:21', //unseId : '502', jpods: '', letters: '', packages: '', loginFlag: '', scbFlag: 'N', codes: [], scbNo:'', scbName:'', cType:'', cId:'' }; // BFCahe 처리 if(mokaScbs.scbFlag === 'M' || mokaScbs.scbFlag === 'S'){ $(window).bind('pageshow', function(event){ if(event.originalEvent && event.originalEvent.persisted){ location.reload(); } }); } </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lib/localforage.min.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subscribe/subs.js?v=202502191217"></script> <script defer src="https://www.gstatic.com/firebasejs/7.4.0/firebase-app.js"></script> <script defer src="https://www.gstatic.com/firebasejs/7.4.0/firebase-messaging.js"></script> <script defer type="text/javascript" src="https://www.joongang.co.kr/pwa/swc.js?v=202502191217"></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static.joongang.co.kr/js/more.js?v=202502191217"></script> <script> //TP1297, TP1221, TP1323에서 이동 function onClickSearchButton() { $.getScript("https://static.joongang.co.kr/jsn/searchPaidCardArea.js?ver=202502191217", function() { openLayer(this, layer_search); if (!document.querySelector('#searchPaidArea div') && window.joongang && window.joongang.searchPaidCardArea) { window.joongang.searchPaidCardArea({ ajax: $.ajax, joongangUtils: window.utils, purchaseUrl: 'https://www.joongang.co.kr/purchase/main', payFlag: '', displayName1: '팩플', displayName2: '', displayName3: '' }); } if ("/factpl" == "/") { closeLastArticleInApp(); } }); if (!!(navigator.userAgent.match(/(iPad)/) || (navigator.platform === "MacIntel" && typeof navigator.standalone !== "undefined"))) { $('body').addClass('ipad_layer_search'); } } function onClickMegaMenu() { openLayer(this, menu_popup); closeLastArticleInApp(); } // 검색, 메가메뉴 버튼 클릭 시 앱 내 이어읽기 배너 닫기 function closeLastArticleInApp() { try { if(utils.device.joongangApp) { if (utils.device.ios) { // iOS webkit.messageHandlers.JAWebInterface.postMessage("closeLastArticle"); } else if (utils.device.and) { // Android JAWebInterface.closeLastArticle(); } }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sending callback to mobile:', error); } } $(document).on('click', '#layer_search .btn_close', function() { if ($('body').hasClass('ipad_layer_search')) { $('body').removeClass('ipad_layer_search'); } }); </script> <script> window.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function() { if(utils.device.joongangApp) { $("#menu_banner_2nd_pluspromo").remove(); $("#menu_banner_finedining_HK").remove(); } if($("div.banner_wrap.lg_hidden").length > 0) { $("div.banner_wrap.lg_hidden").eq(Math.floor(Math.random() * $("div.banner_wrap.lg_hidden").length)).removeClass('hide'); }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ready(function () { var member = utils.member.getInfo(); if (utils.member.isMem()) { var nick = utils.member.getInfo().nick || ''; $(".d_mypage_megamenu li:eq(0) a strong span.user").text(nick); $("#menu_popup .my_wrap .logout").addClass('sm_hidden md_hidden'); } else { $(".d_mypage_megamenu a:eq(0)").addClass('sm_hidden md_hidden'); $(".d_mypage_megamenu a:eq(0)").html('<strong>마이페이지</strong><i class="ico_arrow_right"></i>'); } }); function loginChk() { var viewerLink = "https://www.joongang.co.kr/replica?pressDate=" window.open(viewerLink); } </script> <script> var saved_kwd_tmpl_cloc = { "ctg": "area:중앙|팩플", "act": { "move": "move:search_검색창", "click": "click:search_검색창" }, "lbl":"최근 검색어" }; var saved_kwd_tmpl_cloc2 = { "ctg": "area:중앙|팩플", "act": { "move": "move:search_검색창", "click": "click:search_검색창" }, "lbl":"개별 검색 기록 삭제" }; var autocomplete_item_tmpl_cloc = { "ctg": "area:중앙|팩플", "act": { "move": "move:search_검색창", "click": "click:search_검색창" }, "lbl":"자동완성 검색어" }; var recommend_item_tmpl_cloc = { "ctg": "area:중앙|팩플", "act": { "move": "move:search_검색창", "click": "click:search_검색창" }, "lbl":"추천 검색어" }; </script>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 { //TP1297, TP707 에서 이동 if(utils.device.joongangApp) { //중앙앱인경우 특정 이벤트 URL 변경 $("a[href^='https://www.joongang.co.kr/events/reserve/1st-anniversary']").each(function(idx, obj){ $(obj).attr("target", "_self").attr("href", "joongangilbo://open/browser?url=" + $(obj).attr("href")); }); } //TP795 에서 이동 $(document).on("click", ".sitemap .accordion_header .button", function () { var $this = $(this); var ev = $this.attr("aria-expanded"); if (ev == "true") { $this.attr("aria-expanded", "false"); $this.find(".ico_arrow").attr("aria-hidden", "true"); $this.closest(".accordion_item").find(".accordion_body").slideUp(); } else { if (!$this.closest('.accordion').is('[data-allow-multiple]')) { $this.closest(".accordion").find(".button").attr("aria-expanded", "false"); $this.closest(".accordion").find(".accordion_header .headline .ico.ico_arrow").attr("aria-hidden", "true"); $this.closest(".accordion").find(".accordion_body").slideUp(); } var index = $(this).parent().parent().parent().index(); $this.attr("aria-expanded", "true"); $this.find(".ico.ico_arrow").attr("aria-hidden", "false"); $this.closest(".accordion_item").find(".accordion_body").slideDown(); } }); }); </script> </div> </body> </html>

Pages: 1 2 3 4 5 6 7 8 9 10